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리는수미잡 [584252] · MS 2015 (수정됨) · 쪽지

2016-11-11 00:55:09
조회수 970

윤리와 사상 OX (수능특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561673

맹자

1. 역성혁명은 혁명 주체의 높은 도덕성을 요구하는가?

 

양명

2. 선한 마음을 통해 만물의 이치가 드러나는가?

3. 도덕적 앎이 도덕적 실천의 시작인가?


에피쿠로스

4.즐겁게 살지 않고서 사려 깊게 사는 것은 불가능한가?


스토아

5.이성이 부여한 사회적 직분을 충실히 수행해야 하는가?


아우구스티누스

6.신앙은 이성의 완전한 기능 수행에 기여하는가?


홉스

7.윤리적 행위의 유일한 기준은 자신의 이익인가?

8.자연 상태의 개인들은 이성을 통해 자연법을 수립하는가?


9.더 높은 능력을 가진 사람이 행복하려면 열등한 사람보다 더 많은 것을 필요로 하는가?


제임스(실용주의)

10.옳은 것이란 우리에게 현실적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인가?


키르케고르

11.종교적 단계에서 인간은 자신의 실존을 자각하는가?


야스퍼스

12.다른 사람의 실존적 삶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가?


노직

13.타인의 처지를 악화시키지 않는 한에서 어떤 사물을 사유화해야 하는가?


왈처

14.특정한 영역의 독점은 어떠한 경우에도 적절하지 못한 것인가?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rmTJ1w0CeoVcjQ · 615770 · 16/11/11 01:36 · MS 2015

    XOOXOOXXOOXOXX 우수수틀릴느낌ㅠㅠ

  • 진리는수미잡 · 584252 · 16/11/11 01:38 · MS 2015

    11번, 14번 빼고 전부 O입니다

  • 어억이 · 667736 · 16/11/11 02:06 · MS 2016

    7번은 왜 o인가요 ㅠ

  • 긍정파괴하고있는그대로 · 601955 · 16/11/11 02:50 · MS 2015

    사회적이익이라 그런듯

  • 진리는수미잡 · 584252 · 16/11/11 02:52 · MS 2015

    홉스의 중요 개념 중 하나인 윤리적 이기주의의 기본 전제입니다.

  • 긍정파괴하고있는그대로 · 601955 · 16/11/11 02:51 · MS 2015

    1번 모르던 사실... 혁명 주체 도덕성까지 고려했나요 교과과정에서

  • 진리는수미잡 · 584252 · 16/11/11 02:53 · MS 2015

    모든 출처는 수능특강에 있습니다. 왼쪽 날개 부분이었던걸로 기억합니다

  • grace0609 · 512409 · 16/11/11 05:36 · MS 2014

    11번 설명해주세요ㅠ

  • 도화행화두견화 · 611932 · 16/11/11 11:43 · MS 2015

    11은 자각이아니라 회복같아요!

  • 진리는수미잡 · 584252 · 16/11/11 11:50 · MS 2015

    이렇게 설명해도 맞는 말입니다
    윤리적 단계에서 실존을 자각하고
    종교적 단계에서는 실존을 회복하니 말입니다
    ^^

  • 진리는수미잡 · 584252 · 16/11/11 11:49 · MS 2015

    실존을 자각하는 건 윤리적 단계입니다.
    키르케고르는 실존의 단계를 3단계로 나누는데, 미적 단계에서는 향락에 빠져 살다가 머지않아 그 쾌락에 굴복하고 좌절하게 됩니다.
    윤리적 단계에서 인간은 자신의 실존을 자각하고 도덕적으로 살아가지만, 다시 불안에 빠져 절망합니다.
    그렇게 해서 인간은 주체적으로 신에게 귀의하는데, 이것이 종교적 실존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불안과 절망이 극복됩니다.
    실존을 자각하는 것은 윤리적 단계이기에, 저 선택지는 틀린 것이 됩니다.

  • grace0609 · 512409 · 16/11/11 17:51 · MS 2014

    실존의 자각이란건 무슨 의미인가요??

  • 진리는수미잡 · 584252 · 16/11/11 18:33 · MS 2015

    쾌락과 향락만을 추구하는 미적 단계에서 벗어나 자신의 올바른 위치를 알고 주체적으로 어떻게 행위해야하는지를 자기 스스로 선택하게 하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지금, 여기, 나는 무엇인가?'에 대한 답을 찾는 것입니다.

  • 21111 · 633112 · 16/11/11 09:24 · MS 2015

    11 12 13 14 설명좀요 ㅠㅠ

  • 진리는수미잡 · 584252 · 16/11/11 11:57 · MS 2015

    11번은 윗 댓글을 참고햐주시기 바랍니다.
    12번
    야스퍼스에게 있어서는 '한계상황'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이것이 인간에게 자기 실존의 참된 의의를 드러내며, 이로써 세계에 대한 과학적 견해에서 벗어나 실존 그 자체에 직면하고, 또 신에 대한 참된 경험도 하게 됩니다. 야스퍼스는 이렇게 실존에 눈뜬 인간의 교제인 '실존적 교제'가 진실한 인간 사회의 존재방식이라고 합니다.
    이 실존의 교제란, 다른 사람의 실존적 삶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수능완성 선택지로도 나와있으니 찾아보시길 바래요

  • 진리는수미잡 · 584252 · 16/11/11 12:04 · MS 2015

    13
    많은 분들이 노직을 자유짱짱!! 내자유는 아무것도 침해 불가능!! 이라고 아시는데, 모든 자유주의자에게 있어서 가장 기본적으로 통용되는 원칙은 '타인의 자유를 침해하면 안된다' 입니다. 아시다시피 이것은 밀도 마찬가지입니다. 나의 자유가 엄청난 가치를 지니듯, 타인의 자유 또한 엄청난 가치를 지니니까요.
    그래서 노직은 그 자유를 지키기 위해 '타인의 처지를 악화시키지 않는 한에서' 어떤 사물을 사유화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내 지나친 자유의 남용이 다른 사람의 자유룰 침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출처는 수능특강 노직 개념설명 부분입니다

  • 진리는수미잡 · 584252 · 16/11/18 15:23 · MS 2015

    1. 노직의 정당한 최초 취득의 원칙
    사회 구성원각자는 최초로 어떤 것을 취득할 때 타인에게 부정이나 불법을 저지르지 않는 한 그 소유물을 취득할 권리를 가진다.
    노직에게 있어서 최초 취득의 정당성은
    단순히 자신의 노동을 통해 따내는 것이라면 뭐든 자기꺼라는 말이 아닙니다. 타인에게 부정이나 불법을 저지르지 않는 한에서만 그 소유물을 취득할 권리를 가집니다.
    많은 분들이 노직을 자유짱짱!! 내자유는 아무것도 침해 불가능!! 이라고 아시는데, 모든 자유주의자에게 있어서 가장 기본적으로 통용되는 원칙은 '타인의 자유를 침해하면 안된다' 입니다. 아시다시피 이것은 밀도 마찬가지입니다. 나의 자유가 엄청난 가치를 지니듯, 타인의 자유 또한 엄청난 가치를 지니니까요.
    그래서 노직은 그 자유를 지키기 위해 '타인의 처지를 악화시키지 않는 한에서' 어떤 사물을 사유화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내 지나친 자유의 남용이 다른 사람의 자유룰 침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출처는 수능특강 노직 개념설명 부분입니다

    이거 써줬다는 것만으로 전 자부심 가질렵니다

  • 진리는수미잡 · 584252 · 16/11/11 12:05 · MS 2015

    왈처는 특정한 영역의 독점이 다른 영역을 침해하지만 않는다면 해당 영역의 독점은 정당화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 21111 · 633112 · 16/11/11 13:57 · MS 2015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하나만 더 질문드려도될까요
    야스퍼스와 키에르케고르가 유신론적실존주의이고
    하이데거와 샤르트르가 무신론적실존주의 맞나요??

  • 진리는수미잡 · 584252 · 16/11/11 14:24 · MS 2015

    하이데거는 잘 모르겠습니다. 나머지 세명은 맞는걸로 압니다

  • 아카페라 · 671623 · 16/11/12 20:28 · MS 2016

    6,8번 질문드려요
    6번 아우구스티누스는 신앙과 이성에 교집합이 없다고 본 것 같애서 이성에 기여안할줄 알았습니다. 그럼 이성은 신앙에 기여할 수없고 신앙은 이성에 기여할 수 있는건가요?
    8번 자연법을 수립한다는게 무슨 뜻인지 잘 모르겠습니다ㅠ 자연법은 원래부터 존재해오던거 아닌가요? 인간이 만든건가요?

  • 진리는수미잡 · 584252 · 16/11/13 00:24 · MS 2015

    홉스에서 법은, 진정한 법은 반드시 입법자가 있어야 하는데, 위의 정의에선 자연법에 대해선 이성 자체가 이 입법자 역할을 하고 있다는 강한 인상을 주고 있다. 그러나 이성은 인격(person)이 아니기 때문에 그 자체가 온전한 입법자일 수 없는 만큼, 자연법은 온전한 의미의 법일 수는 없다. 그런고로 대다수의 학자는 홉스에게선 자연법은 진정한 법이 아니고 차라리 일종의 타산적 격언(prudential maxims)이라고 결론짓고 있다. 이와 같은 해석에 따르면 자연법은 자연 상태에서 벗어나는 최선의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리바이어던』 14장 3절에서 제시되고 있는 자연법 정의는 다음과 같다 : "자연법(lex naturalis)이란 이성에 의해 발견된(1) 계율 또는 일반 법칙(2)이며, 그것에 의해 사람은 그 생명을 파괴한다든가, 생명 보존의 수단을 제거한다든가와 같은 일을 행하는 것이 금지되게 된다(3).


    홉스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여기서 '수립'이란, '원래부터 존재해오던 자연법을 이성의 힘을 통해 계율로 삼는다'라는 뜻으로 받아들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정확하게 '수립'이라고 보긴 어렵습니다만, 수능특강 답지에 나온 표현이라 우선 실어놓았습니다. 평가원에선 조금 더 정제된 선지로 출제될 것 같습니다

  • 진리는수미잡 · 584252 · 16/11/13 00:25 · MS 2015

    네. 아우구스티누스는 신앙이 이성의 완전한 기능(신을 올바르게 믿고 신의 명령에 따라 사는 것) 수행에 기여한다고 말합니다.

  • 아카페라 · 671623 · 16/11/14 18:04 · MS 2016

    저 수능특강 9단원 홉스문제에 답지 다 찾아봤는데 국가수립 이란말만 나오고 자연법수립이란 말은 못찾겠네요.. 죄송한데 답지 몇페이지에 나오는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 교대1798 · 689021 · 16/11/16 12:32 · MS 2016

    2번이 왜 맞는선지인가요?ㅠㅠ 양명도 만물의 이치가 있다고 했나요?

  • 긍정파괴하고있는그대로 · 601955 · 16/11/19 01:04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