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oli [361036] · MS 2010 · 쪽지

2011-04-29 20:35:45
조회수 5,478

치환적분 질문 2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088103


 
중간고사 끝나고 썩고있는 공학용 계산기를 꺼내서 먼지를 털고 두드려본 결과....

구간이 어떻던지, 함수꼴이 어떻던지 치환적분값은 치환전과 후가 변함이 없네요..


치환적분 할 때, 맨 아래의 경우처럼 tan셉타의 값이 존재하지 않을때도 적분 가능한건가요??

다시 말하면, 구간이 a,b일때, f(x)의 값이 a나 b사이 혹은 a 또는 b에서 존재하지 않는다 해도, 치환적분이 가능한가요??(공학용 계산기에서는 값이 나왔습니다.)

또, 치환대상(?)(예를들면 tan일때는 cosx) 이 a나 b에서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거나 혹은 폐구간 a,b안에서 연속이지 않을 경우는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Clairaudient · 331715 · 11/04/29 20:40

    정적분을 단지 원시함수에 값을 대입한후 빼주는 연산이라고 하면 그 값은 계산이 가능합니다.

    다만 그것이 통념과 일치하지는 않죠.

    예를 들어보죠

    인테그랄 -1 to 1 1/x^2 dx의 값은 얼마일까요. 1/x^2의 값은 항상양수이므로 그 값은 양수여야 타당할 것입니다. ㅡ 근데 정적분 값은 -2죠.

    이런걸 초월 뭐시기였나.. 논술에서 배웠는데 잊었네요. 뭐 어쨌든 타당하지 않은 경우가 존재합니다..

  • Amoli · 361036 · 11/04/29 20:45 · MS 2010

    구간 내에 발산하는 불연속점이 존재할 경우에 치환적분의 연산값이 실제 값과 다르다는 건가요??

    구간의 끝점이 함수가 발산하는 점이라면요??

    예를들면 0 to 1 1/x^2 dx의 값도 실제값과 다른가요??

    그럼 위에 제가 써 놓은 tan적분도 공학용 계산기가 그냥 "연산"한 결과만 내 놓은거고, 실제값과는 다른건가요??

  • Clairaudient · 331715 · 11/04/29 20:56

    실제값을 알수있을리가 있나요.

    다만 그 실제값이 존재한다고 했을때, 연산값이 그 실제값과 같을리가 만무한 값이 나오니까 문제죠.

    상식적으로 양의 무한대로 발산하는 저 함수에서 왜 음의값이 나오겠습니까.

    y=1/x^2는 우함수니까 반 똑 자른 인테그랑 0to1 1/x^2는 -1이 나오겠네요.

  • Amoli · 361036 · 11/04/29 21:08 · MS 2010

    손으로 계산하면 0to1 1/x^2 는 +무한대이네요.. 위에 써 놓은 tan도 마찬가지구요 ...

  • Clairaudient · 331715 · 11/04/29 21:09

    그렇죠. 그러니까 실제적인 값 ㅡ 이존재하진 않지만.. ㅡ 의 특성과 계산값이 너무나 큰 괴리를 보여주고 있으니깐요.

  • mathemedia · 288134 · 11/04/29 21:25 · MS 2017

    저 값의 문제점은 0에서 정의되지 않아서(연속이지 않아서) 저런 정적분은 교과과정 상에서는 다루지 않죠 ㅋㅋ

    근데 치환적분을 잘못 치환하면 이상한일이 벌어집니다.(교과과정 상에서 다루는 적분도)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3&docId=84761920&qb=7LmY7ZmY7KCB67aEIOydvOuMgOydvCDrjIDsnZE=&enc=utf8§ion=kin&rank=3&search_sort=0&spq=0&pid=gkqq/g331y0ssZusFGdssv--179227&sid=TbqqNwJ-uk0AAF0lREo

    무조건 일대일대응인 함수로 x=g(t)로 둬야되요. (저기 위에 있는 함수들은 우연히 맞는 경우)

    실제값하고 계산값을 다르게 두는 경우는 많죠 ㅋㅋ
    http://pythagoras0.springnote.com/pages/2618314

  • Clairaudient · 331715 · 11/04/29 21:31

    좋은 정리군요 ㅡ

  • Amoli · 361036 · 11/04/29 21:32 · MS 2010

    헐 깔끔하네요 ..

    치환적분할 때, 치환할 함수가 일대일 대응이 아니면 안되는군요.. 감사합니다..

    일대일 대응이 아닐 경우는, 무조건 구간을 나눠서 생각해야겠네요..

  • Loz. · 341872 · 11/04/29 20:47 · MS 2017

    단순히 연산을 했을때 값만 나오는거지, 그래프에서의 넓이와는 다르기때문에 아무 의미없는 숫자 아닐까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