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브
오르비
아톰
내 태그 설정
★와하★ [270362] · MS 2008 · 쪽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08854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쪽지 보내기
알림
스크랩
신고
1번 3번은 맞겠네요. 2번은 다시 생각해볼게요.
허허허허 제가 밑에 글올렸는데 이런거 스스로해보셔야 느는데.. 굳이 말씀드리면 f(x)-g(x)를 생각하시면 모든 삼차함수에대해 1:1:1 2:1 등의 비율이 항상성립합니다.. 2번그림같은경우 극점의 위치가 1:1:1의 위치에 있는게아니고 주황색선과의 기울기가 같은점의 위치가 1:1:1이 됩니다 왜냐하면 "빼기함수"를 생각할때 도함수도 같이, 즉 기울기도 같이 "빼기"가 되기떄문이구요.. 한마디로 f(x)-g(x)의 극점은 f(x)의 극점과는 위치가 달라지는데 그점이 바로 g(x)와 기울기가 같은점입니다..
흠 2번은 아니겠네요. 잠시 맞나 고민했었는데 역시 아니였음.
2번에서... 2 :1 이 아닌건가요??
네 http://orbi.wizet.com/bbs/board.php?bo_table=xi_agit_selfedu&wr_id=1505863&sca=&sfl=mb_id%2C1&stx=orbi0225 이거 푸시면 뭔뜻인지 아실거에요.
2번에서 변곡점의 위치는 2:1이 맞습니다.. 오르비님이 잘못알고계신거같구요 님이 제시한 일차함수는 두번미분하면 사라지므로 변곡점의 위치에 전혀영향을 못줍니다 따라서 비율이 그냥 성립합니다.. 2:1맞아요
아 오늘 뭐지.. 저 직선이랑 기울기가 같은 점이 1:2하고 헷갈렸네요. 오늘 자꾸 헛소리하고 잘못말하네요 ㅠㅠ
제가 밑에 일반화 시켰듯이 f(x)-g(x)=p(x-a)^n (x-b)^m 이렇게 정리가 가능한 이차이상의 다항함수 f(x)와 일차함수 g(x)가 있다면 일차함수 g(x)와 같은 기울기를 가지는 접선의 위치가 바로 m:n 내분점이 됩니다.. 한마디로 극점이없는 삼차함수 f(x) 개형이라도 2:1 비율은 성립합니다..
감사합니다 ㅠㅠ 그럼.. 2번에서 2:1 은 맞고... 1:1:1 은 따로 생각해야한다는 건가요..
학습동에 삼차함수의 비밀 올려 놨는뎅 ㅠ_ㅜ..
봐볼게요!! 헤헤
비율을 외우려하지마시고 f(x)-g(x)로 생각하면 님이 제시한 1번 2번 3번이 모두 똑같은상황으로 바뀝니다 거기서 스스로 증명해보세요.. 그럼 어떨때 비율이맞고 어떨때 안맞는지 스스로 다판단할수있씁니다..
네네!! 감사합니다ㅠㅠ
그리고 저번에 미통기라고 하시지않았나요? 변곡점은 전혀 쓸모 없는 스킬일텐데..
네...문과예요...;;;ㅋㅋ 근데 서정원쌤께서 강의 중에 비율 가르쳐주시더라구요..ㅋㅋ 그래서 궁금해서용!!ㅋㅋ
아 그래서 제가 변곡점하고 극점하고 헷갈려서 저렇게 말한겁니다. 2번째에서 난만한님 말처럼 변곡점은 2:1인점이 맞고요. 극점은 1:2인점이 아닙니다..
네!! 감사합니다 ~ !!ㅠㅠ
2026 수능D - 223
국어 노베이스부터 최상위권까지
출제팀 소속 경희대 치대생
영어 과외 학생 구합니다!
[끈기있는 수학] 성적향상 전문 - 언니/누나 같은 멘토이자 든든한 지원군
수학 영어 과외 및 학습 관리
고등전문 수학(고3, 고2만)
1번 3번은 맞겠네요. 2번은 다시 생각해볼게요.
허허허허 제가 밑에 글올렸는데
이런거 스스로해보셔야 느는데..
굳이 말씀드리면
f(x)-g(x)를 생각하시면 모든 삼차함수에대해 1:1:1 2:1 등의 비율이 항상성립합니다..
2번그림같은경우 극점의 위치가 1:1:1의 위치에 있는게아니고
주황색선과의 기울기가 같은점의 위치가 1:1:1이 됩니다
왜냐하면 "빼기함수"를 생각할때 도함수도 같이, 즉 기울기도 같이 "빼기"가 되기떄문이구요..
한마디로 f(x)-g(x)의 극점은 f(x)의 극점과는 위치가 달라지는데
그점이 바로 g(x)와 기울기가 같은점입니다..
흠 2번은 아니겠네요. 잠시 맞나 고민했었는데 역시 아니였음.
2번에서... 2 :1 이 아닌건가요??
네
http://orbi.wizet.com/bbs/board.php?bo_table=xi_agit_selfedu&wr_id=1505863&sca=&sfl=mb_id%2C1&stx=orbi0225
이거 푸시면 뭔뜻인지 아실거에요.
2번에서
변곡점의 위치는 2:1이 맞습니다..
오르비님이 잘못알고계신거같구요
님이 제시한 일차함수는 두번미분하면 사라지므로
변곡점의 위치에 전혀영향을 못줍니다 따라서 비율이 그냥 성립합니다.. 2:1맞아요
아 오늘 뭐지.. 저 직선이랑 기울기가 같은 점이 1:2하고 헷갈렸네요.
오늘 자꾸 헛소리하고 잘못말하네요 ㅠㅠ
제가 밑에 일반화 시켰듯이 f(x)-g(x)=p(x-a)^n (x-b)^m 이렇게 정리가 가능한
이차이상의 다항함수 f(x)와 일차함수 g(x)가 있다면
일차함수 g(x)와 같은 기울기를 가지는 접선의 위치가 바로 m:n 내분점이 됩니다..
한마디로 극점이없는 삼차함수 f(x) 개형이라도 2:1 비율은 성립합니다..
감사합니다 ㅠㅠ
그럼.. 2번에서 2:1 은 맞고... 1:1:1 은 따로 생각해야한다는 건가요..
학습동에 삼차함수의 비밀 올려 놨는뎅 ㅠ_ㅜ..
봐볼게요!! 헤헤
비율을 외우려하지마시고
f(x)-g(x)로 생각하면 님이 제시한 1번 2번 3번이 모두 똑같은상황으로 바뀝니다
거기서 스스로 증명해보세요.. 그럼 어떨때 비율이맞고 어떨때 안맞는지 스스로 다판단할수있씁니다..
네네!! 감사합니다ㅠㅠ
그리고 저번에 미통기라고 하시지않았나요?
변곡점은 전혀 쓸모 없는 스킬일텐데..
네...문과예요...;;;ㅋㅋ 근데 서정원쌤께서 강의 중에 비율 가르쳐주시더라구요..ㅋㅋ 그래서 궁금해서용!!ㅋㅋ
아 그래서 제가 변곡점하고 극점하고 헷갈려서 저렇게 말한겁니다.
2번째에서 난만한님 말처럼 변곡점은 2:1인점이 맞고요.
극점은 1:2인점이 아닙니다..
네!! 감사합니다 ~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