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이 [463916] · MS 2013 · 쪽지

2016-07-22 20:23:57
조회수 16,833

격조사와 보조사의 구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801744




 이번 7월 학력평가 국어 12번은 격조사와 보조사를 구분하는 문제였습니다. 의외로 많이 틀린 문제였고, 오르비는 물론이고 여러 사이트에서 이 문제와 관련된 주제로 질문이 제법 있었습니다. 그 중에 격조사와 보조사를 감에 의지해서 구분하는 사람들이 제법 있었고, 문항도 감으로 풀도록 설계되었다는 느낌이 강했는데 여기서 나름대로 두 조사를 구분하는 방법을 제시해봅니다.


 (★) 설이가 그 게임에서 어린 여자아이 캐릭터를 키운다.

1. 설이만 그 게임에서 어린 여자아이 캐릭터를 키운다.

2. 설이가 그 게임에서 어린 여자아이 캐릭터만 키운다.

3. 설이가 그 게임에서만 어린 여자아이 캐릭터를 키운다.

4. 설이를 그 게임에서 어린 여자아이 캐릭터가 키운다.


 (★) 문장에서 '가', '에서', '를'은 체언에 붙어 격을 나타내는 격조사로 쓰였습니다.

 이때 격조사들의 격 표시에 따라 '설이'는 주어, '게임'은 부사어, '캐릭터'는 목적어가 됩니다.


 1번 문장은 주격조사 '가'를 생략하고 그 자리에 보조사 '만'을 명사류와 결합시킨 문장입니다. 이때 주어 '설이' 뒤에 붙은 '만'은 '설이'가 유일 대상임을 나타냅니다. 즉,

 (다른 사람들은 그러지 않는데 오직) 설이가 그 게임에서 어린 여자아이 캐릭터를 키운다.

 정도의 의미를 더할 수 있습니다.


 2번 문장은 목적격조사 '를'을 생략하고 그 자리에 보조사 '만'을 명사류와 결합시킨 문장입니다.

이때 목적어 '캐릭터' 뒤에 붙은 '만'은 '캐릭터'가 유일 대상임을 나타냅니다. 즉,

 설이가 그 게임에서 (다른 캐릭터들은 키우지 않고 오직) 어린 여자아이 캐릭터를 키운다.

 정도의 의미를 더할 수 있습니다.


 3번 문장은 부사격조사 '에서' 뒤에 보조사 '만'을 붙여 쓴 문장입니다. 이때 보조사는 꼭 체언과만 결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보조사 '만'이 나타내는 의미는 1~2번 문장의 '만'과 유사합니다. 즉,

 설이가 (다른 게임에서 그러지 않는데 오직) 그 게임에서 어린 여자아이 캐릭터를 키운다.

 정도의 의미를 더할 수 있습니다.

 

 1~3번 문장에 따라 보조사 '만'이 결합할 수 있는 환경을 ( )로 나타내면 이와 같습니다.

 설이( ) 그 게임에서( ) 어린 여자아이 캐릭터( ) 키운다.

 이를 종합하면 보조사는 다른 문장 성분과의 결합이 비교적 자유롭습니다. 이를 통해 보조사는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특정한 격을 표시하는 조사는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보조사인 단어들은 그 나름대로의 고유한 의미를 문장에 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4번 문장에서 보듯 주격조사와 목적격조사를 서로 자리를 바꿔 썼을 때는 문장 구성이 아예 달라집니다. 문장의 주어였던 '설이'가 목적어로 바뀌었고, 목적어였던 '캐릭터'가 주어로 바뀌면서 주체-객체 관계가 역전되었습니다.

('어린 여자아이 캐릭터'가 '설이'를 키우는 것으로 의미가 바뀜)

 
 이때 (★) 문장에 따라 주격조사 '가'가 결합할 수 있는 환경을 ( )로 나타내면 이와 같습니다.

 설이( ) 그 게임에서 어린 여자아이 캐릭터를 키운다.

 

 또, 목적격조사 '를'이 결합할 수 있는 환경을 ( )로 나타내면 이와 같습니다.
 설이가 그 게임에서 어린 여자아이 캐릭터( ) 키운다.


 이를 종합하면 격조사는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조사로, 일반적으로 격을 나타내고자 하는 체언 뒤에 결합합니다.


 
 그러면 위 내용을 토대로 올해 7월 학력평가 국어 12번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① '국수라도 먹으렴'에서 '라도'는 '차선'의 의미를 부여합니다. 보조사 '라도'가 '국수'와 결합하면서 문장에 (국수를 먹는 것이) 기대에 찬 일은 아니지만 그래도 '국수를 먹도록' 권유하는 의미를 더합니다.

 
 ② '영어야 철수가 도사지.'에서 '야'는 '특별'의 의미를 부여합니다. 보조사 '야'가 '영어'와 결합하면서 문장에 영어는 철수가 '특히' 잘한다는 의미를 더합니다. '야'를 격조사로 본다면 이 문장에서 '영어야'가 어떤 문장 성분으로 기능하는지 판단하기 쉽지 않으므로 '야'는 보조사로 보는 것이 적절합니다.


 ③ '그 과자를 먹어는 보았다.'에서 '는'이 연결어미에 붙어서 특정한 의미를 더해주고 있으므로 보조사로 볼 수 있습니다. 격조사는 일반적으로 격을 표시하고자 하는 체언에 붙을 수 있습니다.


 ④ '일을 빨리만 하면 안된다.'에서 '만'이 부사에 붙어서 특정한 의미를 더해주고 있으므로 보조사로 볼 수 있습니다. 격조사는 일반적으로 격을 표시하고자 하는 체언에 붙을 수 있습니다.


 ⑤ '그는 아이처럼 순진하다.'에서 주어는 '그'이고, 서술어는 '순진하다'입니다. 서술어를 수식하는 '아이처럼'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이 문장은 '그'의 성질을 묘사하는 문장입니다. '처럼'이 보조사라면 다른 선행 요소와의 결합이 비교적 자유롭습니다. 또 문장에 고유한 의미를 더해줄 수 있습니다.
 '처럼'을 보조사로 보고 주어 '그'에 붙은 보조사 '는'과 자리를 바꿔쓰면 다음과 같은 문장이 만들어집니다.

 '그처럼 아이는 순진하다.'

 그런데 이 문장은 주어가 '아이'로 바뀌는 등 문법적 관계가 원 문장과 아예 달라진 것이 보입니다. 이때 '처럼'이 원 문장에 특정한 의미를 더하는 보조사의 역할을 수행한 것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처럼'은 격조사로 결합했다고 보는 것이 적절합니다.
 참고로 실제 사전에서는 '처럼'을 '모양이 서로 비슷하거나 같음'을 나타내는 격조사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Iudex · 492642 · 16/07/22 20:25 · MS 2014

    결론
    설이는 겁나 커엽다

  • 버터후라이 · 545015 · 16/07/22 20:25 · MS 2014

    냥이도!^_^

  • 설이 · 463916 · 16/07/22 20:27 · MS 2013

    구라즐

  • Iudex · 492642 · 16/07/22 20:27 · MS 2014

    응 귀여워

  • 95년 응애 · 453954 · 16/07/22 20:27 · MS 2013

    답은 5번. 설이가 모든 게임에서 어린 여자아이 캐릭터만 키운다.

  • 설이 · 463916 · 16/07/22 20:28 · MS 2013

    딧먹;

  • 버터후라이 · 545015 · 16/07/22 20:28 · MS 2014

    ㄴㄴ 설이는 모든 게임에서 어린 여자아이 캐릭터에게 키워진다

  • Ou7Ncel2E1j8SI · 665633 · 16/07/22 20:31 · MS 2016

    전 이렇게 풀었는데
     보조사가 아닌거니까 격조사고르라는거고
    격조사는 앞에 체언있으니 선택폭이 1,2,5 로 줄어들고
    1,2는 를(목적격조사), 는(주격조사)로 바껴도 의미가 성립하니까 1,2는 보조사 따라서 격조사는 5번

  • 설이 · 463916 · 16/07/22 20:42 · MS 2013

    1번은 그렇게 풀어도 됩니다만 2번을 제가 그렇게 안 푼 이유는 보조사 '야'를 주격조사가 생략되어 쓴 보조사 '는'으로 대체해서 보기가 쉽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만약 주격조사가 생략된 형태라면 이 문장이 '영어가 철수가 도사지.'로 바뀌는데 서술어 '도사(이)지'가 둘 중 어떤 주어의 성질을 나타내는지 확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 Ou7Ncel2E1j8SI · 665633 · 16/07/22 20:45 · MS 2016

    주격조사 이/가  헷갈렸네요 감사합니다
    운좋게맞춘듯.. ㄷ

  • 설이 · 463916 · 16/07/22 20:46 · MS 2013

    아뇨 맞췄으면 다 실력이에요. 이 문제 개인적으로 별로 좋게는 안 보입니다. 감으로 땡겨맞추기가 오히려 더 편해서요..

  • 이리나 옐라비치 · 668917 · 16/07/22 20:35 · MS 2016

    문제 출처7월 교육청 맞나요?

  • 설이 · 463916 · 16/07/22 20:43 · MS 2013

    넵 올해 7월 전국연합학력평가입니다

  • 8u7nvNZESw2byo · 676044 · 16/07/22 20:42 · MS 2016

    문법공부법질문해도될까요 ㅋㅋㅋ 저번에올렸는데댓글0에조회수50맞고사라졌어서 ㅠㅠ 지금 전형태쌤인강 문장성분과 품사 파트를 다외웠는데 문제를못풀어서 문법의끝을샀는데 그래도모르겠네요 국어문법공부는 대강대강하고 문제의 (보기)를 보고 푸는게 맞을까요 ㅠㅠ

  • 설이 · 463916 · 16/07/22 20:44 · MS 2013

    만으로 문법 문제를 모두 커버하던건 14수능 때나의 일이니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문법 개념은 꼼꼼하게 공부하시길 바랍니다. 올해 6평 15번같은 문제의 경우 도 제시되지 않아서 기본적인 문법 개념이 없다면 해결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 탕슉 · 621718 · 16/07/22 21:43 · MS 2015

    크 국어과 클라스

  • 설이 · 463916 · 16/07/22 21:49 · MS 2013

    글쓴분 국어과 공식 아싸라네요ㅠㅠ

  • 탕슉 · 621718 · 16/07/22 21:50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미역 · 662273 · 16/07/22 21:51 · MS 2016

    생략하면 어색하냐 어색하지 않냐로 구분하면 문제가 생기나요?

  • 설이 · 463916 · 16/07/22 22:02 · MS 2013

    주격조사, 목적격조사 같은 격조사들은 문장에 따라 생략이 빈번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이것만으로 격조사와 보조사를 구분하기는 조금 어렵습니다.

  • dj158 · 372453 · 16/07/23 09:12 · MS 2011

    매우 아주 러블리 좋은 글입니다.

  • 설이 · 463916 · 16/07/23 10:13 · MS 2013

    갓대종

  • 꾸오오 · 623013 · 16/07/23 11:59 · MS 2015

    오 감사합니다ㅠㅠㅠ진짜 멘붕왓었는데

  • 설이 · 463916 · 16/07/23 12:05 · MS 2013

    여러 가지 경우를 고려해서 쓰다보니 글이 좀 난잡해졌는데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 설이 · 463916 · 16/07/27 17:47 · MS 2013

    ※ 문장 구성 층위를 고려하여 제목을 '격조사와 보조사의 구분'으로 바꿉니다

  • 이과아파 · 800583 · 18/04/25 01:46 · MS 2018

    저는 그냥 읽어보고 조사를 빼고도 말이되면 보조사
    뺴고도 말이 안 되면 격조사라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생각하고 풀면 안돼나요?

  • 서리서리님 · 463916 · 19/12/31 00:17 · MS 2013 (수정됨)

    위에서도 썼지만 국어에서는 주격조사나 목적격조사 등은 구어체에서 자주 생략되기 때문에 조사 빼서 확인하는 식으로는 구분하는 의미가 거의 없습니다.

    '이제 우리가 어디 갈래?'라는 문장은 대화할 때 '이제 우리 어디 갈래?'로 실현되는 경우가 많죠. 이 문장에서 '가'라는 주격조사가 생략되어도 말이 되지만 그렇다고 여기서 쓰이는 '가'가 문법적 환경상 보조사로 쓰인 것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