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제 등가속도 공식 사용 안하고 풀수 있을까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169484

등가속도 공식 쓰면 풀리긴 하는데...
최대한 안쓰고 풀어보려고 하는데 도저히 모르겠네요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자율전공인데 성적제한이 있음 그레서 내가 1지망으로 원하는 학과에 들어갈수 있을지...
-
원래 있던 영언진 아는데 갑자기 막 어느순간부터 유행어처럼 쓴거같은데
-
올해안에 금테 1
가능할까여?
-
그냥 피지컬로 맞춰버리는데 이래도 되는걸까요..? 재수때 삿던 뉴런 이번에 수능...
-
8시간 하니까 5
못하겠다 쉬면서 오르비에 글싸지르고 다시 수학하고 ㅠㅠ죽겟네
-
생명과학 좋아해서 생1 공부할 때 내용자체는 재밌어하는 반이과틱?한 사람인데 윤리,...
-
사망직전 2
-
서로 비밀로 하기로함 ㅎㅎ
-
[단독] 미국행 러시는 없었다…'사직 1년' 전공의들 어디에 4
[앵커]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 사이에선 미국으로 건너가 의사를 하면 된다는 반응도...
-
특정되도 알빠노? ㅋㅋ 진짜 특정되면 좆되는 새끼는 장수생에 병신일베페미글 싸지르는...
-
제가 뉴런 내용을 확실하게 체화 하고있는지 알고싶습니다. 혹시 방법이 있을까요
-
쉽지 않나요 심지어 프사도 같은걸로..
-
공부 많이 했는데 오늘..
-
다들 공부하다가 0
한번씩 정신병 올 것 같을 때 어떻게 대처하나요?
-
매일같이 특정당하는중 22
이제는일상과도같음
-
"대학 절반만 갈래?"
-
뀨
-
왕복 두시간임 광역버스 타고 지하철 갈아타서 가는 학원은 수능날까지 체력이 너무...
-
불쌍하네
-
아무리봐도 안할 이유가 없는데
-
다른과목 봐도 서울대갈정도의 실력이 아닌거같은데 허구한날 내신 cc인가요 bb인가요...
-
맞팔구 2
ㄱㄱ
-
전담
-
(서울대 합격 / 합격자인증)(스누라이프) 서울대 25학번을 찾습니다. 0
안녕하세요. 서울대 커뮤니티 SNULife 오픈챗 준비팀입니다. 서울대 25학번...
-
외계인 느낌남 에일리언도 아니고 ㅡㅡ
-
고1~고3까지 국영수(미기확 다) 통과 통사 포함하여 수능보다 쉽게 봐서 평가하는...
-
https://orbi.kr/00072134399#c_72134635 요거 쓴...
-
매수업마다 덤앤더머찍음 어이거왜안되지 어이거왜계산안되지 어뭐지...
-
전 사격선수 하고 싶었는데, 가정을 부양해야할 의남자는 전문직이나 대기업 혹은 자기...
-
걍 해설지랑 책 n회독하면서 중요작품 열심히 공부하면 굳이 살 필요 없긋죠?
-
이미지 적어드림 51
밖에 있는데 배터리 없어서 응답엔 시간이 조금 걸릴 수 있음
-
시간 지나도 덤벙거릴까봐 걱정되네
-
짬@뽕하네 8
-
오르비 화력 테스트 10
-
새내기) 안읽으면 후회하는 현실적인 정보글(뻔한거아님) 4
1. 주택청약 가입하기 내집마련, 너무 먼 얘기 같나요? 주택청약은 일종의 적금...
-
[유석재의 돌발史전] 서울과 도쿄의 시간이 같다... 이것도 ‘친일 잔재’인가 1
1896~1911, 1954~1961년의 시간은 지금보다 30분 느렸다 유석재의...
-
응원해주세요 7
응원 받고 싶어요
-
공수2 명제 4
재수생입니다 공수 복습돌리고있는데 명제까진 안해도 상관없겠죵? 집합은 할거고 확통할 예정이에여
-
하양고시도 있나여?
-
나 아기니까 나 대신 과외 가
-
얼탱
-
요즘애니고트 0
.
-
마지막으로 전화추합되어서 지금 에타가 안됩니다 시간표에 관해 궁금한 점이...
-
옛날 애니 고트 0
미래소년코난
-
추천 좀 해봐라 어짜피 내맘대로 할거지만
-
그래서 눈물이 나진 않네..
-
거짓말쟁이문장 0
나는고자다
-
돈지랄ㅁㅌㅊ 5
깊콘 소비해야하는데 커피는 못먹고 단건 혈당이슈생겨서 메가에서 빵쳐먹음ㅠㅠ
-
진정한 봇치는 0
이거 아님뇨?
패션이과라 제성합니닷!!!
??
물1 이거 완전 기술가정 아닌가요?
화생지는 다 잘 하는데 물리는 수능대비할 기회가 없었네요.
정원재!
정원재 듣는건 아닌데...
저도 모르게 정원재T 처럼 풀고있더라구요...ㄷㄷ
개념이 튼튼하셔서 그런든ㄷ ㄷㄷ!
일 에너지 정리랑 에너지 보존쓰면될거에요
일에너지 정리랑 에너지 보존 이용해서
2mgh=10(v^2-v0^2) 까지는 유도했는데
여기서 결과를 내려보니 아무리 봐도 공식밖에 없겠더라구요...
제가 너무 뻔하게 보이는 답을 어렵게 푸려는 걸까요...ㅠㅠ
답1번인가요? 되게쉽게나오네여 에너지쓰면
A에 가해진 알짜힘이한일=A의 운동에너지 증가랑, b의 중력포텐셜에너지 감소량=b운동에너지x10
네 맞아요.
2mgh=10(v^2-v0^2) 까지는 유도했는데
여기서 답을 내려니 공식에 대입하는거 말고는 답이 없어보여서요...
제가말한대로 하시면 20초컷가능!
3mah=1/2*3mv^2 ,2mgh=1/2*2m*v^2*10연립하면 a바로나와요
와
감사합니다!!
B의 퍼텐셜에너지 감소량을 10E, 운동에너지 증가량은 E라고 합시다.
B의 합력이 한 일은 일 에너지 정리에 따라 B의 운동에너지 증가량 E와 같고 이동거리는h이므로 E=2m*a*h
퍼텐셜에너지 감소량은 10E이고 이것은 2mgh이므로 a=0.1g임을 알 수 있습니다.
등가속도 공식을 사용한다고 하면
v=√(2ah) 이고
(0.5*2m*2ah)*10=2mgh이므로
a=0.1g
등가속도공식이 더쉬운것 같기도..
B: +2mg-T=2ma
2mg= 10×2ma
a=1/10g
저 유형에서는 에너지보존법칙을 쓰면 쉽게풀립니다.
알고가셔야할게, A와B의 가속도가 같다면
1. A와B의 운동E 변화량비는 A와B의 질량비와 같다.
2. A의 운동E변화량+B의 운동E변화량+A의 위치E변화량+B의 위치E변화량=0
이거쓰면 금방풀려요. 특히 ~에너지 변화량은 ~에너지의 몇배이다. 이런문제요.
단 저 그림이랑 완벽히 같아야만 쓸수있는겁니다... 올바른 방법으로 공부하시다 보면 다른 유형에 대해서도 사고할수 있게됩니다
또 A의 운동E변화량=A에 작용하는 알짜힘이 한일의양
그런데 저문제 F=ma 써서 풀면 좋지않은풀이인가요?
고2인데 A 의 운동방정식 써서 풀었거든요....
중력만 작용하니까 역학적E는 보존된다 까진 갔는데 그 이상 넘어가질못해요...
수능도 물리볼건데 사고가 너무 좁은걸까요
댓글로 설명하기엔 상당히 체계적으로 배울필요가 있는 부분이라 깊게 설명해드리지는 못하겠지만... 물리1 과정에서 중력이 물체에 일을하면 역학적E보존, 중력이 아닌일이 물체에 일을하면 역학적E에 변화가 일어납니다... (알짜힘에서 상쇄가 일어나면 보존될수도...) 물체에 작용하는 모든힘을 표시해보는것이 좋은공부방법이고, 그렇게 공부하다보면 어떻게 풀어야겠다는 사고가 좀더 정확하고 빨라질겁니다... 그리고 F=ma는 알짜힘F에 대해서만 쓴다는것도 참고하세요...
그리고 지금 빨리 못푼다고 수능때 빨리 못푸는거 아니니까 걱정하지마시고 천천히 정확하게 풀면서 고민해보세요 :-)
으.. 정말 감사합니다.
그럼 역학적E=최고점 에서의 포텐셜 에너지 ,
운동E 변화량=포텐셜E 변화량 인건
역학적 E 가 보존되는 중력만이 전체상황에서 작용될때가 맞나요?
다른 외력이 영향을 미치면 , 둘은 서로 다른게되나요?
그리고 F=ma 공식을 A B 가 연결되있더라도
A 에만 작용하는 알짜힘을 구하고 싶다 이럴떄 A의 질량 가속도를 구해서 공식사용해도 되는거죠?
객체 한개씩에 대해 생각해본후 A,B를 시스템 하나로 엮어서 생각하는게 올바른 공부방법입니다. 외력이라는 말보다는 보존력, 비보존력 개념이 더 도움이 될거같네요. 내력, 외력 개념은 시스템 내부에서 작용하는 힘을 내력이라 하고, 시스템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을 외력이라 합니다. 중력도 시스템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이기에 외력이라 할수있죠.
각설하고, 이것만 알아두시면 됩니다. 힘은 크게 보존력과 비보존력이 있습니다. 보존력에는 중력, 탄성력, 전기력, 만유인력이 있고, 보존력을 제외한 모든힘을 비보존력이라 합니다. 보존력이 물체에 일을 하든 안하든 물체의 역학적E는 보존이되고, 비보존력이 물체에 양의 일을하면 그만큼의 양으로 물체의 역학적E는 증가하고, 음의 일을하면 역시 물체의 역학적E는 그만큼 감소합니다. 물리1과정에서의 역학문제에서 이용하는 보존력은 중력뿐이고 장력, 수직항력 등의 힘은 모두 비보존력이라 생각하시고 푸시면 됩니다.
그리고 앞에서 말씀드렸다싶이 수직항력, 장력등의 비보존력이 물체에 일을 하지않으면 물체의 역학적E는 보존이 됩니다.
그리고 A의 가속도와 질량을 안다면 A에 작용하는 알짜힘을 구할수있습니다. 그리고 알짜힘은 '최종결괏값' 이기때문에 알짜힘에 힘을 합성할수 없습니다. 모든 힘을 모두표시하고 계산하셔서 최종힘인 알짜힘을 얻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