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오띵 [556931] · MS 2015 · 쪽지

2016-09-26 19:38:41
조회수 1,127

올해 비문학 예술 지문 예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238957

'미의 이론' 예상해봅니다.



[고대~근대 르네상스]

•'미' = 객관적인 형식적 성질 = 조화(청각), 비례(시각)
*단, 기원전 5세기경 조화(청각)는 미의 범주에서 제외

•'추' = 탈형식

•미의 형이상학적 전제
 (1) 피타고라스 : 수적 본질의 우주론
 (2) 플라톤 : 초월적 본질의 이데아
  --> '미'의 이원적 개념
 (3) 플로티누스 : 플라톤과 대립
  --> '미'의 연속적 개념



[18C 근대 미학]

•'미' = 대상에 의해 마음 속에 환기된 즐거움

•'미적 무관심성', '무관심적 즐거움'

•미적 판단 - '취미', '숭고', '풍려'

•영국의 '경험주의 철학' - 존 로크, 흄

•영국의 '취미론'과 그에 대한 세 가지 비판
 (1) 경험주의적 반론
 (2) 현상학적 반론
 (3) 논리적 반론 - 스튜어트, 비트겐슈타인



원래 취미론하면 칸트지만, 이미 수능에 출제되었으니..

이에 대한 학습은

•2015학년도 수능AB '칸트의 취미판단이론'
•2008학년도 9월 '미적 무관심성'
•2017학년도 수능 특강 13,14쪽
(수능 특강 지문 출처 : 오병남 교수의 '미학강의')
--> •요약 블로그 : http://m.blog.naver.com/laterre327/70043118566

이 정도로만 해놓으면 연계 출제되었을 때 동화책 읽듯 지문 독해 가능할 듯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