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최석호 [420950] · MS 2012 · 쪽지

2013-11-03 18:36:18
조회수 2,329

[최석호 샘] 많이 늦어 아쉬운 문법이야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3903201

[최석호 샘] 많이 늦어 아쉬운 문법이야기 


 


 


언어 습득은 공식 같은걸로 하는게 아님


 


중국 어느 변방 첩첩산골에 평생 밭만 매던 할머니도


지금 이 시간에도 창 들고 임팔라를 쫒고 있을 아프리카 부족마을 청년도


 


언어를 따로 공부해 본 적은 없음


 


우리도 어릴 적


 


사과'를' 먹는건지


사과'가' 먹는건지 따로 배우지 않아도


 


많은 언어를 접하며 자연스럽게 습득


 


4형식 5형식


주어 동사 찾아가며 퍼즐 끼워 맞추듯 조합해 내는


이상망측한 방법은 좀 그만했으면 함


 


 


물론 수능 어법의 경우 많이 바뀌긴 했지만


아직도 일부 문법적인 부분이 남아있는건 사실


 


하지만 이제 충분히 절대다수 문항이 문맥 과 관용어구의 숙달 등


독해적인 투자 만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물론 문법적으로 접근해 정답률이 조금 더 높아질 학생의 경우도 있기야 하겠지만


 


얻을 수 있는 점수에 비해


문법 공부 자체가 워낙 방대하고 지루해


시작 후 다 끝날 때 까지 살아남는 학생도 소수


 


끝까지 살아남은 학생도 비효율적인 시간 출혈을 피할 수 없음


 


 


수능 외국어 어법성 판단 3문항


문법적으로 접근해 개념강의 등 50~60시간을 투자해도 다 맞춘다는 보장은 없다


 


해석 상으로 독해 지문 읽듯 자연스럽게 접근한다면


 


어떠한 공식이나 암기 등 별도의 투자 없이도 충분히


위와 비슷한 혹은 그 이상의 정답률을 얻어낼 수 있으며


 


 


일반 독해파트와의 시너지 효과도 극대화 시킬 수 있음


 


 


우리는 아주 간단하고 근원적인 몇가지의 원래와 개념만 습득 후


나머지 세부 사항들은 계속되는 실전 속에서 


틀린 문제들를 통해 자연스럽게 빈곳을 채워나갈 수 있다


 


 


 


 


12학년도 6월 20번


 


해석> 


 1762년에 이 섬은 영국인들이 차지했는데,


그들은 파리 조약에 의해서 그 다음해에 프랑스인들에게 그것을 돌려주었고


그 이후로 그것은 후자(프랑스)의 소유로 계속있다.


 


 


본문>


 In 1762, this island was taken by the English, 


         


(who / where) restored it the following year to the French by the peace of Paris,


  


and since that time it has been in the possession of the latter.


 


 


기존의 문법 해설>


뒷 문장이 주어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므로 주격 관계대명사 Who가 와야 한다. 


  


 


내가 생각하는 풀이>


 


 In 1762, this island was taken by the English, 


 1762년에 이 섬은 영국인들이 차지했는데,


 


 (who / where) restored it the following year to the French by the peace of Paris,


 (그 들 / 그 곳) 은 파리 조약에 의해서 그 다음해에 프랑스인들에게 그것을 돌려주었고


 


 and since that time it has been in the possession of the latter.


 그 이후로 그것은 후자(프랑스)의 소유로 계속있다.


 


 


당연히 의미 상 그들(주체)가 와야 함  


 


 


 


 


12학년도 수능 20번


 


해석>


 7개월 후, 첫 번째 장난감들이 그것들이 분실되었던 곳으로 부터 3540Km 떨어진


알라스카 Sitka 근처 해안가에 상륙했다


 


 


본문>


 After seven months,


 


the first toys made landfall on beaches near Sitka, Alaska,


 


3540Km from (What / Where) they were lost.


 


 


기존 문법 풀이>


선행사가 없으므로 둘 다 쓸 수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뒷문장이 완전한 문장이므로


선행사 the place가 생략된 관계부사 where가 적절하다.


 


 


내가 생각하는 풀이>


After seven months,


7개월 후,


 


the first toys made landfall on beaches near Sitka, Alaska,


첫 번째 장난감들이 상륙했다.  알라스카 Sitka 지역에


 


3540Km from (What / Where) they were lost.


3540킬로미터 떨어진 (무엇 / 장소) 로부터 잃어버려졌었던  


 


의미 상 당연히 장소 그 곳이 정답.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3898071
[최석호 샘] 건강한 몸 맑은 정신 즐거운 수능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3895027
[최석호 샘]수능 10일 전 철저하게 분업화된 마무리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3879642
[최석호 샘]나는 강남 과학고 스파르타 종합반 원장이었다 2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3877335
[최석호 샘]아직까지 EBS 연계가 끝나지 않은 불쌍한 영혼들을 구제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3870881
[최석호 샘]나는 강남 과학고 스파르타 종합반 원장이었다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3861077
[최석호 샘] x1.2 배 빠른 작은 투자 하드코어 외국어 듣기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3851212
[최석호 샘] 내가 많이보고 많이 생각하는 재수 언어영역 파트별 공부 흐름도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3843509
[최석호 샘] 최석호 수학 선생님의 수리영역을 위한 절대 사소한 13가지 조언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3831813
[최석호 샘] 시간 투자하기에는 아깝고 안 보기엔 뭔가 불안한 취약과목 하드코어 하루 총정리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3828611
[최석호 샘] 수학 백지상태인 학생들을 위한 하드코어 걸음마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3825475
[최석호 샘] 9-11월 보편적인 하드코어 시간표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3813551
[최석호 샘] 9월 평가원 절대 디테일한 시험 당일 요령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3809426
[최석호샘] 9월 평가원 대비 5일 마무리 하드코어 일정표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3805688
[최석호 샘] 70일 남은 수능 조금 다른 외국어 정리 방법.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3794970
최석호 샘] 80일 남은 상황에서 약점과목 3일 인강 몰아치기.
http://orbi.kr/bbs/board.php?bo_table=united&wr_id=3783384&sca=&sfl=mb_id%2C1&stx=russ84
[최석호 샘] 평가원 대비 하드코어 수능 준비물 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학 최석호 · 420950 · 13/11/03 18:40 · MS 2012

    꼭 하고 싶은 이야기였는데 시간이 늦어 아쉽고
    또 두가지 밖에 예시를 들어주지 못해 아쉽네요.
    이런 방식 접근한 딱히 마음에 드는 기존 컨텐츠가 없어
    시간이 된다면 언제 한번 직접 출판물이나 강의로 라도 정리를 해 볼 생각이에요. 쪽지 보내 준 학생들 많이 늦어 미안합니다 엉엉 ㅠ
    계속 보내고있는데 수능 끝나고야 답장 하는 쪽지도 있을것 같아요
    계속 밤을 새서라도 보내줄테니 기다려 주세요 ㅠㅠ

  • 형용하게 · 469193 · 13/11/04 14:33 · MS 2013

    네 쪽지 꼭 기다리겠습니다.!

  • 수능대박날껴 · 428271 · 13/11/03 19:02 · MS 2012

    제가 9평 시험을 보고 깨달은것이네요! ! 확신주셔서 감사드립니당! 꼭 올해는 문법만은 안 틀려야지ㅠ

  • 수학 최석호 · 420950 · 13/11/03 19:32 · MS 2012

    으왕 화이팅 시험 잘 보길 바랄께요ㅎㅎ

  • 인증주스 · 417627 · 13/11/03 19:29 · MS 2012

    이렇게 한다고 문법을 대비할수 있을거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 수학 최석호 · 420950 · 13/11/03 19:42 · MS 2012

    기존의 문법이 이미 익숙하고 옳다고 생각하는 학생은 그 방식대로 해도 좋은 점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해석상과 어구의 익숙함을 통해 풀이하는 학생들도 마찬가지에요:)
    상위권 중 이미 적지 않은 수가 어색함을 통해 매번 만점을 얻어내고 있습니다ㅎㅎ

    나는 둘 중 어떠한 방법을 택한 학생들이던 끝까지 자신감 잃지 말고 얼마 남지 않은 수능에서 좋은 점수를 얻었으면 하는 바램이에요 두쪽 모두 화이팅요:)

  • 전화번호부 · 444735 · 13/11/03 23:24 · MS 2013

    매번 그렇게 풀어왔고 나름 괜찮게 맞아왔는데 뭔가 확신이 없는 느낌이고
    찍는기분이 드네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