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biQ] 2017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The Final 시행 공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530839
루카스입니다.
전쟁같은 강의 스케쥴이 거의 다 끝나가네요 ㅜㅜ
쪽지로 질문이나 자료 요청하신분들에게 일일이 답장을 못해드려서 죄송합니다 ㅜㅜ
자! 이제 마지막이네요.
공부를 완전히 마무리하실 시간입니다.
올해 마지막 오르비 모의고사를 진행하겠습니다.
실제 오프라인에서 수많은 고3, N수생들에게 제공했던 모의고사입니다.
한번 풀어볼만한 가치는 있을 겁니다^^
시행 일시는 11월 12일 밤 10시 30분 - 생활과 윤리
11월 13일 밤 10시 30분 - 윤리와 사상
사회문화와 법과정치는 시행하지 않겠습니다.
따로 피드백을 받아드려야되는데... 몽몽님처럼 정성껏 답변을 달아드릴 수 있을지 걱정입니다 ㅜㅜ
여하튼 끝까지 열공 고고싱입니다~!
화이팅~!
11월 7일.. 서초동 연구실에서 루카스 드림!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얼마전부터 삼반수 시작햇는디 작년에 동아시아사 쉽게 생각햇다가 수능때 개털렷는데...
-
아 왤케 0
실력이 안오르는거 같음
-
내가 뭔가를 틀렸다는 게 중요함
-
안풀어봤는데 풀만한가용?
-
삼수생이면 재학구분을 재수생으로 해야됨?그 외라고 해야됨?
-
생1에 비해 시험장에서 연습통해 안정적으로 풀 수 있는 과목일까요? 표점이나...
-
고2때 만든 문젠데 풀어보실분
-
금일 통역 ㅇㅈ 8
오늘도 으랏찻차!!! 야밤에 통역 겸 스터디한 1인!
-
오늘 너무 피곤해서 눈이감긴ㄷ. ....
-
동아의는 1
동아의 경한 중 어디가 더 높음?
-
10일차 1
-
여름엔 캐나다나 호주로 대피하는건데 ㅠㅠ
-
물멍이 진짜 ㅈ되는 거 아시나요
-
반성할게이
-
하나로 곧잘 모아지지가 않네
-
이거 평형 II의 K를 구하면 x=[C]^2/[A]^2 •[B]인데 구하고자 하는...
-
둘 다 사서 연구하고 싶은데 지금 빈털털이라 둘 중 하나 사야함요 이번에 사면...
-
문제 ㄹㅇ 왤케어렵게 느껴지지
-
문제가 나랑 잘 맞는것도 있지만 이런문제도 혼자힘으로 7분정도 걸려서 푼거보면...
-
최근 급하게 세지로 틀었는데 시간도 없고, 또 제가 인강 집중을 유난히 못하는...
-
그날만 생각하고 내일의 불안을 버리기
-
220614도 비슷하게 풀림
-
약대 가고 싶은데....... 5덮 언매 87 미적 80 영어 1 물1 31 생1...
-
각자마다 밤을 어떻게 지내는지 궁금함
-
인스타 하는 시간이 계속 쌓이다보니까 점점 많아지고 내가 저장한 걸 찾으려고 폴더를...
-
가게 해주세요 ㅠㅠ
-
해장 ㅇㅈ 11
-
내일부터 할게 급증한다
-
사실 생명 강사 절대다수가 서로 카피하고 있는데 ㅋㅋ
-
화작확통생윤사문 수학 100뜨는 상황인데 2-3년 잡고 수능 공부할꺼임ㅇㅇ 동아의...
-
수학 잘하시는 분들의 공통점을 분석해봤는데 1. 상황 이해를 잘한다 2.계산을...
-
이상한학원 쳐다녀서 4월까지 기출은 한번도 안풀어보고 간쓸개랑 ebs만 함 내가...
-
* 자세한 문의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 연락 바랍니다....
-
아래 링크로 와주셔서 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문적으로 커리큘럼 학습...
-
노대겠죠?
-
지금 윤성훈 불명강 2회독,기출 1회독, 엠 스킬, 수특 다 끝냈는데 이제 뭐해야...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분명 100퍼 수강한 강좌들인데 얼마전부터 갑자기 44퍼 이따위로 나오는데 뭐죠 이거..?
-
야 김옵붕! 7
공부 잘 돼? 아니요 ㅠㅠ
-
5더프 성적으로 2
대학 어디까지 될까요?( 성적표에 나오는 대학은 좀 허황된거같아서..;) 언매 88...
-
새 닉 어떰 8
으흫
-
현재는 중앙대 경제긴 한데 더 높여야 될까요 더 낮춰야 될까요
-
언매 기하 한지 동사센츄 복구 완 올해 에피도 따고 싶군요
-
24학년도 7월 학력평가 20번이에요. 문제의 구조를 살펴보면 주어진 조건이 굉장히...
-
그대의 봄에 감히 내가 끼어있기를 바라도 될까요 울부짖으며 찾고 있는 그 눈길 감히...
-
푸아송괄호 3
뜬금없는데 갑자기 생각남
-
수2 자작 5
난이도는 중-중상 정도인 것 같습니다.
-
시간이 부족했다는 얘기 맞죠? 문제 자체는 추론 거의 없고 상황은 바로 보이지만 답...
끝까지 힘내세요. 화이팅~! 그리고 저랑 올 한해 열공했던 수험생 여러분들 진심으로 수능 대박 기원합니다!!!! 사랑합니다^^!~
감사합니당 꼭응시할께요
화이팅~!
이런. 모의고사 생성이 안되네요 ㅠㅜ 토요일에 문제를 하루동안만 그냥 이 게시판에 게재하겠습니다. 화이팅입니다^^!!
생서어어어어어어엉 해드렸어요오오!!!
감사드립니다!!~^^
루카스님 모의고사 사서 풀고 있는 학생인데요 정말 궁금한게 있어서요..ㅜㅜ
꼭 답 받고 싶습니다 모의고사에 몇번 등장한 선지인데요 데카르트 입장에서
방법적 회의 출발 점인 제1원리는 의심할 수 없는 명제이다
이걸 틀린선지로 보셨는데,,이건 맞는 선지아닌가요?
방법적 회의의 결과물이 바로 제 1원리, 즉 Cogito ergo sum 입니다^^
제 1원리는 논리적 연역의 출발점인 것이죠^^
화이팅!~
개발팀에서 생성해주셨네요^^ 감사드립니다. 오늘 밤 10시 30분부터 생활과 윤리 시작합니다!~ 끝까지 힘내시고 화이팅입니다!!~
모의고사 감사합니다~
뽑아서 풀었는데요 50점 나왔어요 많이 어렵다고 하셨는데 수능대비 충분할까요?
만점이시면 공부가 끝나셨다고 보시면 됩니다^^ 화이팅입니다~!
아..하루늦어버렸는데 생윤문제지좀 어떻게 구할수없을까여
oq.atom.ac 로 가시면 볼 수 있습니다. 월요일에 문제 공개 끝낼 예정이니까 지금 바로 응시해보세용^^ 끝까지 화이팅~!
혹시 9번에 ㄱ선지 설명좀 해주실수있나요ㅠ??
생윤이요!
데카르트는 동물에게 영혼이 없고 기계와 같다고 생각해서요
고통을 느낄 수 없다고 봤어요 동물을 그냥 기계,인형처럼 봐서요
윤사 정말 잘풀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질문할 게 하나 있어요ㅠ
15번에 4번선지 "윤리적 단계에서 절망을 극복하고 실존을 찾아야 한다고 보는가?" 가 있는데 이게 키르케고르 입장에서 틀린거라고 되있더라구요.
근데 제가 알기엔 맞는거같아서요 ㅠ 키르케고르의 심미적단계> 윤리적 단계 > 종교적 단계 에서 제가 알기로 윤리적단계에서 실존을 찾아야한다고 자각하고 종교적 단계에서 신앞에선단독자로서 참된 실존을 행하게되는거잖아요. 제가 잘못 알고있는지 설명좀 부탁드립니다ㅠㅠ
윤리적 단계에서는 절망을 극복할 수 없고 실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알고있는데요...아닌가요?
님말이맞음. 윤리적단계에선 자각만 하는 단계. 4번선지가 뭔가 중의적으로해석되는거같아요 저만그런가 4번선지보시면 "절망을 극복하고 실존을 찾아야 한다고 보는가" 에서 '절망을 극복' 만보면 틀렷지만 '절망을 극복하고 실존을 찾아야' 이걸 자각으로 봤어서 ㅠㅠ 헷갈리네요
생윤윤사 둘다 잘풀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질문두개만 부탁드릴게요 ㅠㅠ
윤사 15번에 ㄱ선지가 틀렸다고 되있는데요
(가)사상가는 밴담아닌가요?? ㄱ선지 설명좀 부탁드려요.. 그리고 ㄷ선지도 칸트에게 맞는선지인가요?
생윤 3번에 ㄹ선지에요
양명만 해당되는선지아닌가여??성리학도 행동안하면 아는게 아니라고 주장하나요??
윤사가 아니라 생윤15번이신거 같은데..
벤담은 공리주의자라서 개인의 행복만 극대화하는 게 아니라 사회 전체의 행복 극대화를 주장해요 그리고 그 사회전체의 합은 각 개인들의 합이니까 자기 한사람만의 행복을 극대화하는게 아니에요
ㄷ선지는 칸트의 입장이 맞아요 도덕법칙 의무 정언명령 이런 얘기니까 칸트죠
생윤3번이 아니라 윤사3번이신듯
주자나 양명이나 지행일치 주장합니다
앎과 실천이 분리되냐 안되냐 차이가 있지만 둘다 행동(실천)해야 한다고 해요
아 과목바꿔서질문했네요ㅎㅎ..감사합니다
근데요 ㄱ 선지에요 개인의행복만을 극대화하기위해가 아니라 개인의행복을 극대화하라고 되있는건 틀린말은 아니지 않나요??
솔직히 저도 윤리 빠삭한건 아니라서 정확히 설명은 못 드리는데요 ㅜㅜ
벤담에겐 자신의 행복을 극대화하라는 것 보단 사회 전체의 행복 극대화가 어울린다고 생각하고 그래서 거짓말을 하는 건 안된다고 생각했어요
거짓말을 해서 더 비싸게 파는 건 자기 자신만의 행복을 극대화하는 거잖아요
질문있는데요..
원효는 물론 종파분리되기 전이긴 하지만
그래도 아우르는 수행법을 주장해서 교종과 선종의 수행법을 겸해야 한다고 생각했거든요?
근데 선지에 그렇게 나오면 틀린거에요?
그리고 증산교는 일상생활 속에서이 수행을 주장하지 않았어요?
원불교와 차이점인가요?
6번 문제 정답 4번 맞는건가요..? 아무리봐도 묵가 제시문은 아닌거 같아서 풀고 나서 제시문 고대로 검색해보니 맹자의 글에 있는 내용이라는데.. 그럼 6번의 ㄴ은 말이 안되지 않나요? 친소를 구분하지 않는 것을 사랑의 시작으로 보았다니.. 확인해주세요~~
그리고 7번의 2번 선지는 어느부분이 틀린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