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고대 새내기 수강 신청의 모든 것 Ver.2 (지속적 수정, 보완 중)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58073
제가 고대에 있다가 연대로 가서 ㅋㅋㅋ 둘 다 압니다.ㅋㅋㅋ
연대 분들 중에 수강신청 오티를 못 가신 분들이나 들어도 뭔지 모르겠다 하는 분들 보세요.
고대분들은 지금 새터라서 못 보실 건데 매한가지 입니다.
목차
1. 학점 2. 요건 3. 수강 신청 방법 및 유의 사항 4. 용어 5. 관련 사이트 6. 관련 프로그램 7. Academic English/대학 영어와 WAIVE 8. 동선 9. 시간 10. 계절학기 11. 과목 포기 12. 절대 평가와 상대 평가
1. 학점
1. 학점은 "1주일에 그 수업을 듣는 시간'입니다. 즉, 3학점이면 1주일에 3시간 수업을 듣게 됩니다. 학점에는 1,2,3학점이 있구요.
2. 고대의 경우 거의 모든 1학점이 P/F입니다. 연대는 1학점의 경우도 P/NP 와 그냥 A-F가 섞여있습니다. (고대에도 아마 1학점 A-F가 있을 건데 전 본 적이 없네요)
2학점 수업은 대표적으로 연대 필수 과목인 대학기본영어/대학영어/고급대학영어, 고대 필수 과목인 Academic English, 사고와 표현이 있습니다. 물론 나머지 수업도 있어요.
3. 대영(연대) 혹은 실영(고대)은 연대의 경우 시험을 친 다음 각자 수강신청을 하나 고대는 그런거 없습니다. 그냥 반대로 짜릅니다. 교수도 알아서 배정됩니다. 사표도 마찬가지에요.
4. 고대는 -가 없이 0,+만 존재합니다. A+ 4.5, A0 4.0, B+ 3.5, B 3, C+ 2.5, C 2, D+ 1.5, D 1, F 0 입니다. 4.5점 만점이구요.
연대는 -,+,0가 다 존재 합니다. A+ 4.3, A0 4.0, A- 3.7, B+ 3.3, B0 3.0, B- 2.7, C+ 2.3, C0 2.0, C- 1.7, D+ 1.3, D0 1.0 이런 식입니다. 4.3 만점 이구요.
5. 평점 계산은 간단합니다. 고등학교 내신 생각하시면 됩니다. 3학점 A+를 받았다면 고대의 경우 4.5에 3을 곱한 13.5가 더해집니다. 이를 다 더해서 총 이수 학점으로 나누면 평점이 나옵니다.
참고로 과에 따라서 다르지만 연대, 고대 모두 약 3% 혹은 등수로 3~5등까지 주는 전액 장학금은 4.5, 4.3 만점이 아니면 못 받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6. 두 학교 모두 C+ 부터는 재수강이 가능합니다. 반대로 말해서, A,B는 재수강을 못 합니다. 재수강은 말그대로 같은 수업을 다시 듣는 것이며, 이 경우 A+는 취득하지 못 하고, 최고 A0를 받을 수 있습니다.
교수가 조금 학생을 안 좋게 보면 일부러 B0나 B-를 주기도 합니다. 그래놓고 학점 내려달라는데 안 내려주거나 하면 곤란해지거든요.
* 재수강의 경우 다음 학기에 그 과목이 사라질 경우 재수강이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그냥 안고 가거나 동일 과목으로 인정되는 강의들을 신청하시면 됩니다.
7. 졸업하는 4학년의 경우는 학점 배려를 해주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8. 연대는 P/NP 고대는 P/F 라고 하는 강의들이 있습니다. 말그대로 Pass거나 Fail/Non Pass인 과목들 입니다. 이 과목들은 학점만 인정이 되며 평점 계산시에는 들어가지 않습니다.
9. 고대의 경우 1학년 학점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합니다. 학부제인 고대는 이 학점을 가지고 전공 진입을 합니다. 인기 과들은 보통 3.7 이상은 받아야 전공으로 택할 수 있습니다.
2. 졸업 필수 요건 or 전공 진입 요건 or 진급 요건
1. 두 학교 모두 아마 졸업 필수 학점은 126학점 일 것입니다. 이중전공/복수 전공시 일정 학점을 더 이수하셔야 하구요. 이과의 경우는 필수 학점이 다르니 각 대학 홈페이지를 참조 하십시오.
2. 고대는 1학년 필수 과목 A.E와 사고와 표현이 각 2학점 씩 미리 신청되어 있습니다. 나머지 5과목을 신청하셔서 18학점 만드시면 됩니다.
연대는 1학년 필수 과목이 0학점인 채플만 신청되어 있습니다. 가끔 Gateway to College가 신청되어 있는데, 이 과목은 필수가 아니므로 빼셔도 됩니다. 나머지 6~7과목을 신청하셔서
3. 고대의 경우 1학년에서 2학년 진급시 34학점이 필요합니다. 즉 1학기 16+2학기 18 학점과 같은 방식으로 최소 학점을 채우셔야 합니다. 이를 채우지 못 하면 계절학기를 들어서 채워야해요.
고대는 학부제기 때문에 1학년 전공 관련 필수 과목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공 진입은 과목과 관련없이 평점 순으로 자릅니다. 경영대나 정경대는 어떤지 확실히는 모르겠네요. 전 문대였거든요.
다만 졸업 요건을 위해 A.E(보통 실영이라 부릅니다.)와 사.표를 꼭! 들으셔야합니다. 고대는 보통 1학년 때 필수 교양에서 2~3과목, 선택 교양에서 2~3과목을 골라 듣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4. 연대는 학과제기 때문에 1학년 필수 교양 + (필수) 공통 기초 + 전공 관련 필수 과목들이 존재합니다. 경영대를 예로 들면, 전공 진입을 위해서 필수 교양 중 경영학 입문과 통계학 입문이 필수이며,
또한 공통 기초에서 채플, 기독교의 이해 과목에서 각 1 과목, 대학 영어 과목에서 1과목, 2학기에 가면 글쓰기 강의에서 한 강좌를 신청하면 됩니다. 연대는 1학기 때 보통 필수 교양에서 3~4과목,
기독교의 이해에서 1과목, 대학 영어에서 1과목 선택 교양이나 Freshman Seminar 등에서 1과목을 신청합니다.
*개인적으로 신입생을 위해 개설된 강좌들을 살펴보면, 연대쪽이 보통 더 자유도가 높으며, 특이한 수업들이 존재합니다. Freshman Seminar 같은 카테고리는 고대에는 없는 것입니다.
교수님과 노래하는 수업도 있더군요. 또한 학교에서 특이하게 밀고 있는 Gateway to College나 경영대의 위대한 유산 등의 수업도 고대에서는 찾기 힘듭니다.
다만, 연대는 반드시 채플을 4학기 이수해야하며, 기독교 관련 과목이 필수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3. 수강신청
1. 고대와 연대 모두 각 대학의 포탈에서 신청합니다. 고대는 portal.korea.ac.kr 연대는 portal.yonsei.ac.kr입니다.
로그인후 좌측 하단 혹은 우측 하단에 수강 신청 탭을 누르고, 다시 학번을 쳐서 로그인 하면 됩니다.
2. 고대와 연대는 수강 신청시 결정적인 차이가 있는데요. 고대는 다다닥이 됩니다. 즉, 창을 5개 띄워 놓고 줄인 다음 신청만 5개 누르면 되는 거죠.
반면 연대는 다다닥이 안 됩니다. 하나 클릭후 확인하는 식입니다. 즉, 하나 신청후 확인->다음 과목 신청 순입니다.
다만 그렇다고 연대쪽이 더 수강이 어려운 것은 아닙니다. 연대나 고대나 수강 신청은 5초 안에 모두 마감됩니다.
3. 연대의 수강 신청은 즐겨찾기라는 편리한 방법이 있습니다. 9시에 수강 신청이라면 7시 경부터 미리 로그인하여 원하는 과목을 즐겨찾기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 쇼핑몰의 장바구니 기능이라고 보면 됩니다.
이 즐겨찾기 창에서 클릭해서 신청합니다.
고대의 경우 수강 신청을 일일히 학수 번호를 쳐서 신청해야합니다. 이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습니다. 학수 번호는 YCC1202-00-00 이런 식으로 길고 복잡하기 때문에 치기 어렵습니다.
4.고대의 경우 학년별 TO를 볼 수 있습니다. 연대는 학년별 TO가 보이지 않으며 누적 인원(경쟁률)만 보입니다.
5. 고대와 연대 모두 수강 신청은 고학번부터 차례로 합니다.
6. 관련 프로그램 란과 댓글을 참조하십시오.
4. 용어
1. 약칭 : 대학교에서는 모든 과목을 줄여서 부릅니다. 예를 들어, 현대 사회와 심리학 과목은 현사심으로 불러요. 임나 일본부와 고대 일본사는 임본부나 임나 이런 식 입니다.
1-1 약칭 : 또한 강의 종류도 다 줄여서 부릅니다. 필수 교양=필교, 선택교양=선교. 가끔 이상하게 줄어드는 과목이 있습니다. 성과 인간관계=성관계라거나 성서와 기독교=성기 라거나.
이런 경우는 살짝 다르게 불러줍시다.
1-2 약칭 : 건물도 줄여부릅니다. 상대 본관=상본
2. 주5파, 주4파 : 1주에 수업 나가는 요일이 5일인 경우, 4일인 경우를 말합니다. 1학년은 힘들지만, 특히 고대는 거의 불가능하지만, 가끔 주3파도 있어요.
3. 독강=혼자 듣는 강의. 독강의 경우 한 번 빠지면 다음 수업에 갑작스런 쪽지 시험을 보거나 강의를 따라가기 힘들 수가 있습니다. 동기나 선배분들과 같이 들을 수 있으시면 같이 들읍시다.
물론 혼자 한다고 학점 따기가 어렵거나 그런 건 아닙니다. 전 독강도 A+잘만 받았습니다.
4. 연강=연속된 강의. 8~9 시간 연속으로 강의를 듣는 일은 피합시다. 수업을 따라갈 수 있다고 해도, 시험기간에 골치가 아픕니다. 하루에 3과목 시험보면 정말 힘듭니다.
5. 강의 관련 사이트
1. 고려대 : 고파스 www.koreapas.net 의 강의 평가 게시판이 있습니다. 또, 강의 평가 사이트가 따로 있는데 까먹었네요 ㅋㅋㅋ; 쿠플러스던가?? 고파스에서 찾다보면 나옵니다.
2. 연세대 : 세연넷(지금 가입이 안 되는 경우가 있고, 저도 아직 가입을 안 해서 잘 모르겠네요), 연두 www.yondo.net, 탐테 www.timetabl.com (e가 없습니다.)에서 보시면 됩니다.
6. 관련 프로그램
1. 고려대 : KU Time. 어딘가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2. 연세대 : Timetable을 대부분 씁니다.
* 리플로 설명해놨습니다. 직접 다운 받아보시거나 접속해보시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7. 고대와 연대의 영어 과목 Waive(면제)
1. 고대는 따로 신청해서 시험을 봅니다. 1차 지필, 2차 면접이며 면제 받기 매우 어렵습니다. 외국 거주 경험이 있으시면 신청하세요.(2학점이 남기 때문에 매우 편합니다.)
2. 연대는 모든 신입생을 대상으로 시험을 봅니다. Listening과 Writing 시험이며
둘다 면제도 많고 저도 하나는 면제네요. 보통 대부분 고급 대학 영어이며 그 다음 대학 영어, 주로 공대나 실업계 특기자분들인 경우 아주 가끔 기초 대학 영어가 뜹니다.
3. 고대와 연대 모두 영어 과목은 1과 2로 나뉘어 있습니다. 고대는 보통 1->2 순서대로 수강해야하나, 연대는 그렇지 않습니다. 대학마다 그 학기에 1을 들을지 2를 들을지 정해줍니다.
4. 또한 필수 수강 영어 과목들은 대체적으로 과제가 많은 편이고, 원어로 수업이 진행됩니다. 다만 학점은 후하게 주는 경향이 있습니다.
8. 동선
1. 까먹고 말 안 했는데, 수강 신청시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것이 이 동선입니다. 예를 들어, 고대의 경우, 2교시가 교양관에서 있는데, 바로 다음이 이과캠이라거나 신법관이거나 하면 매우 벅찹니다.
지각도 자주하게 되구요. 웬만하면 고대의 경우 대부분의 교양이 있는 우당관과 근처의 서관 정도에서 돌거나 멀리 갈 경우는 공강을 넣어 줍시다.
연대는 제가 아직 지리를 잘 몰라서 정확히는 못 적지만 역시 중요합니다. 상본-공과대면 매우 힘들겠죠.
9. 시간과, 1교시, 금요일 오후 수업
1. 고등학교 생활을 생각하신다면 1교시(9시) 수업을 왜 못 듣냐고 반문하실 수 있지만, 한 달만 지나도 그런 생각이 사라지실 겁니다. 결석을 자주하게 되므로 1교시는 되도록 피합시다.
2. 금요일 오후 수업들도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대부분 이때 MT를 가거나 행사 등을 진행하므로 귀찮아질 수 있습니다. 아주 가끔 있는 토요일 수업들도 마찬가지 입니다.
3. 대학교 강좌는 첫 강좌가 9시에 시작해서 마지막 강좌가 6시 정도에 끝이 납니다. 수업에 따라 5~10분 늦게 시작하거나 10~30분 가량 일찍 끝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10. 계절학기
1. 만약 학점이 부족하시거나 한 경우 방학 동안에 계절 학기를 들어서 보충할 수 있습니다. 따로 돈을 내야하며(결코 싸지 않습니다), 1학기 분량을 짧은 시간에 나가야하므로 바쁩니다.
11. 과목 포기
1. 드랍이라고 합니다. 듣다가 정말 못 듣겠다 싶으면 아예 그 과목을 포기해버리는 것 입니다. 기억이 정확하지 않은데, 고대의 경우 3번까지 제한이 있습니다. 또한 드랍시 당연히 학점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12. 절대 평가와 상대 평가
1. 절대 평가는 말그대로 절대 평가 입니다. 교수 재량으로 전원 A+부터 전원 F까지 줄 수 있습니다. 보통 수업이 영어로 진행되는 강의는 절대 평가입니다. 인원이 적은 경우도 절대평가가 되곤 합니다.
고대의 경우 교양에서 절대 평가를 금지해놨습니다. 거의 전부 다 상대 평가 입니다. 예외적으로 인원 수가 적은 과목이거나 영어로 진행되는 강의의 경우 절대 평가가 가능합니다.
2. 상대 평가는 %로 자르는 평가 방식 입니다. 고대나 연대 모두 수강 인원의 35%~40% 이상 A를 줄 수 없습니다. B의 비율도 제한이 있습니다. 둘이 합치면 수강 인원의 70% 정도 입니다. 다만 이는 최대
3. +혹은 -가 붙는 것은 교수의 재량입니다. 교수에 따라 +를 몰아서 붙여주는 경우도 있고, 정확히 나눠서 붙여주거나 안 붙여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라는 고오급 스킬을 전수받을 예정 대충 들어보니 여자랑 술게임 할 때 여자랑...
-
개강이 무섭다
-
건대 오티 새터 0
공대는 언제쯤인가요?
-
갤러리 정리하다가 오랜만에 생각남
-
위조 신분증 4
으로 술 담배 사가면 신고 들어왔을때 누가 책임지는거임? 신분증 사진 생년 확인했다고 했을때
-
이기상쌤이 알려주신 공부법 그대로 따라서 공부하나요? 쌤이 알려주신대로...
-
타투 인식이 진ㅋ자 너무 안좋아서 포기함
-
그거 여자애들이 중학생 때 교실 바닥에 앉아서 하는 것들임
-
이런게 수능중독인가
-
얼버기 7
반갑습니다
-
테슬라 믿을게 7
내 등록금 벌어줘
-
리버스출산글로 딱 한번 막은적 있는데..
-
행복하지마요 8
행복하려면
-
어느정도 정리됐네 이제 자고 일어나서 나머지 지우고 공부해야겠다
-
100덕씩 받기
-
라방중인데 시청자좀 차면 넣는대 tik-tok.com/live/06
-
[배운 술게임] 1. 공산당 2. 민주당 3. 딸기 (마스터) 4. 딸당수참메 5....
-
벌점 0
러셀다닐때 딱 한번만 유튜브킨거 그대로 나만 걸려서 전체 벌점1위한적있었는데 ㅋㅋㅋ...
-
천만덕 가쥬아
-
꼭 저 믿고 김학철 교수님 강의는 거르세요 중요해서 두 번 말합니다 김학철 교수님...
-
뭐라도 먹어서 잠을 깨울까
-
못생겨서 입가린건 알겠는데 인터넷에 자기사진을 왜올려?
-
잠을 못자겠어 0
-
덕코주세요 7
응애
-
작년 6모 플라스틱 지문 이 구절하나가 진짜 이해가 안됩니다 4
양쪽이 아니라 한쪽에서 나오는건 알겠는데 갑자기 두 사슬이 지문에 왜 나오는건가요..
-
내신 3.8 떴는데 이 정도면 어디감? 좆반고인데 정시가 더 나았음
-
벌점 얘기하니 5
이상한코딩 많이하던 하루만에 산화당한 친구가 생각나
-
수면제 먹고 푹 자도 다음날에 너무 정신없고 피곤하지 않나요? 저 수면제 원래 먹던...
-
이렇게 혼자 노래불러외딴 섬 같은 나도밝게 빛날 수 있을까
-
글루미 바이올렛
-
새내기 3분이 쪼르르 와서 시간표 훈수 한바가지로 받고감 근데 힘들진 않고 나름 뿌듯함 뭐지
-
나바본가 4
기원글임시저장해놓으면사진매번올릴필요없구나
-
김승리 1
Tir? 언제 개강해요?
-
라방중인데 시청자좀 차면 넣는대 tik-tok.com/live/06
-
잘못하면밤샐뻔했다
-
술은 몸에 좋음 4
술은 알코올임 알코올은 소독용도로 쓰임 즉 술을 마시면 몸속을 소독하는거임 즉 건강이 좋아짐
-
현역인데 7
의대는 포기했고 ㅇㅇ. 약대가고싶은데 가능할까
-
생각보다1점대 내부에서의 차이가 크다 1초반은 거의 올1에 2 1,2개지만 반대로...
-
술마실때 꿀팁 3
바로 맥주잔에 소주 밑잔깔기 맥주잔은 크기때문에 밑잔 깔아도 어느정도인지 대충봐서는...
-
나 살 다시 찜 0
콘서타 때문에 밥을 잘 안 먹어서 42까지 빠졌다가 지금 다시 44까지 찜
-
갈꺼야
-
물회 삼겹살 치킨 파스타 막상 밥먹을때되면 귀찮아서 대충 먹음
-
흠
-
잼민이 자라니
-
요놈 정말 귀엽네...
-
1. 근본 경희대의 근본: 신흥무관학교 - 이씨 형제가 세운 항일 학교임. 절평...
-
의외로 벌점 0점인 16
와따시데스와 모범시민 충격실화에요 전생은모르는일임 암튼그럼
-
자야지.. 오르비 구경 안하다가 둘러보니까 생각보다 시간이 너무 잘가네
저 근데 gateway 강의요 아무 교수꺼나 들어도 되는거죠?;
예전에 뭐 지도교수 강의를 반드시 들어야 한다는 글을 본 적이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아닌거 같기도 하고
지도 교수 아직 모르실건데 ㅋㅋㅋ 아마 아닐 거에요.
아까 쪽지 보냈었는데ㅋㅋ 몇 반이세요? 어제 저 보셨을지도 ㅠㅠ...ㅋㅋㅋ
이 정도만 아셔도 수강 신청 따위는 가볍게 해결할 수 있어요ㅋㅋㅋ
평점은 높은데 댓글이 없네.. 내 글은 내가 살린다.
좋은 글 스크랩좀 해둘께요 ㅎㅎ
근데 KU time 이라는 프로그램은 정체가 뭔가요? 직접 수강신청을 하는게 아니라 시간표를 짜주는 프로그램이라고 하던데...무슨말인지 잘 이해가 ㄷㄷ
학교 강의를 검색해서 시간표에 넣을 수 있습니다. 교수명/강의명/학수 번호(연대는 학정 번호)/시간대 별로 검색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죠. 대학 수업은 보통 월수, 월금, 수금, 화목으로 나뉘며, 각각 시간대가 천차만별이라 매우 복잡합니다. 신입생이시면 강의 시간표 짜시는데 최소 3시간은 잡으세요. KU Time이나 Timetable은 이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게 시간표 테이블 상에서 보여주는 것입니다.
대부분 시간표를 이런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작성하고 포탈에서 신청합니다. 한번 다운 받아 보시면 금방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아 빼먹었는데, 이 프로그램 상에서 강의실 위치, 강의 개요 등을 볼 수 있습니다. 동선을 한 눈에 파악하거나 대략적 커리큘럼을 알기 위해 유용합니다.
wow...답변 감사합니다.
연대 관련 설명 중에 조금 애매한 부분이 있네요.
- 3학점이라도 과목에 따라 4시간 수업인 곳이 존재합니다. 2시간 수업하고 1시간은 인터넷 강의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구요. 물론 3시간이 보편적입니다.
- 성적 우수 장학금은 과에 따라 다른데요.. 공대 같은 곳은 만점이 아니어도 충분히 전액 받을 수 있습니다.
- 졸업 필수 학점은 학과마다 다릅니다. 공대의 경우 140학점입니다.
- 수강신청할 때 자기 학년의 TO는 보입니다. 신청가능 인원과 희망인원을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가 문과라서 ㅋㅋㅋ; 이과쪽은 잘 모르겠네요..
2. 수강신청 자기 학년 TO보이는 것은 제가 애매하게 썼네요. 댓글로 보충하자면
고대의 경우 4학년 30/30 3학년 40/40 2학년 40/40 1학년 30/30 이런 식으로 전학년이 보이지만, 희망 인원은 보이지 않습니다. 즉, 이를 확인하고 4학년 TO가 비어있는 경우 새내기들이 교수에게 잘 말하거나해서 이를 1학년 TO로 넘길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경쟁률을 알 수가 없죠. 연대의 경우 자기 학년 TO만 보이지만, 희망인원이 보입니다. 다만 주의할 점이 희망 인원 전부가 자기 학년 희망 인원이 아닌 학년과 무관한 누적 인원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경쟁 인원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연대 수강 신청자는 이 희망 인원을 잘 파악하시고, 수강 신청시 경쟁이 심한 과목을 우선적으로 시도하는 편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