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sci 과학논문 출간을 통해 본 국내 대학들의 기본적인 학술 연구력 비교: 부제-분발이 필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838746
대학별(최근 10년) 피인용 상위 1% 논문 점유율
1-20-2016
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263188
서울대(761건, 세계 116위)
고려대(344건, 312위)
성균관대(317건, 341위)
KAIST(315건, 343위)
----------------------------------------------------
세계 인용된 상위 1% 논문 한국, 세계 15번째로 많다
10년새 2배 증가…1위는 미국
한국에서 발행된 논문 가운데 세계 주요국 피인용 상위 1%에 드는 논문 수가 세계 15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연구재단이 분석한 결과 최근 11년(2004∼2014년)간 게재된 SCI 논문 중 피인용 상위 1% 논문은 모두 12만 8498건이고 이 가운데 한국 논문은 3302건으로 15위를 차지했다. 2.6%의 점유율이다. 미국이 전체의 52.1%를 차지해 가장 많고 다음이 영국(14.8%), 독일(11.9%), 중국(11.7%), 프랑스(7.8%), 캐나다(7.5%), 일본(5.2%) 등의 순이다.
한국의 피인용 상위 1% 논문 점유율은 2004년 1.7%에서 2014년 3.3%로 10년 새 배 가까이 늘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012년 3.5%까지 올랐다 최근 조금 주춤한 상태다. 분야별로 보면 우리나라는 재료과학(6위)과 화학(8위), 수학(10위), 물리학(13위)에서 상대적으로 강점을 보이고 있다. 반면 컴퓨터과학과 미생물학 분야는 전체 논문 수에 비해 피인용 상위 1% 논문 비중(각각 2.2%, 0.9%)이 낮다. 대학별(최근 10년)로는 서울대(761건, 세계 116위), 고려대(344건, 312위), 성균관대(317건, 341위), KAIST(315건, 343위) 등의 순이다.
최근 SCI급 논문 수는 크게 늘고 있지만 피인용 횟수가 많은, 다시 말해 학술적 가치가 큰 논문의 비중이 아직 많지 않은 건 과제로 남았다. 최근 11년간 한국이 발표한 전체 SCI 논문 실적 중 상위 1%의 고 피인용 논문 비중은 0.78%로 세계 주요국 평균(1%)에 못 미친다.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 확대와 국제협력 연구 확대, 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 등을 위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연구재단은 분석했다.
다음은 의과대학 소속 대학병원들 연구력을 조명해주는 자료 입니다.
우리나라 최고의 병원으로 꼽히고 있는 삼성서울병원과 서울아산병원이 ‘빅5 병원’이라는 취지에 걸맞지 않게 특허보유 건수와 기술경쟁력은 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병원은 모두 정부가 3년마다 평가를 통해 선정하는 국가지정 연구중심병원으로, 향후 심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지식재산 전문기업 윕스(WIPS)는 최근 국내 연구중심병원의 국내외 의료특허 등록 현황을 조사한 결과 등록된 의료특허 건수가 3~4개 병원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상위 4개 병원의 특허 점유율이 국내 특허에서 84%, 미국 특허에서 85%를 차지했다.
국내특허를 보면 서울대병원의 의료특허 건수가 1122건(35%)로 연구중심병원 중 가장 많았고, 2위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656건 / 21%), 3위는 고려대병원(구로·안암, 571건 / 18%), 4위는 경북대병원(392건 / 12%) 5위는 분당차병원(129건 / 4%)이었다.
이어 6위 아주대병원(112건 / 4%), 7위 삼성서울병원(97건 / 3%), 8위 가천의대 길병원(66건 / 2%), 9위 서울아산병원(35건 / 1%) 순이었다.
미국 의료특허 등록 현황도 대체로 국내와 비슷했다. 서울대병원이 78건(46%)으로 가장 많았고, 2위는 고려대병원(28건, 16%), 3위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23건, 14%), 4위는 경북대병원(13건, 8%) 순이었다.
5위는 가천의대 길병원(10건, 6%), 6위는 아주대병원(9건, 5%), 공동 7위는 분당차병원(3건, 2%)과 서울아산병원(3건, 2%), 9위는 삼성서울병원(2건, 1%)이었다.
IP(지적재산권) 경쟁력 역시 비슷한 양상이었다. 서울대병원은 21개 의료기술분야 중 ‘높은’ 경쟁력을 확보한 분야가 7개, ‘중간’ 경쟁력 확보 분야 11개였으며 낮은 경쟁력은 2개 분야에 불과했다.
고려대병원은 ‘높음’ 3개, ‘중간’ 7개, ‘낮음’ 5개였고,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은 ‘높음’ 2개, ‘중간’ 13개, ‘낮음’ 5개였다.
삼성서울병원은 '인체 속 또는 표면에 매체를 도입하는 장치' 분야에서만 높은 경쟁력을 보였고, 중간 경쟁력 1개 분야, 낮은 경쟁력은 17개 분야로 나타났다.
서울아산병원은 높은 경쟁력을 가진 분야가 전무했고, 중간 경쟁력 1개 분야, 나머지 18개 분야가 모두 낮은 경쟁력을 보였다.
|
| |
출처: 중앙일보 헬스 미디어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더러워요..
-
앙 2
앙
-
똥쌌어
-
대단하다 진짜
-
새 프사 어떰 3
.
-
전학 vs 자퇴 2
ㅈ반고 다니는 정파 고2인데 자퇴하고 독재다니거나 집주변 갓반고 전학 고민중입니다....
-
실험 과목들이 특히..
-
노곤한거 같음 하루종일 잤음 몸에 기운이 없어 내일부터는 안먹어야지
-
내일은 오늘보다 나아지겠지
-
제가 맨날 강아지 귀엽다고 코박고 끙끙 소리 내는데 얘가 기분좋을때마다 끙끙거리는게...
-
진리를 꿰뚫는다
-
곽준빈이나 기안84 보면 지상파 방송이 예전같진 않아도, 확실히 그 상징성 같은 것은 있지 않나요? 2
지상파에 고정으로 들어간다는 것 자체가 구독자 수와는 별개로 완전한 메인스트림으로...
-
흠..
-
나랑 마주칠때마다 ㅈㄴ웃음 곧 자살할 예정
-
꺼라
-
팩트는 인간이랑 공룡은 서로 만난적이 없음
-
아빠가 사주라 하고서 데리고 갔는데 아무것도 말 안해도 다 맞힘 게다가 재밌음 +...
-
우리집 누렁이도 아는데..
-
흠..
-
ㅇㅇ
-
겁나 하기 싫다 진짜
-
[공부] 노베를 응원하며 (부제: 이 패턴만 바꿔도 노베는 면합니다) 12
안녕하세요. 영포자 지도 전문 영어 강사 Good day Commander입니다....
-
그거 문학 교과서에 있음 내가 읽어보길 권하는 고전 수필들 - 일야구도하기(박지원)...
-
ㅊㅊ
-
흡연구역 가면 나도 냄새 떄문에 힘듦. 근데 아무대서나 피면 안되니 가야함
-
기출에 꽤 많던데 안나오는거 오히려? 좋아
-
재수생인데 이러는 게 ㄹㅇ... 다들 그냥 하는 건가요 스카독재라 너무 외롭고 별...
-
이오니아 핑크 4
어때염? 냄새 안 나나요
-
삘이 그럼
-
밥 기다리는 줄에서 어떤 사람 펨코 보더라
-
좋아요정 누구지 2
글마다 한개씩 누르는거 기요미인데
-
https://orbi.kr/00072744760 칼럼대회 많관부
-
술 마시고 싶다 0
-
저녁해장 2
-
우산 쓴 시간 3분도 안될듯
-
아무래도 일배나 그런 사이트 하는 친구겠지요? ㅜㅜ 이래서 함부러 정치성향 드러내는거 아닌가바용
-
갈테 경기부엉이부터 옮생을 함께 했던 나로선 가슴이 미어진다.다음 옮생엔 내 비서로...
-
범위가 120페이진데 인강도 없고 ㅠ
-
이신혁T 시즌1 2
OZ 개념 기출 끝내고 아직 개념이 부실한 느낌이 들어서 이신혁T 시즌1 VOD...
-
박나래 ‘55억 단독주택’에 도둑 들었다… 수천만원 금품 도난 1
방송인 박나래가 집에 도둑이 들어 수천만원 상당의 금품을 도난당했다. 8일 박나래...
-
난 무료임❤️
-
당연함 기숙학원임 씨발 세상에서 도태되고 있다는 게 한번에 느껴지네
-
[정책 인사이트] 서울서 비둘기 먹이 주면 ‘과태료 100만원’… 실효성은 ‘글쎄’ 4
비둘기, 먹이 풍부한 도심에서 야생 상태보다 더 많이 번식 먹이 제한해 개체 수...
-
심찬우 0
평소 강의에서 추천하는 책 제목들 알려주실분
-
[단독] 경찰, '중국 간첩 99명 체포 보도' 스카이데일리 압수수색 3
(서울=뉴스1) 박혜연 기자 = '12·3 비상계엄 당시 계엄군이 선거연수원에서...
왜이럴까
아무래도 교수님들에게 할당(?)된 연간 최소 논문 편찬 수 때문에 숫적인 증가는 늘었지만 창의적인 연구 프로젝트나 연구환경이나 연구비 등등에서 세계적인 관점으론 우리나라가 질적인 열세로 나타나는 듯 하네요. 그래도 경제력으나 산업 발전도로 미뤄보면 적어도 10위권 안에는 들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요즘 저분들 많이 얌전해 졌는데 너무 그러지마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