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engee [314134] · MS 2009 (수정됨) · 쪽지

2016-12-28 22:50:21
조회수 3,029

심리학과/경영학과에 대해 무물합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10346192

안녕하세요 대학 졸업을 앞두고 있는 30번대 아이민의 사람입니다

지금 곧 정시 모집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제가 4년간 배웠던 심리학과 경영학 쪽의 전공에 대해 고민하시는 분들은 궁금한 점 답해드리겠습니다

동사서독님께서 아재가 없어진다고 한탄하시는데 제가 할 수 있는 정도는 이정도 같네요

궁금한 점 남겨주시면 답 달아드릴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Que sera sera · 618689 · 16/12/28 22:53 · MS 2015

    경영은 구체적으로 회계말고 뭐를 배우나요

  • Revengee · 314134 · 16/12/28 22:57 · MS 2009

    고대 세부전공 상으로는
    마케팅, 오퍼레이션관리(공급사슬관리), 재무, 회계, 경영정보시스템 (Information Management), 국제경영, 전략, 조직행동 의 8가지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기업의 운영의 각기 다른 측면들을 배울 수 있습니다

  • 정시기다리는 · 702831 · 16/12/28 22:53 · MS 2016

    심리학전공을하면 뭘배우죠ᆢᆢ 진짜막프로이트나융같은거나와요?

  • Revengee · 314134 · 16/12/28 23:07 · MS 2009

    사람들이 대중적으로 접하는 정도가 프로이트 융 정도밖에 없어서 그런것 같습니다
    최신 심리학은 스스로를 과학으로 생각하고 있고, 과학의 가장 중요한 반증가능성의 관점에서 프로이트의 이론은 반증 자체가 불가능하기에 과학의 범주에서 제외시키고 있습니다만, 임상적 치료에 사용되기는 합니다.
    임상/상담은 정신질환을 앓거나(임상), 생활 스트레스나 고민 (상담)을 받는 피상담자에게 상담을 통해 치료 및 변화를 유도하는 분야구요,
    인지/생물, 뉴로사이언스는 거의 과학자 테크라고 보면 됩니다. 인간의 인지과정이나 여러 신체적 지각이나 사회적행동 (공감, 의사결정, 타인 지각~오감각 지각, attention 등)에 대해 연구합니다
    언어 분야는 인간의 언어 프로세스를 연구하구요 (읽기과정, 말소리 지각, 실어증 등)
    사회/문화심리학은 사람은 사회적 상황의 영향을 받는 존재라는 전제하에서 소비자 심리, 사회심리 등을 연구하면서 실생활과의 접점을 찾습니다
    조직, 산업 심리는 조직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인간을 어떻게 관리하는가의 차원에서 접근하며, 건강심리학 분야와 연결되기도 합니다. (종업원의 행복을 어떻게 향상시킬지, 조직 내 생산성을 어떻게 측정할지 등등)

    기타 여러 세부분야들이 있는데 각기 연구하는 방향성이 매우 상이하며, 인지 과학 쪽을 많이 들은 저로서는 거의 이과 같은 공부를 했던것 같습니다

  • 사쿠라코 · 696323 · 16/12/28 22:54 · MS 2016

    리벤지아재다

  • Revengee · 314134 · 16/12/28 23:07 · MS 2009

    닉이 익숙하네여

  • 연대에에에17학번 · 538037 · 16/12/28 22:54 · MS 2014

    심리학 전공이시면 앞으로 뭐하실 생각인가여

  • Revengee · 314134 · 16/12/28 23:07 · MS 2009

    개인적인 건 노코멘트하겟습니다!

  • PKp6XwzYNIDgW1 · 697779 · 16/12/28 22:55 · MS 2016

    경영은 뭘 배우는 학문인가여

  • Revengee · 314134 · 16/12/28 23:09 · MS 2009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기업이라는 조직 내에서 이익창출이라는 최종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떻게 제품 생산 라인을 짤 것인지, 어떻게 기업 브랜드를 소비자의 마음에 포지셔닝하여 상품을 홍보할 것인지, 향후 어떤 전략을 세워서 경쟁자들 사이에서 살아남을 것인지, 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해 어떻게 사람들을 관리할 것인지, IT와 접목하여 어떻게 비용을 절감하고 통합적으로 생산과정이나 조직 운영을 관리할 것인지, 기업운용에 필요한 자금은 어떻게 조달할 것인지 등등 다양한 주제들을 배웁니다.

  • 알바트로스룩끼룩끼 · 536232 · 16/12/28 22:59 · MS 2014

    1. 좀 특정짓기 힘든 질문이지만 대략 어떤 성격의 사람이 경영학 학문의 분위기 및 경영학과 집단의 분위기에 잘 적응한다고 생각하시나요?
    2. 경영학과 졸업생들의 진로는? 매우 다양한가요?

  • Revengee · 314134 · 16/12/28 23:11 · MS 2009

    우리학교를 기준으로만 말씀드리자면 영어 강의가 다른 학과에 비해 훨씬 많기 때문에 영어를 이해하고 교재를 읽는능력에 더하여 발표 또한 영어로 할 수 있는, 그리고 팀플이 많으니까 다른 사람들과 업무를 나누고 의견을 조율하고 하나의 생산물을 창출할 수 있는 협동력이 필요합니다. 학구적인 능력보다는 좀 더 활발하다거나, 돈과 기업과 관련된 주제에 관심이 많은게 좋습니다. 인문학적인 분들은 좀 더 사회정의에 관심이 많고 그런 경우는 약간 안 맞을 수도 있습니다.

    진로는 너무 다양합니다. 대체로 취직이 많고, 고시 로스쿨 cpa 창업 등도 있지요

  • 부삽 · 471209 · 16/12/28 23:00 · MS 2013

    올해 심리 새터 가시나요

  • Revengee · 314134 · 16/12/28 23:12 · MS 2009

    전 새터를 새내기 이후로 가본적이 없습니다 ㅋㅋ

  • 부삽 · 471209 · 16/12/28 23:14 · MS 2013

    헤헷 올해 가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오르비탈출 · 608184 · 16/12/28 23:01 · MS 2015

    전 진로가 제일 궁금하네요 대한민국은 학벌 만능 주의라 고대 정도면 왠만한데는 다 취업 가능하나요?

  • Revengee · 314134 · 16/12/28 23:12 · MS 2009

    아뇨 다들 고생합니다. 물론 눈이 높아서 그런 것일수도 있겠지만, 제가 보기에는 학벌이 좋아진다고 덜 고생하는건지는 모르겠습니다. 결국 기업의 검증과정을 거치다보면 지원자의 면모가 드러나므로 본인의 능력치 자체가 높은게 중요합니다. 누가봐도 능력이 떨어지면 뽑아주는 곳은 없습니다

  • 호앤미 · 663295 · 16/12/28 23:13 · MS 2016

    오 리벤지님 닉보니까 기억나네여 학점괴수 셨던걸로 기억하는뎁 ㄷㄷ..

  • Revengee · 314134 · 16/12/28 23:18 · MS 2009

    ㅋㅋㅋㅋ 기억력이 좋으시네요

  • 호앤미 · 663295 · 16/12/29 12:36 · MS 2016

    4.5만점에 4.4x였던거같은데 ㄹㅇ goat...ㅋㅋ
    님 당시 게시글 보면서 친구들이랑 우와우와 이게 진짜 가능한가
    하면서 감탄했던 기억이 잊히지가 않네요 ㅋㅋ

  • 연고대 18학번 · 703405 · 16/12/28 23:16 · MS 2016

    경영학과 노베로 들어가면 처음에 많이 어렵나요?
    (17학번입니다)

  • Revengee · 314134 · 16/12/28 23:18 · MS 2009

    노베이스요? 베이스가 뭐 필요한가요 ㅋㅋㅋ적당히 자기 관리할줄 알면 되죠 ㅋㅋ

  • 알바트로스룩끼룩끼 · 536232 · 16/12/28 23:17 · MS 2014

    고대 들어가는 건 아니지만.. 경영학과 새내기에게 주는 학점 관리 팁 & 학과 생활 팁이 있으시다면?

  • Revengee · 314134 · 16/12/28 23:21 · MS 2009

    제 예전 글들 중에 학점 관리 팁을 자세히 써둔게 있습니다. 학과는 특정하지 않은 일반론적인 것이지만.

    뭐 학과생활이나 대학생활 모두 사람들마다 굉장히 다르기에 뭐라고 조언할 입장은 안됩니다만, 학과반이 큰데요, 모두 다 친해지는 것은 당연히 불가능하고 그래도 좋은 친구들 몇명 그룹? 같이 만들면 나중에 끼리끼리 모이며 잘 지냅니다. 그런 친구들 사귀는게 중요하죠
    그리고 학과생활 열심히 하고 안하고는 본인 선택이지만 저는 동아리 활동을 추천드립니다. 학과는 군대가는 애들 생기고 하다보면 와해되기 마련인데 동아리는 여러모로 좋은 인연들을 만들어갈 수 있거든요
    학점은..음 경영대는 사실 학업량은 적은 편인것같습니다. 통계나 경제원론 같은데서 조금 고생하는 새내기들은 보았는데, 수업마다 스타일이 다르니 빨리 거기에 적응하는게 중요하구요, 똑같은 수업이 여러개 개설되면 교수님마다 성향도 다릅니다. 본인이 잘 맞는 수업을 빨리 발견하고 그걸 수강신청해서 뚫는게 좋죠. 팀플 비중이 클수도 있고 시험도 서술형 큰거를 내는분도 있고, 객관식 단답형 서술형 다 골고루 자잘자잘하게 내는분도 있구요.

  • 알바트로스룩끼룩끼 · 536232 · 16/12/28 23:24 · MS 2014

    정성 답변들 감사합니다ㅎㅎ 설마 글 지우시진 않죠..?

  • Revengee · 314134 · 16/12/28 23:32 · MS 2009

    네 지우지 않겠습니다...!

  • 파피용 · 667285 · 16/12/28 23:24 · MS 2016

    심리 상담사가 꿈인데 정말 그렇게 심리학 관련한 직업이 비정규직에 박봉인가요? 졸업생 한분을 만나봤는데 금전적인 벌이는 좀 힘들다는 말을 하시더라고요 사람에는 너무 관심이 많은데 현실의 벽 때문에 고민입니다 또 대학마다 특성화된 부분이 다르다고 아는데 한 분야에서 뛰어난 학교를 가는것과 그냥 대학 간판보고 가는것과 어떤게 여러모로 유리한지 궁금합니다

  • Revengee · 314134 · 16/12/28 23:34 · MS 2009

    상담사는 개업을 많이 하는 것 같아서 본인 역량에 달렸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심리 쪽으로 직업을 가질 경우 기대 소득이 낮을 수는 있어요. 본인 하기 나름이지만. 문과는 대학 간판을 보고 가는게 더 맞지 않나 생각합니다. 좋은 대학일수록 타학교여도 좋은 연구실에 컨택해서 갈 수 있는 여지는 있으니까요. 본인이 사회에서 어느정도 높게 평가받느냐가 기본적으로 받춰주는게 좋지 않나 생각합니다

  • 파피용 · 667285 · 16/12/29 00:26 · MS 2016

    기업상담가도 궁금한데 기업상담가가 되려면 무슨 준비를 해야하고 취업한다면 무슨일을 하나요? 페이나 근무환경은 심리 상담사보다는 낫나요?

  • 논술구원설 · 647985 · 16/12/28 23:39 · MS 2016

    마케팅 쪽으로 가려고 하는데 경영학과가 도움이 되나요??

  • Revengee · 314134 · 16/12/28 23:50 · MS 2009

    마케팅은 심리학과도 도움이 많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사실 마케팅이라는게 배움이라는 것과 실무의 괴리가 심하기 때문에 무언가를 배웠다고 더 잘하는것도 꼭 아니거니와, 꼭 경영대를 가야 잘한다고 볼 수도 없습니다. 성과는 기업마다 케바케인데다가, 항상 잘 되는 마케팅이라는 것도 없는거구요. 마케팅을 배워서 어떤 진로를 생각하시는지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학부과정에서는 문과의 경우 학과 선택이 절대적인 중요성을 갖는것도 아니라고 생각하기 떄문에 본인 흥미에 따라 진학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으므너 · 633680 · 16/12/29 20:00 · MS 2015

    학과관련 질문은 아닌데ㅜㅜ 고대학점제도 어때요 일단 드랍도 안되고 또 요새는뭐 총장이 학점제도 재수강해서 받을수있는 최고학점?도 낮췄다는데ㅜㅜ..학점따기 빡세겠죠..?

  • 안광지배철眼光紙背撤 · 559295 · 16/12/30 02:43 · MS 2015

    심리학이라는 학문은 정말 배우고 싶은데 전공을 살릴만한 마땅한 진로를 못찾겠어요 ... 상담사같은 안정적인 직업보다는 계속 제 능력을 개발하면서 더 진취적이라고...해야할까요 그런 직업에 어떤 게 있을까 고민이네요 사실 어떤 면에서는 원하는 공부를 꼭 하고싶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제가 사회적인, 물질적인 성공을 중요시하는 것 같기도 하구요... 일단 저는 전반적으로 다 배우고 싶지만 특히 관심있는 분야는 인지심리? 그 뇌과학 쪽이에요 대학생활하시면서, 글쓴이님이나 주변분들의 경험으로 볼 때 심리학이 졸업이후 진출 분야나 직업이 다양하다고 생각하시나요??? 구체적으로 어떤 진로들이 있을지, 특이한 진로에는 어떤 게 있을지 소개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skvhwhf · 521497 · 16/12/30 18:55 · MS 2017

    경영 컨설턴트가 꿈인데 심리학과로 가서 복전 경영 해도 가능할까요? 사실 경영이라기보다 컨설팅을 좋아해서... 대학은 최고라는 전제 하에 질문해보고 싶습니다

  • 대학가고 싶은.. · 557745 · 16/12/30 19:40 · MS 2015

    4면동안 느끼셨던 고대심리학과와 연대 심리학과의 차이점은 무엇이었나요?

  • sssssshha · 696178 · 16/12/31 21:08 · MS 201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