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32 [746048] · MS 2017 · 쪽지

2017-08-31 10:12:27
조회수 7,127

2018 리트 leet 언어이해 풀어보신분 있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3019641

13,16,17번 문제를 틀렸는데


13번 보기 1,2번

16번 보기 1,2번

17번 보기 1,4번


중에 하나가 정답이고 하나가 오답인데

제 눈에는 다 정답같아 보여가지고 문제입니다.

혹시 왜 '이 보기'가 오답인지 알수 있을까요?

한문제만이라도 해설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5432 · 746048 · 17/08/31 10:15 · MS 2017

    16번 문제 방금 해결했습니다. 13,17 문제 해결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sjtnwsdud · 582972 · 17/08/31 10:25 · MS 2015

    13번은
    본문에서 "인간이 이성적 존재라는 단 하나의 사실에 초점을 맞춘다' 라는 점에서
    1번 보기가 추론 능력과 무관하게라는 부분이 틀린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수능하고는 조금 다른 느낌이라 잘 모르겠네요...

  • 5432 · 746048 · 17/08/31 10:39 · MS 2017

    답변 감사합니다 ㅎㅎ 저도 답을 보면서 그부분이 틀려서 1번이 오답인거 같은데 그부분이 왜 틀린지 추론을 못하겠네요

  • 어른유와얼른.. · 654032 · 17/08/31 10:52 · MS 2016

    13번 1번 ㄱ을 제거하기 위해 도덕법칙을 정초하는 게 아니라 도덕법칙을 정초하려면 ㄱ을 제거해야 하는 겁니다.

  • sjtnwsdud · 582972 · 17/08/31 11:05 · MS 2015

    이 쪽이 맞는 해설 같네요...

  • 5432 · 746048 · 17/08/31 11:07 · MS 2017

    감사합니다. 13번 지문 다시보니까 인과관계가 반대되어 있네요. 17번 역시 덕분에 잘 해결하였습니다 ㅎㅎㅎㅎㅎ

  • 어른유와얼른.. · 654032 · 17/08/31 10:59 · MS 2016

    17번 1번.. 법의 발견이란 해당 법이 적용된 이전 사례를 기준으로 삼는 것입니다. 즉, 해당 법이 작용된 사례를 찾는다는 관점에서 이전 사례에서 법을 발견한다고 표현한 것입니다.17번의 는 이전 사례를 기준으로 하는 법의 발견의 예시입니다. 1번 선지에 법의 발견에 대한 추가적 정당화란 이전의 법의 발견의 정의 내용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부분에 대한 추가적인 증명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는 그런 과정이 필요 없이 지문의 법의 발견의 정의만으로 설명이 가능하기 때문에 오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