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Is8F4x3y6v0j [629213] · MS 2015 · 쪽지

2016-02-27 13:38:54
조회수 915

공유성 학습성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8060826

1.우리나라 사람들이 돌무더기 탑을 지날 때 돌 하나를 얹는 이유를 외국 사람들은 알지 못한다.
2. 요즘 청소년들이 여러 단어의 첫 음절만을 이용하여 만든 줄임말의 의미를 기성세대는 알지 못한다.

문제. 다음 두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부각되는 문화의 속성은?

이거 답이 공유성인건 알겠는데요 저 두 사례모두 학습성도 찾아 볼 수 있지않나요?? 우리나라 사람들이 돌을 얹는거는 학습에의한거고 외국사람들은 그러한 문화를 학습하지않았기 때문에 알지 못하는거고 두번째 사례도 마찬가지로 청소년은 줄임말을 학습에의해서 안거고 기성세대는 학습하지 않아서 모른다. 이러한 이유로 학습성은 찾아볼 수 있는게 맞나요?

즉,공유성과 학습성을 둘 다 찾아볼 수 있는데 문제의 두 사례는 공유성의 개념이 더 강하고 문제의도가 공유성을 원한것이지만 학습성도 해당될 수 있지않겠느냐!! 가 제 질문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도리 · 473113 · 16/02/27 13:45 · MS 2013

    학습성은 후천적으로 획득된다라는 것에 포커스가 맞춰지게 됩니다. 공유성은 어떤 집단과 다른 집단을 구분하거나 한 집단의 동질성을 강화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구요.

  • 지도리 · 473113 · 16/02/27 13:46 · MS 2013

    따라서 학습성이 보이려면 어린 아이들은 모른다 근데 어른들은 안다 이런 식으로 서술되어야 합니다

  • OeIs8F4x3y6v0j · 629213 · 16/02/27 13:51 · MS 2015

    음..이게 말로는 이해가 되는데 직관적으로 딱 보면 뭔가 학습성도 말이 되는것같은...2번을 다시보면 청소년은 알고 기성세대는 모른다는것이 둘다 똑같은 인간이지만 청소년은 후천적으로 학습을 했으니 아는것이고 기성세대는 후천적으로 학습을 하지않았으니 모른다 이런식으로 보면 학습성이 해당될 수 있지않나요..?

  • 지도리 · 473113 · 16/02/27 13:57 · MS 201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OeIs8F4x3y6v0j · 629213 · 16/02/27 14:11 · MS 2015

    또한
    아이들은 자기가 가지고 싶은 것이 있을 때 부모 앞에서 그것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칭찬한다.
    이건 왜 공유성은 해당이안되는건지 궁금합니다!! 아이들끼리 그런 행동을 공유하고 있다는거 동질성을 강화할 수 있는거아닌가요!?

  • 지도리 · 473113 · 16/02/27 16:31 · MS 2013

    점심먹고답한다는게 까먹었어요
    사회적으로 공유되는 것들을 의미하는데요 이거는 일반적인 주류문화를 겨냥하고 쓴 말이에요 사실 저런 행동은 아이들끼리 강화되었을지는 몰라도 인간의 기본적 욕구충족과 관련된 사안이라 관련있다고 보기어렵죠

  • OeIs8F4x3y6v0j · 629213 · 16/02/27 17:48 · MS 2015

    ㅠㅠ 죄송해요 제가 머리가 안좋아서 이해가 잘안되네요..
    "아이들은 자기가 갖고 싶은 것이 있을 때 부모 앞에서 그것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칭찬한다" 이 문장이 기본적 욕구충족과 관련된 사안이라 공유성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말씀이신가요??저도 지금 제가 너무 답답한데 만약에 "아이들은 자기가 갖고 싶은 것이 있을 때 부모 앞에서 그것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칭찬하지만 청년들은 자기가 갖고싶은 것이 있을 때 그것을 사기 위해 돈을 모은다" 이런문장이 있다면 이건 공유성에 해당될 수 있는건가요

    2."아이들은 자기가 가지고~ "
    이 문장이 학습성에 해당된다는데 이 문장을 보고 후천적으로 학습됐다.. 이러한 의미를 어떻게파악하죠?? 사달라고 떼쓰는것이 아닌 칭찬하는걸 보고 후천적으로 학습됐다고하는건가요..?

  • 지도리 · 473113 · 16/02/27 17:51 · MS 2013

    딱 저렇게 줘놓고 학습성이라구 한다구요? 약간 이상한것같은데 어디문제죠?

  • OeIs8F4x3y6v0j · 629213 · 16/02/27 18:01 · MS 2015

    강대선생님 교재예요!! 오늘 주말이라 쌤들이없어서 질문을 못하는.. 첫번째 질문은 어떻게생각하세요??

  • 지도리 · 473113 · 16/02/27 18:04 · MS 2013

    저건 또 학습성같은 맥락이되어요 기본적으로 어린아이와 성인의 비교는 학습성, 어떤 집단과 타집단간의 비교는 공유성을 내려고 하거든요

  • OeIs8F4x3y6v0j · 629213 · 16/02/27 18:12 · MS 2015

    아 공유성 학습성 너무 헷갈리네요 ㅠㅠㅠㅠ 그냥 다 말장난같은... 그러면 만약
    "아이들은 자기가~" 이 문장을
    "대한민국의 아이들은 어떤 물건을 갖고 싶을 때 그 물건에 대해 칭찬한다"
    Or
    "대한민국의 아이들이 어떤 물건에 대해 칭찬하는 것은 그 물건을 갖고싶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두 문장은 약간 공유성의 냄새가 나지않나요!!!! 아 완전 말장난같군

  • 지도리 · 473113 · 16/02/27 18:18 · MS 2013

    그정도까지가면 공유성 괜찮아요!!

  • OeIs8F4x3y6v0j · 629213 · 16/02/27 18:21 · MS 2015

    아.. 진짜 단어하나 차이로 그런 차이가 나는군요... 문제에 나오면 이건 공유성을 말하는건진 알겠는데 긴가민가한게 나올 때도있고 이건 학습성은 안되는걸까 헷갈리는게 많네요 ㅠㅠ

  • 지도리 · 473113 · 16/02/27 18:28 · MS 2013

    그래서 잘 안나오다가 작년부터 다시나오네요..

  • 시베리아 설경 · 593794 · 16/02/27 22:16 · MS 2015

    강대 어떤 선생님이예요??

  • 남자의 힘 · 624765 · 16/02/27 16:28 · MS 2015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지도리 · 473113 · 16/02/27 16:32 · MS 2013

    저도 그것에 대해선 학습성이 드러난다고 판단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