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퍼런봄 [647849] · MS 2016 · 쪽지

2016-08-24 23:48:29
조회수 268

한지 질문점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9006114

ㅠㅠ 정리가 안되서 그러는데

절벽..말입니다 자연지리에서
감입곡류하천의 공격사면에서의 절벽이 발생하는 원인은 측방침식 이고
자유곡류하천에서는 절벽이 발생하지 않..지요?
그리고 용암대지 그니까 철원 같은 곳의 절벽은 어.. 하방침식 때문인가요? ㅠㄹㅠ

그리고 하천이 감입은 상류에 있고 하방침식이고 자유곡류가 하류에 있고 측방침식 ..이렇게 보는게 맞는 거죠?핳ㅎㅎ허

 정리가 잘안되네요 명쾌하게 정리해주실 지리덕후님들을 모십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0MCylRPpaNEzkF · 650859 · 16/08/24 23:52 · MS 2016

    뭐든지 다 상대적인거죠! 자유곡류하천에서는 감입곡류하천에 비해 절벽이덜생긴다가 맞는 표현같네요. 그쵸 용암대지같은 곳의 절벽은 기반암이 약해서  발생하는 하방침식으로 인해 형성된 것이구요. 마지막 질문도 맞는 내용입니다.

  • 시퍼런봄 · 647849 · 16/08/24 23:54 · MS 2016

    핫 상대적...넘나 힘든것..... 그럼 감입곡류에서는 하천이 생긴건 하방침식이고 절벽은 측방침식 때문이다 라고 해도 무방한거죠?!

  • 0MCylRPpaNEzkF · 650859 · 16/08/25 00:04 · MS 2016

    정확히 감입곡류에서는 하천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하방침식의 영향이 측방침식보다 더 많았다고 알아두시면 됩니다. 굳이 하천과 절벽의 형성요인을 나누실 필요는 없습니다. 두개 모두 하방침식의 영향이 더 강했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 0MCylRPpaNEzkF · 650859 · 16/08/25 00:06 · MS 2016

    질문자님 말씀처럼 측방침식이 하류가 더 많은데 상류의 절벽이 측방침식  때문이라면 하류가 훨씬 절벽이 많아야 겠죠?

  • 시퍼런봄 · 647849 · 16/08/25 00:48 · MS 2016

    아..글쿤요ㅠㅠ 친절하게 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