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점 멘토 퓨에르] 계획만 세우고 있지 마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882630
반갑습니다. 퓨에르입니다.
슬슬 구정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내일부터는 평년보다는 추울 예정이라고 하네요. 감기 걸리지 않게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글의 시작에 앞서, 이 글은 저 스스로에게도 하는 말임을 밝힙니다.
저는 약간 길눈이 어두운 편입니다.
네비게이션을 찍고도 잘 찾아가지 못해요.
사실 어느정도였냐면, 걸어왔던 길들을 다시 뒤돌아보면 새로운 길 같습니다.
분명히 내가 왔던 길인데 말이에요.
제대로 적혀져있는 지도를 보고도, 어디로 가야하나를 고민해요.
걸어가면서도 고민을 합니다.
아 내가 잘 찾아가고 있는건지 모르겠네, 약속시간에 늦으면 어쩌지.. 하고 말이죠
다행히 요즘은, 찾아가는 것에 자신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작년에 홍콩 여행을 갔을때, 정말 아무것도 모르는 곳에 갔을 때
지도 하나만 갖고, '그래 어차피 놀러온거고, 하고 싶은대로 하러 왔는데
헤매면 어떻겠어. 일단 적혀져 있는 아무 버스나 아무 방향에서 타고 가보지 뭐.
잘못 탔으면 내려서 반대방향에서 타면 되겠지'
라는 마음으로 돌아다녔거든요
(물론, 실제로 반대방향에서 몇 번 타버려서 뺑뺑 돌아갔...)
어쨌든, 저는 가보자! 했던 곳들을 우여곡절 끝에 다 돌아다녔습니다.
그리고 자신감이 붙더라구요.
헤매더라도 일단 출발하고 돌아다니다보면 도착하긴 하는구나.
그래서 요즘 새로운 곳을 돌아다닐 때도 크게 걱정하지 않습니다.
헤매게 되는 시간까지 대략적으로 계산에 포함시키거든요..(ㅎ..)
자 오늘 얘기하고자 하는 것은 '계획'에 대해서 입니다
요즘 상담을 진행하다보면, 이러한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공부는 본격적으로 해야하는데, 의지가 안생겨요. 마음이 안잡혀요..'
'재수학원은 어떻고, 독학학원은 어떤데.. 어디로 가야할까요? 어디서 시작할까요'
네 맞습니다. 많은 분들이 고민하고 계시겠지요.
그리고 스스로 알고 계실겁니다.
'지금 공부를 해야 ~를 할 수 있을텐데'
'내가 지금 이 수준에서는 ~를 해야할텐데'
'내가 지금 무엇이 부족하구나'
네. 그래요. 우리가 문제점을 발견했으면, 그 뒤로 보통 무엇을 합니까?
플래너를 쓰는 분들이 계실 겁니다.
이제 플래너를 쓰면서, 계획을 세우면서 고민을 하시죠.
그런데 말입니다, 계획 '만' 세우느라, 시간을 보내고 낭비하고 계시진 않습니까?
'효율적인 방법'을 계획하는 것만이 '정답' 입니까?
하버드대의 헤릭 교수는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세상의 93%의 사람은 일을 미루는 습관 때문에 결국은 아무것도 이루지 못한다.
이는 미루기가 사람의 적극성을 죽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빌게이츠는 이렇게 얘기했죠
"해야 할 일을 당장 하지 않고 내일 하겠다고 미루는 사람은 모두 패배자다.
하루라는 시간을 규모 있게 쓰지 못하고 낭비해버리면 아무 것도 이룰 수 없다"
계획은 지도와 같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리 자세히 묘사돼있어도, 아무리 정확해도
'행동'을 취하지 않는다면 바로 앞의 방향도 보여주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출발하고자 마음을 먹었다면, 한 걸음을 내딛어야
일단 목표로 한 '어딘가'를 좌표로 찍고 찾아간 다음에, 그다음을 좌표로 찍고 찾아가야지,
계획만 세우고, 길을 잃을까 걱정하고 출발조차 못한다면 그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공부를 시작할 마음이 잘 안들고, 잘 안되십니까?
그렇다면, 지금 공부를 하지 않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을 적어보세요.
그리고, 자기 자신에게 물어보세요.
그 최악의 상황을, 결과를 받아들일 수 있는지.
지금 당장 행동하세요.
더 빨리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 많은 성과를 내는 방법?
노력하면 하면서 스스로를 돌아보면서 수정해 가면 됩니다
아무튼 시작하고, 그리고 최선을 다해 지속하십시오.
정답은 없습니다.
결론은 간단하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바로 실행하세요. 이러쿵 저러쿵 이유를 대지 마세요.
미국의 심리학자인 마티나 호너의 말을 인용하며 글을 맺겠습니다.
What is important is to keep learning, to enjoy challenge, and to tolerate ambiguity.
In the end there are no certain answers.
중요한 것은 학습을 중단하지 않고, 도전을 즐기고, 애매모호함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종국에는 확실한 해답은 없기 마련이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열시러 2511의 전문항 풀이가 궁금하다면 https://orbi.kr/00072290349
-
제가 모의고사 풀 때 문학이랑 화작에 65분 정도 쓰는데 화작,문학 합해서 3-4개...
-
머임 현우진 12
올해 킬캠 해강으로 첨 듣는데 상당히 빠져드네..
-
최저용으로 수학 할 생각없었는데 어쩌다 보니 하게됬습니다 3등급이 목표입니다...
-
이 개 지리는 가성비를 이해 못한단 말인가 아쉽구나
-
더프 다들 화이팅입니다 오노추 너에게 - 성시경
-
결국은 물을 많이 부어봐야 알 수 있음 생각보다 공부하는거에 비해서 항아리에 물이...
-
알림창이랑 설정창 왔다갔다하기 개빡셈
-
그러니 목동러들은 눈물을 그치도록
-
없으려나 연세대같은곳은 거의 만점이던데
-
3합6 최저를 맞추려면 국어, 수학 둘 중 하나를 4등급 맞아야 하는데 머가 더...
-
어이가 없네 2
어삼은 있네
-
목동도 쫌 와봐라ㅠ
-
개재밌다 ㄹㅇ
-
후기좀
-
엠스킬 0
불후의 개념 완강 햇는데 기출이랑 병행 하는게 좋나요 엠스킬 먼저 하는게 좋나요
-
정시 수시 고민 0
외곤데 수시로 3.극초 나와서 설대 종교학과 쓸거 같은데 설대 자전이 너무 가고...
-
기하인강 둘 중에서 하나 들으려는데 뭐가 더 괜찮나요
-
요즘 현우진이랑 옛날 현우진 너무 다르네 ..ㅋㅋ 요즘엔 그냥 로봇같은데 옛날엔...
-
재미도 없는데 깨작깨작 할말은 다하고 수업도 졸라 느긋하게 나가다가 오버하는건 좀...
-
감귤 먹는 시골쥐의 우당탕탕 육지 여행기 1(부산) 28
***사진 많아요. 데이터 & 스압 주의*** 다음편...
-
26학년도 6평대비 사피엔스 모의고사 풀이(해설용) 11
30분 재서 시험본 건 따로 있는데 그건 부끄러워서 못 올릴 듯.. 문제시 삭제
-
3678x, 90543, 28176 선착순 1명 천덕
-
외가가 외할아버지랑 외할머니 두 분 다 전라도 분이셔서 전라도 사투리랑 서울말...
-
개념적고 마더텅 수특딸깍으로2등급가능한사탐뭐있어요?
-
만약 못풀었다면 1 3 5중에 하나 찍으셈 근데 27번이랑 번호 안겹치게+ 하나도...
-
7모 전까지 한바퀴 겨우 돌릴 수 있을 듯 막상 공부하면 재밌긴 함
-
AI에게 먹일 샘플 o4-mini 10초만에 다읽고 45개중에 제대로 읽은 OMR...
-
브레턴이 마지막 경제지문이라는데 킬러이슈 때문임?
-
꼭 수능에 나와서 통수치는듯..? 혹은 무조건 나온다 하는 게 안나오거나 예상을...
-
아니 나 제주도 사투리랑 경상도 전라도 사투리랑 섞였나봐 10
어카디 근디 시방 너무 배고픈디 뭐먹을까
-
왜 다 이과야 9
그러고보니 여긴 왜 다 이과야 왜 다 공돌이나 의돌이임 왜 문돌이 사대지망은 없는거임...?
-
화학 0
4덮 5모에 냈으면 1컷 38-39나왓을듯 진심으로
-
대학가면 롤 많이함? 11
어때요? 아직도 인기많나
-
특히 국어가 궁금합니다
-
물2 바이럴 14
하고다님 5모 표점 보라고 근데 수요는 없음
-
13354 5687x 43521 find x
-
하이호 드북 1
"하이호" 처음 만나서 반갑다는 인사이다. 하이호 하이호 하이호 하이호 하이호!...
-
맞음
-
안된다고 함..?? 글고 6모 신청했는데 이렇게 전에 퇴소하면 6모도 못봄..?ㅠㅠ
-
표점 말고 백분위도 낮은 건가요??? 깡표점 안 쓰는 대학도 동사 하면 불리해요?
-
이걸로 다시 메가패스 삿는데 이거 완전 호텔경제학 아니야?
-
중딩 때 학원 가면 집중 안된다고 혼자 공부해서 모든 시험 전교 2등 유지 후...
-
주황색으로 가자
-
학교가서 자는거 힘든데
-
틀린문제 2주정도 시간두고 3번풀고 모르겠으면 해설 보라는데 걍 모르겠어서 틀린...
-
목이 메어와~
-
진짜 있나요?
-
독서론, 독서 3지문, 문학4지문, 선택 각각 몇 분 걸리시는지 좀..
ㅇㄱㄹㅇ.. 커리 짜봤자 어차피또 다시 한달뒤에 다시짜게되어있음
일단 시작하고 내가 어디서 중점적으로 틀리는지 모의고사치면 내가 어디가 부족한지, 이시험이 어떤 능력을 바라는시험인지 그 능력중 내가 무엇이 약점이고 무엇이 부족한지 등등은 공부하다보면 깨닫는다봅니다. 깨닫고 한달정도만 짧게짧게 계획세우고 공부하지 1년커리 장황하게짜시는분들 진짜 볼때마다 부질없다 생각듬..내일일도 장담못하면서 1년뒤일을 어떻게 암 ;;
맞아요, 일단 시작을 해야지요!
조흔글 감사합니다(꾸벅)
미루가기 라고 오타 났어요
잘 읽었습니당
고맙습니다!ㅎㅎ
좋은글ㅎㅎ
저는 계획세우는거 성애자 여서 항상 꼼꼼하게 세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