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컬러의 입시대책! (Classic Ver.)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34976
안녕하십니까. Snu Roman.입니다.
지금 많은 글들이 있습니다. 이제, 여기서마저 그 글들에 대해 논하진 않겠습니다.
다만, 이 게시물을 기점으로 한 번 시원하게 웃고 다시금 게시판 본연의 기능을 찾는다면
더 바랄 것이 없겠습니다. 재밌게 읽어 주세요^_^
본편은, 지난 번 의 100%완결판입니다.
당시, 인기리에 연재했던 스컬러의 은퇴작이기도 했구요,. 재미있게 즐기시길!
중간 중간 선배로서 정말 해주고 싶은 말도 넣었습니다. 부디 리플에서도 즐기기만 해주세요^_^
p.s : 당시 글을 읽었던 분의 평까지 몇 개 뽑아 첨부합니다.
初心XX
IMIN: 78XX2, IP: 61.98.221.84
정말 좋아요+_+ 이건 삭제하지 마세요-_- ㅎ (2005/02/24 13:43:31)
my XX
IMIN: 4XX32, IP: 220.127.166.145
이상적 인간인 만점자가 통치자가 되고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자기 본분에 해당되는 등급을 받아 전체적으로 조화로운 국가를 이상국가로 보았다.
이부분 쓰러질뻔했어요 (2005/02/24 15:56:02)
설법XX
IMIN: 43XX9, IP: 218.48.11.92
너무 재밌네요♡^^ 짱이에요^^
절필이라니 아쉽네요..ㅠ; (2005/02/24 16:11:50)
경제X도
IMIN: 60xx5, IP: 61.42.252.75
수능 사상사의 교과서 ㅋㅋ (2005/02/24 19:47:50)
xxxx
IMIN: x05, IP: 61.42.252.75
윤리를 선택하지는 않았지만 윤리교과서랑 매우 흡사하네요ㅋ (2005/02/24 19:48:20)
↑X게바로X니다!
IMIN: 56XX2, IP: 211.242.170.176
아싸라비아 압권 -_- b 고3때 이과생이 내신때문에 윤리공부한 게 도움이 되는 날이 있군요-_-ㆀ (2005/02/24 22:56:10)
레X
IMIN: XXXXXXX663, IP: 210.221.111.169
아싸라비아 피식-_- ㅋㅋ (2005/02/25 00:03:14)
AnatX
IMIN: 191X1, IP: 221.161.101.37
재밌어서 막 웃으면서도 뭔가 힘이 되네요. 잘읽었습니다.^-^ (2005/02/25 01:04:54)
The really Staple X-file of the ancient Greek philosopher, proved that motion does not logically
exist and
Univ. In K Entrace Exam.
You\'ve got S\'s X-F
Cuming Sun
저자 - 아르스메이아 오르시어스 스컬러 (Arsmeia Orsias Skeouller)
저자 약력 - 2004년 12월 25일 목성 출생. 서울대학교 미래학과를 졸업하였다.
12월 28일 독일 뮌스터 대학의 문예창작학부에 유학, 졸업시
디플롬 라이터(Dipl. Writer) 학위 취득과 함께 총장상을 수상하였으며
같은 대학 우주학과에서 타임머신학을 전공하였다.
당시의 경험은 40년 후의 여행, 고대로의 여행 등에 중요한 실마리가 되었으며
현재 미국 컬럼비아대 얼바인대학 객원교수로 재직중이다.
감수 - 세이야 멀더 (Seiya Mulder)
감수 약력 - Snu Roman 리서치 기획 팀원
검토 - 나 진짜 몰러 (Na JinJJA Molla)
검토 약력 - 모름
응답대상자 (최종 확정판)
소피스트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제논
에피쿠로스
베이컨
홉스
흄
벤담
밀
데카르트
스피노자
칸트
헤겔
쇼펜하우어
키에르케고르
실용주의
생명중심
Copyright by Snu Roman Corp. Ltc
Subject : 서양철학자들이 마지막으로 말하는 바람직한 입시전략과 그 대책
소피스트
서양수능의 출발점인 이들은 \"점수는 대학의 척도이다\"라고 말했다.
이는 모든 점수는 상대적인 것이지 몇 점이상이 나오면 어디 대학을 간다라고
말할 수 없다는 뜻이다. 가령, 02수능 때 380점이면 대학을 골라갔으나
01수능 때 380점이면 스카이가 곤란한 점수였다.. 후에 이들은 재수경험주의, 실점주의로 이어졌다.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는 소피스트가 점수를 올리는데 급급한 것을 두고 비판하고
단순한 점수가 아닌 진정한 실력을 키우라고 주장하였다.
소크라테스에게는 앎이 중요했다. 즉 수능에서 틀리는 것은 몰라서 틀리는 것이지
아는데 절대 틀릴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그는 \"이해찬도 교육부장관이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기기도 했다. 소크라테스는 \"네 점수를 알라\"라는 유명한 말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자각하고 메이져게시판을 보며 자극만 받지 말라고 경고하였다.
플라톤
감각의 세계를 초월한 곳에 있는 만점론을 주장한 플라톤에 의하면
오직 만점만이 참된 수능점수이다. 현상의 점수가 끊임없이 변화하는데 비해
만점의 세계는 영원히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플라톤은 이세상 모든 시험에
만점이 있으며 그 가운데 최고의 만점을 \"1997수능만점\"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이상적 인간인 만점자가 통치자가 되고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자기 본분에 해당되는 등급을 받아 전체적으로 조화로운 국가를 이상국가로 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마이너는 무지에서 나오고 만점은 참된 앎에서 나온다고 본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주지주점적 입장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것이다.
그는 앎과 함께 실천 및 공부 습관화의 의지를 강조함으로써, 중용의 덕을 역설하였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의 덕
과도함 - 중용 - 부족함
사탐 - 수탐2 - 과탐
일반화학 - 화2 - 물상
고문서 - 고전시가 - 고전만화
브레인서바이버 - 적성검사 - 노브레인서바이버
먼나라 - 내나라 - 이웃나라
## 6차 교육과정 시대에는 한편으로는 개인적 안정지원을 추구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실용성을 표방하는 입시 전략이 등장하였다. 이는 이해찬이
하향평준화를 통해 이루어낸 불안정한 입시상 및 사람들의 좁아진 시야를
반영하는 것이다.
- 스토아 학파 ( 제논 )
스토아 학파는 이성이 수능을 지배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즉 이 우주에는 보편적인 답이 있고 인간 개개인도 이 답을 생각해낼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우리는 시험장에서 상대방 시험지 넘기는 소리,
감독관 발소리 등에 정신을 빼앗긴다. 이 상황에서 어떠한
일에도 동요하는 정신상태를 갖게 되는데 그것이 바로 아파이자식아의 경지이다.
특히 \"인간은 수능을 보는 한 모두 평등하다\"는 수험생평등사상은
많은 영향을 주었다.
- 에피쿠로스 학파
에피쿠로스 학파는 쾌락을 중시하였다. 즉, 일반적인 쾌락이란
문제를 맞힘으로써 얻는 쾌락인데 이러한 문제를 다 맞추는 것은 인간에게
불가능하다. 따라서 에피쿠로스 학파에 있어 참다운 쾌락이란
맞아도 틀려도 불안이 없고 쾌락을 느끼는 평온한 상태
그것을 \"아싸라비아\"라고 하였다.
진정한 쾌락이란 맞을 때만이 느끼는 쾌락이 아니라 틀리든 맞든 채점할 때
느끼는 모든 감정이 쾌락임을 깨닫게 된 것이다.
- 베이컨
경험론의 시조인 베이컨은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수능은 보면 볼수록 더욱 실력이 는다고 강조하였다.
그러한 믿음을 \"수능 보는게 힘이다\"라고 표현하였다.
베이컨은, 우리가 수능을 알기 위해서는 있는 그대로의
재수생을 바라보아야 하며, 우리가 가지고 있는 선입관과
편견을 없앨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결국 재수생이든 삼수생이든 사수생이든 모두가 같은 수험생이며,
같은 경쟁자라는 것이다.
## 베이컨의 우상----------------------------------------------
베이컨은 사람들이 흔히 빠지는 편견을 네 가지 우상으로 설명하였다.
첫째는 종족의 우상이다.
이것은 세계의 모든 현상을 현역 관점으로 보려는 것을 말한다.
\"솔직히 삼수해서 스카이 못 가는 인간들은 뭐냐\"와 같은 것이 그 예이다.
둘째는 동굴의 우상이다.
이것은 동굴에 갇혀 있는 사람처럼 편견으로 인해 세상을 제대로 못 보는 것을 말한다.
\"아씨 오르비엔 왤케 잘하는 사람들만 많냐 난 왜이렇게 못해\"가 그 예이다.
셋째는 학원의 우상이다. 이것은 말 때문에 생기는 편견을 말하는 것으로,
베이컨은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학원에서 잘못된 말과 소문이 많다고 하였다.
\"나만 따라오면 만점이다\" 라던지, 자기 강의 소개하는데 몇십분을 할애하는 예가 그 좋은 예이다.
넷째는 오르비의 우상이다.
베이컨은 무대를 보고 환호하는 관객들처럼, 전통이나 권위에 의지하여 나타나는
지식이나 학문을 아무런 비판없이 받아들이는 것을 가리켜 극장의 우상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그는 과거에 성공한 입시생들의 전략을 무조건 추종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
- 홉스
인간들이 자기 보존을 위하여 이기적이라고 생각하였다.
즉 감독관이 없는 시험장은 서로 애들이 답안지를 뺏고 찢고
난장판을 벌일 것이므로 즉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이다.
그것은 어떠한 감독관도 없는 무감독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홉스는 이 때 난장판을 벌이는 넘을 제재하기 위해
감독관에게 절대권을 부여한다고 주장하였다.
- 흄
흄은 인간의; 도덕적 판단과 행위에 있어 중요한 요인은 감정이라고 주장하였다.
즉 듣기 평가를 할 떄 가만히 듣고 있다가 사람들이 다들 어깨 숙이고
답을 마킹할 때를 파악하여 같이 따라가라는 것이다.
이런 능력을 즉, 공감이라고 보았다. 흄의 이러한 윤리설은 사회적 차원의 이익을
부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데카르트
합리론의 대표론자인 데카르트는 감으로 푸는 문제는
단편적이고 우연한 것이어서 절대 믿어선 안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그는 모든 것을 의심해 보았고 아무리 의심해도 도저히 의심할 수 없는
한 가지 사실에 이르게 되었는데, 그것은 \"내가 대학을 가고 싶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나 대학가고 싶다. 고로 존재한다\"
라는 유명한 명제를 남겼다.
- 스피노자
스피노자는 철저히 이성적 삶을 지향했는데 시험장을 필연적 질서에 따라
움직이는 하나의 거대한 기계로 생각하였다. 스피노자는 시험장에서
학생들을 관찰하면 언어 시간땐 줄 긋고 하느라 바쁘고 수학 시간땐
계산하느라 바쁘고 영어시간 땐 듣기에 집중하느라 바쁜 것을 보았다.
결국 이렇게 학생들이 분주한 것을 뒤에서 떡하니 앉아 감독관으로서 관조하는데서
오는 평온한 행복이야말로 인간에게 가능한 유일한 최고의 입시전략이라고 보았다.
- 칸트
칸트는 어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실력이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인 실력을 제시하였다. 즉, 대학을 가기 위해 수능 치지 말고
수능을 치기 위해 수능을 보라는 것이다.
또 칸트는 언어 문제의 푸는데에 있어 절대성을 주장하였다.
\"네 의지의 답안이 언제나 동시에 보편적 정답의 원리가 될 수 있도록 행위하라\"는 것이다.
이는 우리로 하여금 언어 문제를 때 자신의 주관적 논지를 갖고 문제를 풀지 말고
항상 보편적 입장에 설 것을 요구하는 것이고 언어문제의 존엄성에 대한 이념이 깔려 있다.
\"언수외와 다른 탐구영역의 점수를 결코 단순한 수단으로 취급하지 말고, 언제나 동시에
목적으로 대우하도록 행위하라\"는 말은 수능이란, 대학을 가기 위해서 보는 것이 아닌
수능을 보기 위해 보는 것이라는 칸트의 주장을 잘 말해준다.
- 헤겔
헤겔은 입시의 개인적 측면보다 사회적 역사적 측면에 주목했다.
입시는 모의고사 - 모의평가 - 수능 이라는 세 가지 단계를 지나
변증법적으로 발전해 간다고 주장하였다.
여기서 수능은 실력의 원리와 대입이 가능한 결과를 결합시킨 최고의
입시이며, 모의고사와 수능은 서로 대립하지 않고
조화한다. 수능은 개인의 실력과 대입을 보장하고,
또 모의고사는 수능의 과정으로서만 참된 의미를 가지며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 것이다.
- 벤담
수능이란 다름아닌 총점이고 개개인의 수능대박은 사회 전체의 수능대박과
연결되며 더 많은 사람이 수능대박을 누리게 되면 그것은 인플레라고 생각하였다.
수능에서 점수를 잘 받는 것은 쾌락이며 우리는 그 쾌락을 얻기 위해 수능을 본다.
그런데 수능에서 중요한 것은 총점의 양이다.
\"최대 다수의 최대 만점\"을 주창한 그는 수능이란 총점만으로 결판나는 것이며,
언수사과외의 쾌락을 양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계산법까지 제시하였다.
## 벤담의 쾌락 계산법
표준편차
평균
난이도
순수성
범위
애들학력수준
- 밀
밀은 벤담처럼 입시의 궁극적 목표를 수능대박으로 보면서도
중요한 것을 총점의 양보단 질이라고 주창하였다.
과목당 같이 80점씩 받고 400점을 받는 것보다는
언어를 빵점맞더라도 수과외대박을 터뜨리면 훨씬 좋은 대학에 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정상적인 인간이라면 누구나 반영 많이 하고 중요한 과목을
잘 보기 원하기 때문에 \"언어 80점 사탐 200점이 되기 보다는 언어 90점 사탐 180점이 낫고,
수학 80점 과탐 200점이 되기 보다는 수학 90점 과탐 180점이 낫다\"고 말했다.
- 생철학(생재수)
쇼펜하우어는 입시가 근원적으로 지니고 있는 역동적 힘을 믿었으며 이성과 과학으로는
그 입시의 위력을 파악할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검사와 교수라는 자리에서도 아들 입시를 위해 옷을 벗어던질 각오까지 하는
현실을 예로 들며 금욕적 생활을 주장하였다.
즉 수능 잘 봐봤자 뭐 있냐는 것이다.
그래봤자 날 때부터 재벌인 애들을 따라잡기는 열에 하나도 힘들꺼란 것이다.
그의 철학은 다소 염세적인 것이나, 입시에 매몰된 많은 학생들을
자각시켰다는 데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실점주의
실점주의는 개인적이고 현실적이며 결코 밝힐 수 없는 인간의 실점을 중시하였다.
특히 실점주의는 현대 과학기술 문명으로 일어난 답안지 마킹, 스티커 수정 등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현실을 고발하였다.
이러한 모순의 극복을 위해 각 개인의 주체적인 능력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실점을 막기 위해서 \"단독으로 5분전에 마킹하라\"고 주장하였다.
사르트르가 \"실점은 실력을 앞선다\"고 말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현대입시
듀이는 수능에 도움이 되는 가치를 바랍직한 가치로 생각한다. 이러한 입장에서
듀이는 수능도 변화하고 성장하며, 고정적이 절대적인 수능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한 편 수험생의 좌절과 고뇌가 잇다르자 , 입시의 허무함과 인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인생 존중 사상이 나타났다. 대표적인 사상으로는 간디와 슈바이처가 있는데 그들은
수능을 만능으로 생각하는 현대 사상이 인간을 타락시키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수능이 아니라 자신에게 숨겨진 능력을 계도시켜야 한다고 역설함과 동시에
이를 스스로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스컬러의 마지막 절필
\"사람은 수능을 치면 머리가 아프지만 미꾸라지는 그렇지 않다.
사람은 수능을 치면서 불안해 하지만 원숭이는 그렇지 않다.
사람들은 언수외를 중요시 하지만, 물고기는 뭐가 뭔지 모르고
호랑이도 뭐가 뭔지 모르며 순록도 뭐가 뭔지 모른다 진짜 모른다
내가 어떻게 수능을 잘 볼것인가를 탐구하기에 앞서 재수생 특히 N수생들은
내가 왜 수능을 잘 봐야 하는가에 대해 깊은 의문을 가지기 바란다.\"
아래의 Vote버튼을 살짝 클릭하는 센스
-Composed Edited by Snu Roman Research Corp Ltd..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4만보 ㅇㅈ 6
-
피파 팀평가좀 1
나름 근본 멤버로 짯음 저자본 이해좀 급여분배도 ㄱㅊ한거같은디
-
나 싫은사람 없지? 11
있으려나?ㅎㅎ...
-
별로 가고 싶지않은데 안 가도 되겠죠
-
빨주노초 4
암 어 레전드 타노스
-
찐따같은 취미인가 동기가 여행 누구랑 가? 그래서 혼자 이랬는데 아무래도 흔한...
-
중국 해커, 어설픈 기업 기밀 도둑에서 전쟁 무기로 진화 [PADO] 0
[편집자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27년까지 대만 공격 준비를 군에 지시했다는...
-
???:저번에 쓰신 글 잘봤어요^^
-
헬스 해보고싶다 3
무한칭찬 받으면서 배우고 싶은데 피티는 너무 비쌈
-
학회가입해보신분 0
학교에서하는거말고 한국ㅇㅇ학회 이런거 가입비 매년 내야하는거에요?
-
머스크 2조달러 아낄 수 있다는데…'DOGE' 칼질에 美공직사회 칼바람 0
지난달 2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취임 후 그를 제외하고 2기 행정부에서...
-
최고야
-
고3때 카러플 타임어택 주간랭킹 순위권에 들어봤음 물론 복귀하려고 하니까 너무 많이 바뀌어서 접음
-
그냥 계산해도 별로 시간소모 많이 없을거 같은데 외워놓으면 도움 많이 되나요?
-
치케프라 트레이드 신청해놓고나서 보니까 이거 추첨방식인데 왜 결제가 지금됨? ㅅㅂ?
-
닉어케 바꿈 1
못찾겠어요
-
200원짜리 한 발로 벌떼 드론 동시 무력화… ‘RFDEW’ 실전배치 눈앞 [밀리터리 월드] 0
드론을 감지하고 추적해 무력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지향성 에너지 무기(RFDEW)가...
-
레전드기만하나함 4
오늘 아침에 졸려서 잠 깨려고 커피샀는데 효과가 없는 거 같아서 자세히 보니까 디카페인 커피였음
-
설의적 표현<-------이 ㅅㄲ 어제 공부 안함 13
카러플 2시간 돌리고 유튜브로 버튜버 좀 보다가 전독시 정주행하고 사카모토 데이즈...
-
아이 무덤에서 다른 남자와 관계한 짝사랑···“그래도 절대 못잊겠어요” [사색(史色)] 5
[사색-89] 그토록 간절히 원했으나, 그녀는 신기루처럼 빠져나갔습니다. 그녀를...
-
이 로고에다가 ❤️ 추가하고싶음
-
내신으로 한달동안 확통을 하려고 하는데 누구들어야 할까요? 0
수능은 미적으로 볼 예정이지만 진학하고 싶은 학과에 확통이 권장 과목이여서 한달동안...
-
2살차이 불편함?? 짜피 무기명투표니까 솔직히 투표ㄱㄱ
-
보고싶ㅜ
-
쪽지 좀 주라
-
질문 받습니다 4
네
-
재민네 0
굵게기울이기밑줄지우기밑애위에 크게작게색깔
-
나는 포르비임 6
포크레인이야
-
저격을 해야겠어.....
-
중앙대 다른 학과 홈페이지는 멀쩡한데 왜 에시공은 홈페이지도 다 깨져있고 정보도...
-
내 수준에 맞는 쉬운 것부터 차근차근 능력치를 끌어올려보자구 미적 2등급을 쟁취하즈아
-
물리풀고왔당 0
헬스장가서 천국의계단좀 타고 무산소하고와야징
-
난 착륙할게 ㅋ
-
근데 다 나를 5
남자로 생각하지? 함 해보고 싶었음요 큰글씨
-
그치만사랑해
-
걍 다니는사람 흔하려나
-
여르비등장 18
-
동반입대 0
동반입대 하실 분 서울 사는 20살입니다 군수하려고 합니다
-
와 33명이면 운만 좋으면 평균 4도 붙을수도있는거아님? 미쳐따
-
미적 개심각하네 11
시발점 개쉬운 띰 하나 듣는 데 3시간을 쳐씀; 쉽지않다진짜
-
명문대 9
ㅎ
-
24,25 수능 해부해보면 기본기만 묻고 있음 계산좀 복잡하게 해서
-
맞팔구 2
은테까지 열명!!
-
님들저한테 11
많관부 ㅎㅎ
-
시간이 없네..
-
생윤사문 해보다가 안되면 사문 물1로 틀려는데 어떰 3
찾아보니까 생윤이랑 너무 안맞으시는 이과분들 꽤 계신거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심...
-
아이고 대가리야
목성 출생 <- 이거 너무 귀여워요♡ ㅋㅋ
목성 출생 <- 이거 너무 귀여워요♡ ㅋㅋ
나 대학가고 싶다. 고로 존재한다 <== 뒤집어졌어요.ㅋㅋㅋ.
센스 넘치는 글들 ㅇㅅㅇ;;
추천
껄껄 ;ㅁ;!! (*눈물흘리며 웃고있어요)
윤리 공부하기 참 잘했다는 생각 오늘 처음 하네요! 하하하~~ 잘읽었습니당!*^^*
\"아싸라비아\" 빙고! 크크.
ㅋㅋㅋㅋ 작년에 이어 올해도 수고하십니다... 작년 건농 대박이었는데 ㅎㅎ
하핫 멋지네요 ㅋ
재밌네요...ㅋ..철학사 약간 공부하니까 적극 공감..
\"나 대학가고 싶다. 고로 존재한다\" ㅋㅋㅋ
스갤러의 입시대책으로 봤다.
ㄲㄲㄲㄲ 로만님 최고 !!!
너무 웃겨요 pc방에서 보다가 쓰러지는줄 알았다는 ㅎㅎㅎ
ㄲㄲㄲㄲ 로만님 최고 !!!
너무 웃겨요 pc방에서 보다가 쓰러지는줄 알았다는 ㅎㅎㅎ
아, 덕분에 잊혀졌던 윤리 개념들이 쏙쏙(의도와 상관없게도 -_?)
Snu Roman님 팬이에요 ㅋㅋㅋ
\"네 점수를 알라\" 이거 대박이네요 ㅋㅋㅋ
재밌게 잘 봤습니다^_^ 윤리와사상 공부한 보람이 있네요ㅎㅎ
\'아파이자식아의 경지이다\' 대박>_<b
\'아싸라비아\' 멋진데요? \'ㅁ\')d 재미있었습니다 >ㅁ<)/
ㅋㅋ
궁금한게 윤리 안 배우는 분들이 제대로 웃을 수 있을까요?
1 그러게 말입니다.... 별로 제대로 못웃고있습니다...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