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x|는 왜 x=0에서 미분 불가능할까? & 유리화는 왜하는걸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115763
안녕하세요. 일반청의미입니다.
이 칼럼은 이 글에 담긴 생각을 바탕으로 쓰게 되었습니다.
공부의 양은 어떻게 정할까? : http://orbi.kr/0008692499
공부의 양은 생각의 양과 같고, 생각과 고민은 질문에서 나옵니다!
공신 방송 다녀온 후기 & 수학 칼럼 연재합니다. http://orbi.kr/00010768917
가장 쉬운 방식으로 개념을 이해해야해요 : http://orbi.kr/00010794675
이차방정식의 해법 해설 + 평행이동할때 왜 점은 +a인데 그래프는 -a일까? : http://orbi.kr/00010789384
평행이동 해설 & 어떻게 곡선 위의 점의 접선은 한 점으로 정의될까? : http://orbi.kr/00010841663
저번주의 칼럼은 바로 이거였어요!
곡선 위의 점의 접선 해설 & y=|x|는 왜 x=0에서 미분 불가능할까? : http://orbi.kr/00010980265
정답갑니당.
A : y=0 말고 y=1/2x도 접선, y=-1/2x도 접선…. 그러면 접선이 매우 많아지죠.
원점을 지나고 기울기가 -1에서 1 사이인 직선 모두가 접선이 됩니다.
모두가 원점을 스치면서 지나가니까요
접선의 정확한 정의는 미분계수를 기울기로 갖는 직선입니다.
미분계수는 그래프 위 두 점 사이의 기울기의 극한이며, 접선의 정확한 정의는 할선의 극한입니다.
할선의 극한이라는 말이 애매하지만, 극한의 정의로 미루어보면 극한값이 존재하려면, 좌극한과 우극한이 같은 값으로 수렴해야 합니다.
직선으로 확장시켜보면, 좌측에서 가까워져 가는 할선과 우측에서 가까워지는 할선의 극한 모두 한 직선으로 일치해야 합니다.
이렇게요!
좌극한과 우극한이 다르면 극한의 정의에 의해 어떤 것에 가까워진다고 단정짓기 애매하니까요! 그 사이 어떤 값을 택해야할지 애매한 것입니다.
우리는 한점에서 직선을 그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접선은 그을 수 있게 된 이유는 극한을 통해 그 직선을 정확하게 하나로 결정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결정할 수 없다면? 당연히 한점에서 직선을 그을 수 없으니, 접선이 정해지지 않겠죠! 보통 뾰족점에서 접선이 무한히 많이 생깁니다. 이것을 첨점이라 하며, 그 점에서 함수는 미분 불가능합니다.
x값에 그 값에서의 미분계수가 y값이 되어 대응되는 함수를 도함수라 합니다.
도함수도 함수입니다! 즉 x값 하나에 y값 하나가 대응되어야하며, 도함수가 존재하려면 원함수가 정의되는 곳에서 모두 미분 가능해야 합니다.
접선이 많으면, 대응되는 접선의 기울기가 1개 이상이기 때문입니다.
Q : 그렇다면 왜 y=|f(x)|에 미분 불가능한 점이 생길 가능성이 있을까요?
절댓값의 정의는 수직선 위의 원점에서 어떤 점까지의 거리입니다. 항상 양수에요.
절댓값 기호 안의 값이 음수일 때는 마이너스가 붙어서 양수가 됩니다.
절댓값 기호 안의 값이 양수일 때는 f(x), 절댓값 기호 안의 값이 음수일때는 –f(x).
즉, 함숫값의 부호가 바뀔 때 함수또한 바뀐다는 것입니다!
서로 다른 함수 y=f(x)와 y=–f(x)가 이어져 있습니다. f(x)가 모든 실수에서 미분가능한 함수라 하더라도 y=f(x)와는 다른 함수 y=-f(x) 두개가 이어져있을때 미분 가능한지는 알 수 없습니다.
즉 함수가 바뀌는 부분에서 미분가능한지를 조사해야합니다.
함수가 바뀌는 부분이 어디인지에 주목하면 미분가능성 문제를 수월하게 풀 수 있습니다.
1. f(x)와
에 절댓값이 붙어있다. 이 절댓값 함수는 어디에서 바뀔까?
2. f(x)는 x=-1에서 함수가 바뀐다. 그러면 이것을 기준으로 나눠주면 될거야.
3.
는 어디에서 함수가 바뀔까?
……………….
이런 식으로 문제풀이가 진행됩니다.
1. g(x)가 절댓값이 두개 붙어있다. g(x)는 x에 따라 함수식이 바뀔거야.
2. 바깥의 절댓값을 생각하기엔 안의 절댓값 때문에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3. 일단 맨 안쪽의 절댓값부터 생각해보자. X=0 좌우에서 함수가 바뀔거야.
4. X=0 주변에서는 함숫값이 1 근처일거야. 그 주변에서는 항상 양수일거야.
5. 함수가 바뀌는데 어떻게 미분가능할 수 있을까?
6. X가 0이상에서는 함수가 언제 바뀔까?
7. 함수가 바뀌는데 어떻게 미분가능할 수 있을까?
사실 문제를 풀 때, 계산을 전혀 할 수 없어서 문제를 못푸는 경우보다는
문제를 풀기위한 아이디어가 부족해서 못푸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그 아이디어를 계속 고민해야하며, 그 근거는 개념에 있습니다.
사실 많은 분들이 예견해주신듯 합니다..ㅋㅋㅋ
요약하자면, 극한값은 좌극한과 우극한이 일치해야 존재합니다.
일치하지 않으면, 그 사이의 어떤 값으로 가까워지는가를 설명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다음주제를 소개해볼게요
유리화는 왜 하는걸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죄송해야할놈이 안죄송하고 이거완전아사람아닌가요
-
온갖 이유로 욕 먹고 다니는 거 저도 아는데 그래도 저런 친구한테 저격당할 정도로...
-
이게 뭔가 좀 수험생활에 별 좋은 영향이 아닌거같음
-
아 목아파 3
감기걸린거같네
-
넵
-
메타 어지럽네 9
도플러 칼럼 내용 다 정리해놓고 타자로 옮기지만 않은 거 있는데 미리 해놨으면 지금...
-
저도 죄송합니다 여러분 11
그냥.. 오늘 기분으로 인해 좀 화나서 글을 적었고 저격당하니까 저도 절제를...
-
지둔. 담임후빨인재전형으로로의대가기 이런건 아닐거아님
-
생활비랑 인생 1년이란 거도 비용인데 그건 왜 모르지
-
이거 나름 유명한거 맞지? 넣어도 되지?
-
내일잇올어케가냐 2
ㅇ.ㅇ...
-
소금물에 소금을 넣으면 왜 농도가 올라가나요 이래서 엄마한테 물어보세요 라고...
-
26부탁청원 0
https://orbi.kr/00072716250/%5B%EC%98%A4%EB%A5%...
-
메타가궁금해용 2
설명해줄 이 어디없나
-
졸려 1
졸려
-
일단 저의 신상이 특정된 이상 어쩔수없이 다 털어놓겠습니다 사실 제가 N수생활을...
-
이게 뭐임... 6
29분에 좋아요가 10개가 아닌 12개네요 ㅠㅠ 아쉽당
-
에이징커브인지 다이아2에서 도저히 올릴 수가 없는걸
-
몇주잡고 준비하셈?? 고3 화작 영어 생윤 사문 이러케 잇는데 한 3주 잡고 하면 될려나ㅏㅏ..
-
병먹금하고 2
인증메타나 돌려줘…
-
생각 해보면 후자가 나음 병신백수로 살 새끼 의사 만든거니 개이득 아니노
-
하면 ㅈ될거같네
-
트러스 좋음 3
단원별 하프모라 그런가 만족스러움요
-
얘가 보편적인 한국인의 사고관을 갖고 있는지 검사하는 거라 생각함
-
아니 십탱ㅋㅋㅋㅋㅋㅋㅋㅋ
-
알아서먹금하고재밌는거해라
-
의대 간 게 인생업적이구나? 그래 수고했어~
-
스나이퍼. 어구풀이 1: 대학 정시 지원 전략. -예시: 김G우 센세. 어구풀이...
-
인구도 줄고 어그로도 마침 저기에 끌렸는데 ㅋㅋ
-
1. 등산 마음 심란할 텐데 바깥 공기나 한번 쐬고 오기 2. 게임 병에는 병이라고...
-
누가 더 효자?
-
감자칩먹고싶다 1
고소하고 바삭하고 짭잘한 스페인 감자칩
-
자러가야지 수구
-
광역폭격 ㄷㄷㄷㄷ 역시 전라읍읍디읍읍언 읍읍,...
-
현역 설의 정시 수석한테 개기노ㄷㄷ
-
수시라서죄송합니다수시라서죄송합니다수시라서죄송합니다수시라서죄송합니다수시라서죄송합니다수시...
-
내일은 주말이다롱~
-
수능99999받고 전라도 지둔 수시로 개날먹해서 의대왔는데 은은 이게 진짜효도야...
-
한 번 겪어봐서 1
그냥 재밌기만 하면 개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재밌네 ㅋㅋ
-
아기임.
-
지금 딱 미팅시즌 아님? 여기서 뭐하고계심?
-
아니 진짜 3
쟤 의대 어케 감?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뭐하노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지금 문기정 어드밴스드 재종 수업으로 수강하면서 문기정 베이스는 과제처럼 풀고 있고...
-
왜이러는거 0
뭐야대체
-
아 잠들어서 0
택시 타고 집가야함 ㅡㅡ
-
븅순같이 35
주어뺘지 말고 당당하게 말해라 ㅋㅋㅋㅋ 일본어 닉이랑 프사보면 깜냥 보이긴 한다만 ㅋㅋㅋㅋㅋ
Lim (a-b)와 같은 형태에서 a,b 둘다 발산하는 형태이면 극한의 연산과 관련된 형태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유리화를 통해 극한의 연산 법칙을 적용 가능한 형태로 바꿔주는것 아닌가요...? 그나저나 일반청의미님 글이 모아보기에서 계속 안보여욤 ㅠㅠ
그래도 lim c/d 에서 c, d 둘다 발산하는 형태일걸요!
사실 lim (x-1)/(x-2)같은거에서 최고차항 지수/계수비교하는게 일상화되어서 놓칠수 있는 부분이지만 x값이 임의의 상수값이 아닌 무한대로 발산했을때의 극한의 경우 lim1/x=0과 같은 몇개의 공리를 적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한다 (ex.x-1/x-2를 (1-(1/x))/(1-2/x))와 같은 형태로 )뭐 그렇게 배웠던 기억이 나서욤! 유리화도 비슷한 맥락으로 이해했던것같은...
넹 더 자세하게 설명해주면 되십니당.
또한 분모의 유리화는 왜 하는지도 생각해주시면 좋아요.
유익한정보 고맙습니다~~ 이런글은 닥팔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