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역 고3 수능 지1지2에 대해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925834
네 저는 일단 정시로(가능하면 논술도?) 의대를 준비하고있는 고3 98 현역입니다.
한달전까지만해도 화1지1을 생각하고있었는데
화1은 양적관계랑 중화반응문제를 풀리긴하는데 절대로 30분안엔 다 안풀리더라고요
즉 무조건 적어도 두문제는 찍게되는 상황이 연출됩니다 매번 (보통 42?정도 뜨고 심하면 38)
잘해야 2등급 컷이고 3등급대를 오가는게 일반적이며, 4등급도 의심하게 되어서 급하게 지2로 전향하게 되었습니다. (아 지1은 개잘해요)
하필 왜 바꾼과목이 지2인 이유는 제가 개인적으로 지구과학에 사고가 잘 맞춰져있고, 아는 선배의 말로는 20문제 다풀면 빠르면 15분이나 남는다는 개꿀과목이라고 해서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막상 시작하려보니 지금까지의 화1의 초석이 아깝기도 해서 여기 글을 써봅니다.
현재 학교 내신에서도 다뤄본적이 전혀 없는 순 노베이스 상황인 데다가 보아하니 양도 지1에 비해 상대적으로 훨씬 많아보이고, 내가 열심히 한들 한개틀리면 백분위 털릴까 고민도 되고...
지2를 실제로 경험을 통해 공부를 해보신분으로부터 견해를 듣고 싶습니다.
ex) 지2를 1차적으로 마무리하는데 걸리는 시간, 지2를 공부할때의 소소한 팁 등
P.S.원투 같은걸 보면 입시에서 손해를 본다, 서연카 못간다, 이딴소리 제발하지마세요 다 압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Ps빼곤 지2의 단점이없는데 장점만 써달란 얘기?
장점 : 쉽다
단점 : 남도 쉽다
일겅
망러밍러미 님의 2016학년도 대수능 성적표
저는 고3 3월시작할때 화학물리생물이모두 노베였습니다.(수업한개도 안들음 ^^) 그래서 선택지가 1.화학 노베로시작하기 2.지2 노베로 학교수업 시작하기 였는데 2를 택했죠. 주저리주저리 댓글로 쓰는것보다 쪽지가 편할것 같네요 궁금한점 쪽지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