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재호 [730811] · MS 2017 · 쪽지

2017-07-13 23:19:46
조회수 730

오늘의 지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2560737

ㄱ. 방사성 동위원소의 함량비를 이용하여 퇴적층의 절대 연령을 측정한다.

ㄴ. 고생대 말기에 파충류가 등장하였다.

ㄷ. 모든 심성암은 관입암이다.


하아 오늘 너무 피곤하네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교주 · 739089 · 17/07/13 23:21 · MS 2017

    xox?

  • 염재호 · 730811 · 17/07/13 23:22 · MS 2017

    니니

  • 오교주 · 739089 · 17/07/13 23:23 · MS 2017

    헐 ㄷ 맞나보네요 모든 에서 부정적인 느낌을 받았는데 ㅋㅋ

  • 염재호 · 730811 · 17/07/14 00:00 · MS 2017

    ㄷ 초록 교과서에 나와있어요~~

  • 서울대갑니다 · 751572 · 17/07/13 23:22 · MS 2017

    ㄱ 퇴적층 변성암은 안됨!
    ㄴ 맞음
    ㄷ 아닌거 같음

    ㅠㅠ 모르겠어요
    암튼 근데 님 오랜만 !

  • 염재호 · 730811 · 17/07/14 00:00 · MS 2017

    ㅎㅇㅎㅇ~~
  • 염재호 · 730811 · 17/07/14 00:00 · MS 2017

    아 그리구 ㄷ은 맞는거에여
  • 핥짝 · 669956 · 17/07/13 23:37 · MS 2016

    xoo

    1번 - 퇴적층에다가 방사성 동위원소로 연대측정하면 퇴적층 나이가 아니라 퇴적물이 만들어진 암석의 나이가 측정되기 때문(ex. 사암이라면 사암층의 나이가 아니라 사암을 구성하는 입자인 규소 조각의 나이가 측정되는 식)

    근데 이거 화학적 퇴적암은 어케되는거임?

  • 염재호 · 730811 · 17/07/13 23:59 · MS 2017

    역시 걸어다니는 답안지....갓

    화학적퇴적암도 같은맥락에서 접근하면 되지 않을까 싶네요..?! 퇴적 물질이 생성된 나이를 측정하는거니깐여
    그리고 퇴적암 자체가 화성암에 비해서 오랜 시간동안 축척되어 형성되니까 절대연령을 측정한다는 것 자체가 애매하다고 생각합니다~

  • 핥짝 · 669956 · 17/07/14 00:01 · MS 2016

    ㄹㅇ루 헷갈리는게 근데 예를들어서 연니같은거는 물속에 석회암질 녹았다가 다시 굳어지는건디 그런거는 안되남 애매하당...

  • 염재호 · 730811 · 17/07/14 00:05 · MS 2017

    네 쫌 '연령'이란 것에서의 기준도 모호하고 해서..흐규...수완엔 사암 셰일같은 쇄설성퇴적암이 나왔으니 일단 쇄설성을 기준으로 알아놓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