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북의 [676067] · MS 2016 · 쪽지

2016-07-19 11:23:19
조회수 2,090

가계도에서 유전자형을 모를때 확률계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782413

예를들어 열성 상염색체 유전병 aa에 대하여
부모의 유전자형이 모두 Aa이고
아들의 표현형이 A_ 라면
AA 1/3, Aa 2/3 조건부 확률로 계산할 수 있나요?

예컨대 그 아들이 Aa인 여자와 교미해서 손자가 나올때 손자가 유전병일 확률을 계산하고 싶으면 1/3×0+2/3×1/4 이런식으로 계산할 수 있나요?

사실 아들의 유전자형은 까보지않아서 모를 뿐이지 정해져있는거 아닌가요? 애초에 확률을 적용한다는거 자체가 어불성설인거 같은데.. 초파리의 교배에서는 표현형이 A_인 F1 수컷들과 Aa를 교배시키는데 그건 F1이라는 불특정 다수의 집단 내에서 수컷의 비율이 AA 1/3, Aa 2/3 이런식으로 정해지기 때문이잖아요. 300마리중 100마리는 AA고 200마리는 Aa이런식으로요. 그 중 한마리를 뽑아서 교배시킨다면 조건부 확률을 적용하는게 맞구요.

요약하자면 이미 태어나있고 유전자형이 확정되었으나 표현형을 '모르는' 자손 1개체에 대해서 그 유전자형을 모른다는 이유로 조건부확률을 적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