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치] 개념을 버리고 연습부터 해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188790
2002년에 서울대 공대생이 전국적으로 망신을 당한 적이 있습니다.
서울공대 02학번 신입생이 브레인 이미지를 휘날리며 퀴즈쇼에 나갔는데
그만 '감자'라는 소설의 작가가 누구인지를 맞추지 못하는 사태가 일어난 것이지요.
김동인의 감자. 이걸 모르는 서울대 공대생?
여기에 대해 사람들은 이런 식으로 얘기를 했습니다.
1. 단군 이래 최저학력이라더니 요즘 애들 정말 공부 안 하는구만…….
2. 서울대 뒷문으로 들어간 거 아니냐? 빵꾸 뚫려서 들어간 거지?
3. 요새 의대 광풍이라더니 서울대 공대 완전히 망했네.
그 당시 의외로 파장이 큰 사건이었어요.
그런데 저는 이런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 응? 김동인의 감자를 모르고도 수능 고득점을 했고, 서울대에 들어갔구만. 아주 훌륭해.
쉽게 말해서 이 세상에는 두 종류의 학생이 있었습니다.
1. 감자의 작가 이름이 김동인이라는 것을 외웠지만 서울대에 못 들어간 학생.
2. 작가 이름은 모르지만 ‘감자’라는 소설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어서 서울대에 들어간 학생.
너무 단순화시켰죠? 어쨌든 망신당한 서울대생은 두 번째 케이스이네요.
94학년도부터 수학능력시험이 도입되었어요. 그 전까진 학력고사였습니다.
학력고사는 암기식입니다. 지식평가에 초점을 맞추었지요.
수능은 역량평가입니다. 제시문 해석 능력에 초점을 맞추었어요.
학력고사에 익숙한 기성세대 입장에서는 감자의 작가가 김동인이라는 기본적인 지식조차 모르는 서울대생이 있다는 것이 이해가 가지 않았던 것입니다.
수능이 시행된 기간이 벌써 20년이 넘었네요.
그런데 아직도 이 생각에 갇혀 사는 학생들이 있습니다.
- 개념에 지나치게 집착하기
이런 학생들이 양산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공부를 조금 해보고 모의고사를 쳐본다. 점수가 안 나온다. 그래, 학교개념으로는 부족하군, 개념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개념강의를 듣고 다시 해본다. 그래도 안 나온다. 이 강의는 아닌가? 1타 선생님을 찾는다. 다시 반복한다…….
- 개념이 부족해서 틀리는 것보다 역량이 부족해서 틀리는 경우가 훨씬 많은데도 문제점을 전혀 파악하지 못한 케이스입니다.
2. 원래 개념이 완벽하다는 주관적 인식은 성립하기 힘듭니다. 저도 수능 때 상위 0.03% 정도를 받았지만, 속으로는 내 지식의 부실함에 대해서 바들바들 떨고 있었습니다. 정말 별거 없습니다. 수능 괴수일수록 개념이 부족하다고 여깁니다. 세상에 개념이 부족하지 않은 사람은 없습니다. 개념 장착이 되면 교수가 되겠지요. 그런데 공부가 안 되는 학생들은 최상위권 학생들이 개념을 확실히 정립하고 연습을 시작한다고 착각을 합니다.
3. 학교/학원 선생님들이 연습보다는 개념공부를 강조한다.
조금 민감한 문제입니다. 여러분이 대학생이 되시면 많은 분들께서 과외선생님이 되실 텐데요. 과외를 하러 가면 딜레마에 빠집니다. 이렇게 외우고 풀면 공부를 잘 할 텐데……. 그런데 그런 식으로 하면 내가 할 일이 없잖아? 안되겠다. 영어문법이나 몽땅 가르쳐야겠다. 이런 식입니다. 역량강화를 위한 연습이 중요하고 개념이 중요치 않다면 선생님들은 할 일이 별로 없습니다. 생존 자체가 어렵습니다.
4. 연습만 하면 개념이 부실해진다고 착각을 많이 합니다. 모의고사 연습도 다 내용에 대한 공부가 된다는 당연한 사실을 모르는 것이지요.
5. 연습 자체에 겁을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완전한 학습을 한 뒤에 점수를 보아야 한다는 결벽증. 내가 틀렸을 경우에 정신적 충격을 이기지 못할 것이라는 예상 등이 이유가 됩니다.
그렇다고 해서 개념공부가 뭐 잘못된 거냐? 그렇지는 않습니다. 개념공부를 하면서도 그 과정에서 역량을 연습 잘 하는 분들이 많거든요. 단지 지나치게 개념공부에 치중하는 분들은 문제가 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연습을 통해서 제시문 분석 등을 해낼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쪽에 포커스를 맞추는 게 탁월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지난 칼럼
높은 아이큐 보유자도 국어를 망칠 수 있다. -정신병부터 고쳐라!
[이코치] 수능 괴수를 만드는 이상심리
간단한 강의소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동의 동의 ㅠㅠ
-
실모 칠때마다 언문독 하면 더 운영 잘될거같던데
-
내일 할 일 0
나가서 사람 오랜만에 만났다가 집와서 니노짤 완성하기. 원작 니노랑 너무 다르게 그렸어...
-
오르비언들아 12
잘있어
-
국어 시간관리 1
작수 국어 4등급 재수생입니다. 지금까지 실모보면 전부 다 풀어버리겠다는 마인드로...
-
작년 이때쯤부터 수능때까지 보이던 고닉들이 안보임 물갈이 된건가
-
안녕히계세요 23
바이
-
수학 푸는데 엄빠 싸우고 영어듣기때 뉴스 다 들리더라
-
접어
-
국 81 수 68 영 3 세지 47 사문 45 몇정도 뜸?
-
확통 84 2
5덮 획통 84면 보정기준 백분위 몇일까요??? 다 공통틀입니다
-
안녕하세요..ㅠ 지금 고3이고 현재 국영수사과 내신 1.68입니다… 문과이고...
-
ㅈㄱㄴ
-
군수하고 있는중이고 내년까지 수능볼거라 올해는 수학과탐 위주로 하는중입니다...
-
좆되는데 진짜
-
심심해서 등급컷 보고있었는데 지2 1 2 컷이 왜이렇게 낮은건가요??
-
다시 칼럼을 쓰는 이유처음에는 꾸준히 칼럼을 썼지만, 최근에는 쉬었습니다. 그...
-
5덮 3
언매 96 미적 86 물1 40 지1 34 무보정 몇 뜰까요 ㅠㅠ 5월더프 더프 덮
-
5덮 수학 6
통통이 3컷이 어느 정도일까요?
-
너무 많이 시간 쓰나? 다 맞긴햇어요
-
나중에 쉬는 날에 각잡고 만들어야겠네 이건 어렵다
-
깨져ㅆ다 9
미적 1컷 -> 백분위 98,99로 올랐다 왜 오른건진 모르겠지만 이겼다 난 자신...
-
김승모도 풀고 매월승리도 풀고 기출도 풀고 Tim도 풀고 교사경도 풀고 국어 1~2 가즈아
-
지금 거꾸로 입엇다는건 아닌데 예전에 저랬던적이 있어서 어떻게해야할지 궁금햇음
-
확인완뇨 7
김승모 내가 해설해야겠구만
-
이사람들이진짜 2
Mh세대아니랄까봐
-
칼럼) 가장 단 기간에 국어 성적 상승 시키는 비결(요약본도 곧 올림 메인갈시 추가로 씀) 6
"메인 보내주시면 상세 설명+시간관리도 쓰겠습니다." 일단 제가 초창기에는 칼럼을...
-
제가 지금 신택스 듣고있는데요. 신택스 드가기전 커리가 일리잖아여. 근데 일리는...
-
언매 97(백분위98) 전교 32등 확통 73(백분위91) 전교 155등 사문...
-
요아정이 ㅋㅋ
-
이 짓거릴 4년씩이나 하고 있네 올핸 꼭 손 털어야지
-
5덮 수학 0
통통이인데 68이면 무보로 몇 나와요? 6모 때까지 3등급 안으로 들어가고 싶은데..
-
근데 님들아 팬티 거꾸로 입은걸 입은지 6시간 넘어서 발견햇음 21
그러면 다시 뒤집어 입을거임?? 이미 장시간 쓴 상태에서 뒤집어 버리면 내 똥꼬랑...
-
4덮 vs 5덮 4
수학 5덮이 더 어렵나요?
-
의치한약수, 계약학과 or 서울대 카이스트 제외 옛날에야 명문대 나왔다 하면 적어도...
-
화장실임
-
물1 질문 4
자기력 작용 방향이 N에서 S니까 자기장 방향이 연직 위라고 해야하는게 아닌가요??...
-
사실 문디컬은 꿈이고. 의치는 사실상 어려울 것이고 경한이 안된다면 가천한부터...
-
기하특 2
여전히3년째 뉴런이 바뀌지않음
-
5덮 확통 30번 14
43나왔는데 밥먹고다시푸니까 5나옴 걍
-
오노추 6
⭐️
-
미적을해야하는이유!¡!!!!¡!!!!!!!¡!!!!!!!!!!!!!!!!¡!!! 10
미적하면 수1수2 다 댐
-
내 옆 짝궁은 학평에서 국어 하나라도 틀리면 집에가서 엉엉 운대
-
한지세지 통수 걱정이면 한지 하는게 맞음??????@@@@ 0
솔직히 통사해봤을 때 세지가 쉽다고 느꼈음 근데 작수 킬러가 한지는 추론으로 나오고...
-
표점높음
-
제가 화작을 풀때 너무 시간 줄이겟다는 생각만 해서 그런가 첫지문 기준 풀기 전...
-
핏자데워먹어야지 16
캬캬캬캬캬캬캬캬캬
-
본인공감고수임 9
문제내보셈
-
많이없네..
-
1×523
기출문제를 풀어도 안오르고 해서 불안해서 이것저것 봤는데 이전에 쓰신 칼럼을 보고 뭐가 문제인지 조금은 알게되었습니다. 좋은 칼럼 계속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재미있는 칼럼 계속 노력할게요~^^
헐
저랑가치관똑같으세요ㅎ
깜놀햇네요
선생님 반갑습니다. 감사해요^^
☆좋아요☆ 감사합니다!
포켓몬님? 감사합니다^^
기출로 연습하라는 말씀이신가요?
제가 문법에서 거의 다틀리는데 여러 쌤 강의를 들어도 이해가 안되더라구요
공부 재료는 상관없다고 봐요. 기출이든 실모든 이비에스든 일단 연습에 치중을 두고 자신의 독해력을 기르는 것 자체에 치중을 하라는 얘기지요.
문법같은 경우는 사실 기본 개념은 진짜 별거 없거든요. 거의 사회문화의 자료해석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백점맞는 학생들도 문법개념 잘 몰라요. 대충 기본적인 단어만 알고 선지를 소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그런데 문법문제를 보게되면 굉장히 복잡하지요. 답답해서 어디서부터 손을 댈지 모르는 겁니다. 문법문제 다섯개 정도만 선별하셔서 문제를 연습장에 요약하고 선지를 하나하나 쓴다음 해설지의 해설을 다시 요약해보세요. 서서히 보이기 시작할겁니다.^^
사실 공부란게 별거 없어요. 하나하나 써보면 사람머리 달고 태어난 이상 다 이해되게 되어 있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