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스티움 [682072] · MS 2016 · 쪽지

2016-09-09 23:27:30
조회수 1,780

경제학과 관련해서 현실 좀 알려주실 분 계신가요 ㅜ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111218

어릴 때부터 딱히 하고 싶은 것은 없다 생각했었는데 지난 날들을 돌이켜 생각해보니 금융 경제 관련쪽에 제가 흥미가 되게 많더라구요.


과학관련된 신기한 발견 같은 것들은 아무리 봐도  ' 어 응;; ' 이 정도지 흥미 같은 게 전혀 생기지 않아요. 

그와 다르게 우리나라 경제상황이나 금융관련 얘기들 읽으면 정말 너무너무 재밌어서 엄청 빠져들고 그렇거든요...



근데 그런 말씀들 많이 하시잖아요. 고등학교 때 가지는 흥미가지고 대학 전공 선택하면 거의 대부분 피 본다고 ㅋㅋ.. 수능 생명과학 재밌다고 생명관련 학과 가면 니가 생각했던 공부랑 전혀 달라서 엄청 후회할꺼라고 다들 그러시더라구요.


제가 문과였으면 이러나 저러나 고민 없이 경제학과에 지원했을텐데 재수할 때 까지도 이런 생각 깊게 못해보고, 또 했더라도 과탐성적 하나 믿고 시작한 재수라서 어차피 문과로 안 돌렸을 것 같기도 해요.

그 전까지는 이런 생각 오래 안 하고 저 같이 수학과학 다 흥미 없는 이과생은 공대 어딜 가도 답답해 할거라서 차라리 그나마 생명과학 지식도 써먹을 수 있는 의대를 가라! 라는 말 듣고 그냥 그렇게 공부했어요.

그런데 막상 9월에 이렇게 성적이 나오니깐 생각이 정말 많아지네요 .... 








첫 번째로는 겨우 이 정도의 흥미를 가지고 경제학과 갔을 때 이상과 달라 얼마나 후회할 지,

두 번째로는 제가 수학을 별로 안 좋아하는데 경제학과는 수학 엄청 잘해야 한다 하더라구요. 죄다 전부 수학 쓴다고. 그럼 수학에 딱히 흥미 없으면 경제학과는 진로에서 배제해야 하는 게 맞는 선택일까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재 이 성적으로 교차지원 할 경우에 어느정도 학교의 경제학과까지 지원 가능할까요? 한양대 파이낸스금융인가 문과였던 학과가 이번 년도 부터 이과생한테도 할당해 준다는 거는 보긴 봤는데 혹시 그 윗 대학도 이 성적으로 교차지원했을 때 가능성 있는지 궁금해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치대제발 · 563433 · 16/09/09 23:33 · MS 2015

    고등학교때 흥미를가진 부분을 전공으로 고르면 후회한다고 다들하시던데....그러면 자기가 흥미도없는 전공을 고르면 후회안하나요?...관심도 없던 전공에서 와 이게 무슨 개소리고 재미도없네..보단 조금이라도 관심있던걸 하면서 우와 내가 생각한거랑 다르게 너무어렵네 라는 반응이 조금더 낫지않을까뇨..?

  • 비스티움 · 682072 · 16/09/09 23:47 · MS 2016

    맞는 말씀이라고 생각해요. 제가 진로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 해 본 적이 없어서 괜한 두려움에 그렇게 적었나 보네요 ㅜㅜ..

    수시로 대학가는 친구들은 고등학교 3년 동안 자기 진로 탐색도 해보고 갈 학과에 맞춰서 이런 저런 활동도 하구 그랬을텐데

    저는 머릿속에 든 거 라고는 수능지식뿐이고, 딱히 꿈 꾸는 것도 없이 점수 맞춰서만 학과 갈 생각 하니깐 되게 한심하게 느껴지더라구요...

  • 어피치 · 666368 · 16/09/09 23:41 · MS 2016

    고등학교 때 흥미를 가진걸 전공으로 선택해서 후회한다는건 그 전공에 대해 제대로 알아보지 않았거나 그 학과의 장점만 핥은 경우인 것같아요. 그 학과 진학한 선배 등을 통해 학과 현실 단점도 찾아보고 그런 점 다 감안해서 진학하는 사람은 힘들다고 찡찡거리면서도 할 때는 좋아서 하더라구요. 수시 접수기간이 많이 남은건 아니지만 그 동안 최대한 알아보셔서 좋은 결정하셨면 좋겠어요ㅎㅎ

  • 비스티움 · 682072 · 16/09/09 23:48 · MS 2016

    수시는 안 쓰고 정시만 준비해요 ㅎㅎ! 지금이라도 여러가지 찾아봐야 겠네요.

  • 니여친만나느라샤샤샤 · 680825 · 16/09/09 23:47 · MS 2016

    경제수학 개ㅈ밥임. 경제학에서 수학의 중요성은 과장된 경향이 있음. 책 보니까 해석부터 위상까지 다루기는 하던데 걍 ㅈㄹ 피상적으로 다뤄서 딱 보기에만 존나 어렵고 멋있어 보이는 정도임.

  • 비스티움 · 682072 · 16/09/09 23:49 · MS 2016

    조금 희망찬 메세지네요! ㅋㅋㅋ 좀 더 찾아봐야겠어요 ㅎㅎㅎ

  • 니여친만나느라샤샤샤 · 680825 · 16/09/09 23:50 · MS 2016

    참고로 경제랑 금융은 좀 다릅니다. 금융 쪽 일하고 싶어서 경제 책 봤는데 걍 ㅈ같음 뇌내망상인 듯... 파생상품 같은 실용적인 내용 공부하려면 투자, 재무 쪽 보셔야 되고 경영이 더 가까운 듯. 한양대 파이낸스? 그게 좋아보임

  • 시월의하늘 · 580667 · 16/09/09 23:56 · MS 2015

    저는 윗분과 다르게 경제수학에서 개고생했습니다. 일학년이고 미,거시경제원론은 쉬운데요(사탐경제 약간심화?) 경제수학에서 끔살당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