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누님 [3686] · MS 2008 · 쪽지

2011-05-16 15:18:43
조회수 2,225

아는 문제 틀리는 이유? 실수 아니라 '착각' 때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45176

"다 아는 문제였는데…."

A군(18)은 시험기간이 끝난 뒤 선생님의 문제 풀이 시간마다 한숨만 쉰다. 다 아는 문제였지만, 시험 때만 되면 알고도 틀리는 경우가 다반사기 때문이다.

"분명히 아는 문제인데 결과를 보면 늘 오답이라 공부할 의욕도 안 나고, 열심히 해도 시험 뒤엔 불안하기만 해요."

아는 문제는 도대체 왜 틀리는 것일까?

인지과학 전문가들은 이를 두고 "기억력과 메타인지(Metacognition)의 문제"라고 설명한다. '메타인지'란 '내가 무엇을 알고, 모르는지를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아주대 심리학과 김경일 교수는 "대부분의 상위권 학생들은 메타인지 능력이 뛰어나다. 단순히 공부한 내용이 친숙하고, 많이 봤다고 해서 자신이 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결국 기억의 정확성이 떨어지거나 피상적으로 공부해 모르는 내용임에도 안다고 착각했던 문제들을 두고 '아는데 틀렸다'고 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틀리는 문제는 결국 자신이 '알았던 내용'이 아니란 설명이다. 가천의대 뇌과학연구소 최상한 연구원은 "시험 문제는 가치 판단 문제가 아닌 사실 여부를 가리기 위한 것이다. 답을 알았던 순간에 맞힐 수도 있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틀린 이유(실력, 기억 실패)를 인정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메타인지 능력을 높이고 시험 때 실수를 줄이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남에게 자신이 아는 것을 설명하기'다. 미국 명문대에서 스터디 그룹을 통한 토론, 발표가 활발한 이유다. 김 교수는 "남에게 '왜냐하면~'으로 이어지는 설명이 가능하면 '진짜 지식'이다. 거울을 보고 혼자 아는 내용을 설명하는 것도 좋다"고 전했다

(이 문서는 저작권법에 의해 보호됩니다. 문서를 계속 읽기 위해서는 첨부된 링크를 클릭하십시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