삼차 [348418] · MS 2010 · 쪽지

2011-07-30 20:08:21
조회수 1,402

릿밋딧을 푸는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527233

1등급이면서 기출을 충분히 돌려서 보면 답만 자꾸기억나고할때 

한번쯤 돌려주는용도로 쓰는거 아닌가요?

솔직히 2등급이하학생이 (비하하는건 아닙니다만) 릿딧밋수준의 문제를 제대로 풀어낼수 있을지...
아까 누가 그레고리력과 비슷한 난이도라고 하셨는데 
그레고리력보다는 릿밋딧난이도가 훨씬 높다고 생각하는데... 
제가 작년에 그레고리력에대한 배경지식이 있는상태에서 풀었어서 정확한 난이도를 모르겠지만, 
어쨌든 릿밋딧 몇개 풀어보고 느끼는건 수능전체에서 가장 까다로운 문제만 모아서 한지문에 때려박는느낌?
일단 수능에선 까다로운 문제가 나와도 한지문에 1개 정말 많으면 2개정도죠 근데 릿밋딧은 3문제가 다 그런느낌입니다.
그리고 시간의 문제도 릿밋딧도 80분간 13지문+4문제(별개문항)으로 구성되있던데 
그럼 릿밋딧 시험시 6분에 한지문꼴이란건데 수능수험생이라 치고 1분~2분정도 더 준다고 치더라도 
상당히 시간 빡빡하게 돌아가더군요. 

결론은 2등급이하는 릿밋딧 건드리기전에 기출열심히 돌려서 1등급부터 만들어라 
1등급이라도 기출덜돌렸으면 기출부터 돌려라 
기출보다 EBS도 풀고, 시중문제집건드려야할 타이밍이 온거같으면 그때 릿밋딧 
혹은 기출열심히 돌리면서 정말 어려운거 한두지문 접해보고싶다 - 한두지문정도만 릿밋딧 정도?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