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수험생성적상승목표 [509491] · MS 2017 (수정됨) · 쪽지

2025-07-17 10:21:18
조회수 92

수능엔 둘 다 병행하되, 처음엔 자유회상 중심 → 나중엔 객관식 위주로 단계적으로 전환하는 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861350

하지만! 너처럼 이런 의문이 생길 수 있지:

"수능은 객관식인데, 그럼 자유회상 연습이 여전히 좋은 전략인가?"

그래서 이후에 연구자들이 이런 질문을 가지고 또 다른 실험들을 진행했는데,
결론적으로는 다음과 같아:


✅ 객관식 시험에서도 자유회상이 더 효과적인가?

답: 그렇다.

다른 연구들(예: Butler, 2010; Kang et al., 2007 등)은
**객관식 시험을 대비할 때도 자유회상 연습(예: 백지 복습, 설명하기)**이
단순 객관식 연습보다 더 깊고 넓은 이해를 만들어
객관식 문제 해결 능력에도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줬어.


? 요약

항목실험 내용
Roediger & Karpicke (2006)시험 유형은 자유회상형
실험 결과자유회상 연습 그룹이 일주일 후 가장 좋은 성적
시험 유형과 학습 방법의 일치 여부시험이 자유회상이라서 자유회상 연습이 유리했을 수 있음
후속 연구들 결과객관식 시험에도 자유회상 연습이 더 효과적인 경우가 많음

? 그래서 수능 준비엔?

  • 자유회상은 장기 기억을 단단하게 만든다.

  • 객관식 연습은 실전 감각과 오답 분석에 필요하다.

  • 둘 다 병행하되,
    처음엔 자유회상 중심 → 나중엔 객관식 위주로 단계적으로 전환하는 게 좋아.

필요하면 관련 실험들 구체적으로 소개해줄까?



좋은 질문이야! **“객관식 문제 풀이 vs 자유 회상”**의 효과를 비교한 대표적인 실험은 다음과 같아:


? 1. McDaniel, Roediger & McDermott (2007)

? 실험 개요

  • 학생들을 세 그룹으로 나눔

    1. 자유 회상 그룹: 책을 읽고 난 뒤 백지에 기억나는 것을 적음

    2. 객관식 인식 그룹: 객관식 문제를 풀며 복습

    3. 복습 그룹: 그냥 책을 다시 읽음

? 결과

  • 자유 회상 그룹이 가장 기억률이 높았고,

  • 객관식 그룹은 리리딩 그룹보다 약간 나았지만, 자유 회상보다 훨씬 낮은 성적을 보였음.


? 2. Butler & Roediger (2007)Testing Improves Long-Term Retention

? 실험 설계

  • 학생들에게 강의 내용을 보고,

    • (a) 객관식 문제 풀이

    • (b) 서술형 회상 연습

    • (c) 복습 없음

  • 1주일 뒤 최종 시험을 봄

? 결과

  • 서술형 회상 연습 그룹이 객관식 그룹보다 성적이 훨씬 높았고,

  • 객관식 문제 풀이 그룹도 복습 없음 그룹보다는 높았지만, 기억에 효과적인 순서는 다음과 같았음:

? 서술형 회상 > 객관식 문제 > 복습 없음


? 3. McDermott, Agarwal, D’Antonio, Roediger, & McDaniel (2014)

  • 고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실제로 실험

  • 객관식 문제 풀이만 한 그룹 vs 자유 회상 후 피드백 받은 그룹

? 결과

  • 자유 회상 + 피드백 그룹이 훨씬 더 나은 학습 결과를 보임

  • 단순히 객관식 문제만 푸는 것보다 스스로 인출하려고 애쓴 후, 피드백을 받은 학습훨씬 오래 기억됨


? 참고 용어로 찾아볼 키워드

  • "Testing Effect"

  • "Free Recall vs Recognition in Retrieval Practice"

  • "Desirable Difficulty" (Robert Bjork)

  • "Roediger and Karpicke (2006)" – Testing effect의 원조 실험


? 요약

인출 방식대표 연구결과
자유 회상 (Free recall)Roediger & Karpicke (2006), McDaniel et al. (2007)✅ 가장 효과적
객관식 문제 (Recognition)Butler & Roediger (2007), McDermott et al. (2014)? 중간 정도 효과
리리딩 (Re-reading)대부분 실험에서 대조군❌ 거의 효과 없음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