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 먼 옛날에 태양계가 탄생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서... 5
지구 궤도 부근 라그랑주 4 지점에 화성 크기의 또 다른 고대 행성인 테이아가...
-
주스 탐사선과 유로파 클리퍼 탐사선이 목성의 위성인 유로파에 가서 표면 아래 바다에...
-
우주에서 배경 중력파가 나오는걸 최초로 저주파 형식의 확실한 증거로 포착함
-
2030년대에 많은 우주의 비밀들이 풀릴 수 밖에 없는 이유... 12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우주의 깊은 곳을 바라보는게 주 임무 주스 탐사선 -목성의...
-
시작에 불과할 수도 있다... ㄷ.ㄷ
-
인간이 어디서 왔고 어떻게 진화했는지에 대한 근원적 질문에 2
천문학적 답변을 하는 것이 제 사명입니다 -by 미 우주 망원경 연구소 STSCI...
-
(대충 칼텍에서 나사 연구소와 같이 작성한 천문학 논문의 일부를 보여주는 사진)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은 진짜 우리 인류의 강력한 눈이라고 불릴 자격이 있다...
-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이 350억 광년 떨어진 은하를 관측했을땐... 4
아는 사람만 관심을 가지더니... 이 발견도 대단히 중요한 관측이긴 한데요......
-
근데 금성은 더 습하고 더 덥답니다....
-
옛날에는 우리 은하가 우주의 전부라고 생각하던 시절이 있었음 0
하지만 그게 아니었다는 사실을 알게되고 현재는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만...
-
인류는 관측 불가능한 우주의 영역을 영원히 못 볼 확률이 높음 0
지금 이 순간에도 아주 멀리있는 항성들은 우리에게 영원히 도달하지도 못 하고 우리가...
-
유엔에 따르면 이제부터는 지구가 끓는 시대라고 합니다....
-
평생 지표면 바깥 세상을 볼 수가 없으므로 이들은 우주라는 영역을 영원히 알 수가...
-
2036년에 발사될 예정인 인터스텔라 프로브의 속도가 3
초속 90km라고 하는데... 이렇게 50년을 쉬지 않고 달려도 1 광년의...
-
항성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보다 우리 은하를 정처없이 떠돌아 다니는 행성들의 숫자가...
-
태양계는 우리 은하의 원반에 위치해 있어서 은하수 너머의 은하들을 관측하는데 난항을...
-
그건 저도 모르겠네요...
-
아쉽지만 인터스텔라 영역으로 가는 여행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
우리 태양계도 다른 항성계와 마찬가지로 우리 은하를 공전하는데 하필 태양계가 공룡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