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연영 [354268] · MS 2010 · 쪽지

2010-11-29 00:10:41
조회수 827

고려대 인문 오후 논술 한번 봐주세요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27381

쉬웠던지 대부분 표정이 밝게 나오더라구요.
모의논술 때 헤겔 때문에 잔뜩 쫄아있었는데....

1. 요약 - 두 단락 구성했습니다. 첫 단락 내용으로 예측의 불확실성, 두번째 단락 내용으로 불확실한 상황에서 사람들의 판단 양상(관행적 판단).

2. 논지는 어떠한 예측이라도 규칙성에 의존하여야 한다는 면에 초점을 맞춰서 서술했구요,
비교는 공통점으로 실천적 주체로서 인간은 예측을 해야 한다는 점.
차이점 기준은 a. 예측 가능성 여부, b. 과학적 지식을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 c. 불확실한 상황에서 예측 양상

3. 테이레시아스는 연역적 모형, 도서는 귀납적 모형이라고 헀습니다.
인과관계와 근거 또한 적절히 들었구요.
테이레시아스의 예측은 "오이디푸스가 자신이 왕의 살해자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는 것"이며 어떤 사실의 발생과 아는 것 사이에는 필연적 관계가 있으므로 이 경우 연역적 모형이라고 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제 의견으로, 연역적 모형이 더 확실하다라고 논평하였습니다.

4. 수리논술
(가) 도표 활용해서 600/700과 100/700.... 정답이 뭐였는지는 가물가물하네요 ㅡㅡ; 여튼 정답은 맞췄어요

(나) 두 경우 모두 0.8으로서 가능성이 같다고 하였습니다.
확률의 곱셈법칙을 사용하여 확률 구하는 과정 다 서술하였구요.

(다) 쉬운 문제를 받았을 경우, 방법 A를 택하는 경우가 더 빈번하고
어려운 문제를 받았을 경우, 방법 B를 택하는 경우가 더 빈번하기 때문에 역전현상이 나타났고
따라서 수수께끼를 배부받은 상황에서는 어떠한 방법 B를 사용하는 것이 더 높은 정답률을 획득할 수 있다고 서술했습니다.


어떤가요??
논술 고수분들의 말씀 부탁드립니다 ㅜㅜ
우선선발 조건은 들었구요.... 인문계 오후 파트에서는 상위과입니다. 그래서 좀 걱정되네요 ㅜ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라빗 · 354411 · 10/11/30 00:57 · MS 2010

    저도 연역적모형이라고 했어요~~ 비합리적예측이라 하신분들 많은데 반갑네요!ㅠㅠ

  • Mr연영 · 354268 · 10/11/30 01:40 · MS 2010

    반가워요 ㅠㅠ
    근데 제 생각에, 논리적으로 봤을때 비합리적 예측이라는 결론은 타당성이 떨어지는 것 같아요...

    뭐 교수님들이 어련히 알아서 채점해주시겠지만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