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 인공지능으로 세계 최고를 노린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478039
미래창조과학부는 2017년 인공지능 기술 관련 R&D를 본격 추진한다.
미래부는 ‘17년 지능정보기술 핵심 분야인 AI SW에 대한 연구를 본격화하고, 그 외에도 AI HW, 기초기술을 포함한 3개 분야에 총1,630억원 규모를 투입할 계획이다.
【분야 1】AI SW분야 원천기술 개발 확대
산업적 수요가 높은 언어‧시각‧음성 지능 분야와 차세대 학습‧추론 등 AI 기술을 연구하는 ‘AI 국가전략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또한, 가상비서 플랫폼 원천기술과 노인 돌보미‧무인 경계로봇 등을 개발을 추진한다.
【분야 2】AI HW 기반 확보
ㅇ AI SW에 특화된 AI HW 기반 확보도 추진된다.
-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를 통해 고용량 AI SW의 원활한 실행이 가능토록 관련 슈퍼컴퓨팅 기술개발에 나서는 한편, 칩‧소자 단위에서 기계학습 SW 실행을 최적화하는 지능형반도체‧뇌신경모방칩(뉴로모픽칩) 원천기술 개발(‘17년 196억원)도 추진한다.
【분야 3】기초기술 분야에 안정적 투자
AI 기술 수준을 혁신적으로 도약시킬 차세대 기술 창출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기초기술 분야에도 투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뇌의 구조, 활동원리 등 뇌과학 연구를 확대하고, 산업수학을 본격 지원한다
□ 최근 SK, 네이버, 카카오 등 기업들도 AI 기술에 대한 투자 계획 발표를 이어가는 등 AI기술 관련 R&D가 활발해지는 추세다.
․(SKT) AI 전담 조직인 ‘T 브레인을 설립하고 AI 등 신산업 분야에 3년간 5조원 투자 계획 ․(네이버) AI 등 미래기술 개발 전담 조직인 ‘네이버랩스’를 설립, 5년간 5,000억원 투자 계획 ․(카카오)AI 전문 자회사 ‘카카오 브레인(’17.2.)’ 설립 |
미래부는 제4차 산업혁명에 글로벌 1위를 선점하기 위해서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기초‧원천기술 R&D를 수행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는 판단에 따라 인공지능 분야에 대한 전략적 R&D를 추진함으로써 다가오는 지능정보사회의 도래에 적극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절대 불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