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공통질량중심 질문좀용...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344330

이거 있잖아요 행성와 별의 질량비율따라서 a:b가 정의되는건 알았는데 저 (a+b)라는 M과 m사이의 거리는 무슨 기준으로 정해지는거에요?? 그리고 저 상태에서 만약에 m의 질량이 커지면 a+b의 거리는 일정한 채로 a:b의 비율만 바뀌는건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344330
이거 있잖아요 행성와 별의 질량비율따라서 a:b가 정의되는건 알았는데 저 (a+b)라는 M과 m사이의 거리는 무슨 기준으로 정해지는거에요?? 그리고 저 상태에서 만약에 m의 질량이 커지면 a+b의 거리는 일정한 채로 a:b의 비율만 바뀌는건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https://ko.m.wikipedia.org/wiki/%EC%A7%88%EB%9F%89_%EC%A4%91%EC%8B%AC
아 죄송합니다 이게 아니네 ㅠㅠ
처음에올려주신 주소 들어가봤어요!! 근데 저거면 교육과정 밖이겠죠...? 저거몰르고잇어도되는거져??
물리에서 돌림힘 문제 풀 때 쓰는 테크닉이에요
물리1 교육과정 밖인걸로 알고는 있는데 지학에서는 저도 잘... 근데 물리1에서 아니면 지학1에서도 아니겠죠?
아니...겠죠...?!
감사합니다ㅜㅜ
시소라고생각하면 편함, 대신 회전하는 각도가 360도라는 점만 다를뿐
시소에서 무거운 사람이 안쪽에 앉고 가벼운 사람은 바깥에 앉듯이
무거운 별이 안쪽에, 가벼운 행성이 바깥에 앉기 위해서 축이 무거운별쪽으로 옮겨진다고 생각하면되요
어.....! 그러면 시소처럼 생각하면은 중심별 혹은 행성의 질량이바뀐다면 저 사이의 거리는 유동적으로 a+b로 고정되는게 아니라 바뀔수도있다는건가요?
제시문에서 질량만 커진다고 말한다면,
시소에서 균형을 맞출때처럼 축이 무거운 쪽으로 움직여야 한다는걸 말한거에요
거리가 바뀔지는 모르겠네요; ㅠ
아아!!그건 알고있엇는데 a+b거리가궁금했네요....
그래두 잘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정해진 거리에서 질량비를 내분비로 사용하는 것 아닌가요? 하나의 행성의 질량이 커진다는게 두 천체 사이의 거리가 고정되었다고 가정한 상황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