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x|는 왜 x=0에서 미분 불가능할까? & 유리화는 왜하는걸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1115763
안녕하세요. 일반청의미입니다.
이 칼럼은 이 글에 담긴 생각을 바탕으로 쓰게 되었습니다.
공부의 양은 어떻게 정할까? : http://orbi.kr/0008692499
공부의 양은 생각의 양과 같고, 생각과 고민은 질문에서 나옵니다!
공신 방송 다녀온 후기 & 수학 칼럼 연재합니다. http://orbi.kr/00010768917
가장 쉬운 방식으로 개념을 이해해야해요 : http://orbi.kr/00010794675
이차방정식의 해법 해설 + 평행이동할때 왜 점은 +a인데 그래프는 -a일까? : http://orbi.kr/00010789384
평행이동 해설 & 어떻게 곡선 위의 점의 접선은 한 점으로 정의될까? : http://orbi.kr/00010841663
저번주의 칼럼은 바로 이거였어요!
곡선 위의 점의 접선 해설 & y=|x|는 왜 x=0에서 미분 불가능할까? : http://orbi.kr/00010980265
정답갑니당.
A : y=0 말고 y=1/2x도 접선, y=-1/2x도 접선…. 그러면 접선이 매우 많아지죠.
원점을 지나고 기울기가 -1에서 1 사이인 직선 모두가 접선이 됩니다.
모두가 원점을 스치면서 지나가니까요
접선의 정확한 정의는 미분계수를 기울기로 갖는 직선입니다.
미분계수는 그래프 위 두 점 사이의 기울기의 극한이며, 접선의 정확한 정의는 할선의 극한입니다.
할선의 극한이라는 말이 애매하지만, 극한의 정의로 미루어보면 극한값이 존재하려면, 좌극한과 우극한이 같은 값으로 수렴해야 합니다.
직선으로 확장시켜보면, 좌측에서 가까워져 가는 할선과 우측에서 가까워지는 할선의 극한 모두 한 직선으로 일치해야 합니다.
이렇게요!
좌극한과 우극한이 다르면 극한의 정의에 의해 어떤 것에 가까워진다고 단정짓기 애매하니까요! 그 사이 어떤 값을 택해야할지 애매한 것입니다.
우리는 한점에서 직선을 그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접선은 그을 수 있게 된 이유는 극한을 통해 그 직선을 정확하게 하나로 결정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결정할 수 없다면? 당연히 한점에서 직선을 그을 수 없으니, 접선이 정해지지 않겠죠! 보통 뾰족점에서 접선이 무한히 많이 생깁니다. 이것을 첨점이라 하며, 그 점에서 함수는 미분 불가능합니다.
x값에 그 값에서의 미분계수가 y값이 되어 대응되는 함수를 도함수라 합니다.
도함수도 함수입니다! 즉 x값 하나에 y값 하나가 대응되어야하며, 도함수가 존재하려면 원함수가 정의되는 곳에서 모두 미분 가능해야 합니다.
접선이 많으면, 대응되는 접선의 기울기가 1개 이상이기 때문입니다.
Q : 그렇다면 왜 y=|f(x)|에 미분 불가능한 점이 생길 가능성이 있을까요?
절댓값의 정의는 수직선 위의 원점에서 어떤 점까지의 거리입니다. 항상 양수에요.
절댓값 기호 안의 값이 음수일 때는 마이너스가 붙어서 양수가 됩니다.
절댓값 기호 안의 값이 양수일 때는 f(x), 절댓값 기호 안의 값이 음수일때는 –f(x).
즉, 함숫값의 부호가 바뀔 때 함수또한 바뀐다는 것입니다!
서로 다른 함수 y=f(x)와 y=–f(x)가 이어져 있습니다. f(x)가 모든 실수에서 미분가능한 함수라 하더라도 y=f(x)와는 다른 함수 y=-f(x) 두개가 이어져있을때 미분 가능한지는 알 수 없습니다.
즉 함수가 바뀌는 부분에서 미분가능한지를 조사해야합니다.
함수가 바뀌는 부분이 어디인지에 주목하면 미분가능성 문제를 수월하게 풀 수 있습니다.
1. f(x)와
에 절댓값이 붙어있다. 이 절댓값 함수는 어디에서 바뀔까?
2. f(x)는 x=-1에서 함수가 바뀐다. 그러면 이것을 기준으로 나눠주면 될거야.
3.
는 어디에서 함수가 바뀔까?
……………….
이런 식으로 문제풀이가 진행됩니다.
1. g(x)가 절댓값이 두개 붙어있다. g(x)는 x에 따라 함수식이 바뀔거야.
2. 바깥의 절댓값을 생각하기엔 안의 절댓값 때문에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3. 일단 맨 안쪽의 절댓값부터 생각해보자. X=0 좌우에서 함수가 바뀔거야.
4. X=0 주변에서는 함숫값이 1 근처일거야. 그 주변에서는 항상 양수일거야.
5. 함수가 바뀌는데 어떻게 미분가능할 수 있을까?
6. X가 0이상에서는 함수가 언제 바뀔까?
7. 함수가 바뀌는데 어떻게 미분가능할 수 있을까?
사실 문제를 풀 때, 계산을 전혀 할 수 없어서 문제를 못푸는 경우보다는
문제를 풀기위한 아이디어가 부족해서 못푸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그 아이디어를 계속 고민해야하며, 그 근거는 개념에 있습니다.
사실 많은 분들이 예견해주신듯 합니다..ㅋㅋㅋ
요약하자면, 극한값은 좌극한과 우극한이 일치해야 존재합니다.
일치하지 않으면, 그 사이의 어떤 값으로 가까워지는가를 설명하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다음주제를 소개해볼게요
유리화는 왜 하는걸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작년에야 비로소 내 꿈에 가까워졌다는 생각을 했었거든 모고든,사설이든 그정도로...
-
모 유명 고닉이 사실 여르비인데 다들 모르더라
-
원래 통통 이였음.. 기하 이차곡선 개념중임..
-
나처럼 오티에서 “오르비에서 봤어요” 당하고 싶지 않으면
-
수익률 150%
-
근데 흥미롭게 보는게 별로 없음
-
님드라 자전은 0
새터 안가면 ㄹㅇ 아싸됨?
-
라이터없어서 맞선임한테 라이터좀... 이랬는데 맞맞선임이 라이터좀은 반말이고...
-
쓴소리 4
하지말아주세요
-
내 앞에 이 친구가 빠져줘야 돼…
-
볼만한가? 마블은 엔드게임 이후 로키 밖에 안 봤는데
-
저도쓴소리좀 6
제발요
-
국자로 펐나? 개꿀
-
이 짤 느낌 좋음
-
국어 24수능 골목 안 = 25수능 생윤
-
설의적 표현<--------이새끼 정신 못차리는 중
-
근데 오전대비 지금 나 예비 줄었는데 뭐어케되어가는거임
-
아마 하고있을듯
-
설전정 400.3 합으로 그쪽은 검증했는데 컴은 진학사 컷 408 아래로...
-
안녕하세요, 쑥과마늘입니다. 오늘은 수능 국어에 숫자가 제시된다면 어떻게 반응해야...
-
체감난이도론 진짜 국어수학=생윤이였음 그정도로 지랄났던 시험
-
저는 대학가면 자랑스럽게 옯밍아웃할거예욧!!
-
시발점 워크북 스탭2 까지는 다 풀었는데 기출에 있는 문제들도 다 풀어야 하나요?...
-
아니그러면 나 합격증은 어캐받으라고!!
-
에피 센츄 vip 매니저 admin? 눈알 색깔 달라지는 거 뭐뭐있나 궁금함 ㅋㅋㅋ
-
지인이 6모9모8덮9덮10닾11덮 다해서 생윤 총1개틀렸는데 수능날 2컷떴다는데
-
설수리빼고 14
다 400뚫렸다는데 ㅇㄱ ㅈㅉㅇㅇ?
-
둘 다 사지 않기로 해서...
-
이게 옯창
-
반급간까진 높공 낮공 이런거 가지고 고민할만하지만 한급간이면 학벌 차이가 드러나기...
-
저처럼 재수를 현역때보다 못보고 삼수하지말고...
-
자살 ㄱㄱ혓
-
앞에 년도가 안써있는데 시즌1은 개정안되고 시즌2만 개정되나요???
-
언기화1지1 선택입니다 24수능 83 97 2 99 97 25수능 88 99 1...
-
뭐라고 생각함? 경제가 2받기엔 괜찮다는게 이거 생각하고 경제 생각하면 에반가요
-
충북 원광 빵꾸로 불인증 예고함ㄷㄷ
-
내년에는 컨설팅 업체 끼면 들어갈수 있을까 절대 고대빵 배아픈 서성한 맞음 ㅇㅇ
-
부엉아.. 6
너에게는 서성한이 조스로 보이는거냐..
-
킅니폼 자켓은 추후 열릴 온라인 스토어에서 구매가능 0
근데 추후가 언제인지 모름
-
반응이 좀 미적지근하면 날 불편해 하는거라고 생각해도 되나 감이 안옴
-
서울대 가놓고 설마 수능공부 하나? 왜 오르비에 아직도 남아있지? 옯창: 오르비가...
-
설사범도 목표긴한데(젤목표는계약학과) 내신은 일반고 문과5점대에 생기부내용은...
-
어디를 가야 하나요?
-
이게뭐노
-
점심 ㅇㅈ 9
그건바로냉면
-
낙지 최종컷 401-2점 잡혔는데 2차 396.7까지 추합됨
-
수능 D-640 1
오늘 목표 수1 자이 250문제 국어 문학,비문학 3지문 풀이
-
진짜 서럽게 쳐울었는데 작년 수능이 마지막일 줄 알았는데.. 재작년에도 마지막일 줄...
-
가입만 해놓고 다른 해에는 오르비 눈팅도 안 해서 올해 좀 잘했다?는 말은 잘 모르겠군요
-
조회 기간이 아니라고 뜸 조회 언제되는거임?
Lim (a-b)와 같은 형태에서 a,b 둘다 발산하는 형태이면 극한의 연산과 관련된 형태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유리화를 통해 극한의 연산 법칙을 적용 가능한 형태로 바꿔주는것 아닌가요...? 그나저나 일반청의미님 글이 모아보기에서 계속 안보여욤 ㅠㅠ
그래도 lim c/d 에서 c, d 둘다 발산하는 형태일걸요!
사실 lim (x-1)/(x-2)같은거에서 최고차항 지수/계수비교하는게 일상화되어서 놓칠수 있는 부분이지만 x값이 임의의 상수값이 아닌 무한대로 발산했을때의 극한의 경우 lim1/x=0과 같은 몇개의 공리를 적용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한다 (ex.x-1/x-2를 (1-(1/x))/(1-2/x))와 같은 형태로 )뭐 그렇게 배웠던 기억이 나서욤! 유리화도 비슷한 맥락으로 이해했던것같은...
넹 더 자세하게 설명해주면 되십니당.
또한 분모의 유리화는 왜 하는지도 생각해주시면 좋아요.
유익한정보 고맙습니다~~ 이런글은 닥팔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