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로즈(이유섭) [194126] · MS 2007 · 쪽지

2016-01-19 17:02:36
조회수 1,016

논술은 글쓰기가 아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666263

많은 분들이 글쓰기 자체를 못한다고 논술 기초가 없다고 생각하시는 것 같습니다.


허나 이는 사실을 있는 그대로 서술함에 있어 두려움을 느끼는 것과 같습니다.


사실을 있는 그대로 서술함에 있어 두려움을 느끼지 마십시오.


논술에서 여러분에게 요구하는 것은 글쓰기가 전혀 아닙니다.


1000자를 채워야 하는 연세대 한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들은 여려 가지 문장들입니다.


그런데 그 문장들을 하나하나씩 까보면 사실,


올해 인문계열 문제 2번을 예로 들면,


노력과 성취는 비례한다.


이것입니다. 도표에 나온 사실 그대로를 서술하는 것입니다.


어떻게 서술하던 상관이 없습니다.


노력과 성취는 양의 상관관계에 있다.


노력한 대로 성취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노력한 대로 성과가 나옴을 알 수 있다.


뭐 어찌 서술하던 본질은 같습니다.


그리고 나서


하지만 전문 연주자와 수상 연주자의 사이에 11세~14세 사이의 구간에서 역전 구간이 있다. 이것은 예외이다.


뭐 이것도 정말 여러 가지 바리에이션이 있겠으나 사실 내용 자체는 달라지지 않겠지요.


사실 그래서 이들로 만들어지는 답의 내용도 사실 전부 다 같을 것입니다.


그런데 왜 글쓰기라고 생각하고 두려워하십니까?


사실을 있는 그대로 서술함에 있어서 두려움을 느끼지 마십시오.


그냥 도전 심리를 가지고 한번 써보십시오 써집니다!


논술에서 문장력이 중요하다는 약팔이들이 있는데요


문장력이 기껏해야 3수생 수준에서 발휘해봤자 얼마나 발휘될 수 있을 것이며,


그런 것 신경쓰다가 사실에 대한 정확한 서술을 놓치면


차라리 맞춤법 띄어쓰기 다 틀리고 앞뒤 문장 안 맞지만 내용의 사실성은 다 맞는,


그 답안보다 훨~씬 떨어지는 점수를 맞을 겁니다.


저도 논술로 붙었지만 저도 맞춤법 맨날 틀립니다.


아마 제 답안도 맞춤법으로 감점 당하면 감점 당했지 문장력으로 가점 받지는 못했을 겁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신승범 알바 문희상 · 617775 · 16/01/19 17:03 · MS 2015

    논술로 가려면 내신 마지노선이 몇등급인가여?

  • 페로즈(이유섭) · 194126 · 16/01/19 17:04 · MS 2007

    학교마다 다른데요 내신을 특별히 많이보는 경희대는 3등급 정도는 되야 되고 연고대를 위시한 대부분의 대학은 5~6등급선이라고 생각됩니다. 사실 7등급이 넘어가면은 정시로도 가기 힘들어요. 너무 내신으로 많이 까여서....

  • 신승범 알바 문희상 · 617775 · 16/01/19 17:06 · MS 2015

    넹 감사합니당
    좀이따 게시글 올릴건데 보시면 답변해주세요ㅠㅠ
    논술도 준비해야할지 고민중이라...

  • 페로즈(이유섭) · 194126 · 16/01/19 17:06 · MS 2007

    연대에서 일반전형 내신 평균점수랑 표준편차를 발표했는데 그걸 가지고 정규분포표를 그려보면 3시그마점을 알아낼 수 있는데 5.01등급이 문과대학 2시그마점이던가 그랬습니다. 2시그마면 상위 99.몇이더라 아무튼 표준정규분포표를 참조하시길 제가 외워놨는데 그새 까먹었네 입시철되면 다시 외우겠죠

  • buluttion · 487437 · 16/01/19 17:13 · MS 2014

    정시든 수시든 비교내신분들은 그냥 학과 고를때 자유롭나요?

  • 페로즈(이유섭) · 194126 · 16/01/19 17:20 · MS 2007

    네 비교내신은 정시건 수시건 학과 고를때 자유로운데 수시때 심리랑 언홍영미디어는 피하시는게 합격에 좋습니다 수시때 심리랑 미디어는 무덤으로 가는 길입니다 특히 논술 전형에서는요 차라리 그리 가시려면 경영으로 가십시오

  • buluttion · 487437 · 16/01/19 17:24 · MS 2014

    혹시 비교내신일때 추천할만한 학과 있나요?

  • 페로즈(이유섭) · 194126 · 16/01/19 17:27 · MS 2007

    그건 본인의 전년도수능점수를 알아야 제가 학과를 추천드리고는 해요 전년도수능점수, 반수여부, 본인의적성, 서류전형가능여부, 등등 여러가지를 알아야 논술 학과 추천을 드리지 그냥 단순히 비교내신이라고 어디학과 쓰시라고 는 안해요 69월 모의고사도 새발의 피만큼 참조는 하구요

  • buluttion · 487437 · 16/01/19 17:33 · MS 2014

    혹시 나열하신 항목들에 관해 쓰면 추천 해주실수 있나요?

  • 페로즈(이유섭) · 194126 · 16/01/19 17:35 · MS 2007

    네 추천 해드릴 수 있죠

  • buluttion · 487437 · 16/01/19 17:40 · MS 2014

    감사합니다

    수능(문과): 3 2 2 3 1
    반수여부: 없습니다

    적성: 솔직히 적성은 학과에 가면 배우는건 그냥 다 재미있게 배울 수 있습니다. 다만 언어쪽은 따분해합니다. 솔직히 취업 잘되는 학과가 좋습니다.

    서류전형합격여부: 내신이 많이 안좋습니다. 8등급도 있습니다

  • 페로즈(이유섭) · 194126 · 16/01/19 17:43 · MS 2007

    일단 연대를 쓸까 안쓸까를 고민해야 되는 라인이라고 보여지구요 고려대는 무조건 쓰시구요 그다음에 한양대 쓰지마시고 경희대 쓰지마시고 중앙대 외대 쓰시고 고 중 외 이렇게 쓰시고 그다음에 성대는 쓰셔야 되겠고 고 성 중 외 이렇게 쓰 셔야 되겠고 그다음에 건동홍 라인은 수시로 쓰실 건 아니고 6논술 가셔야 되겠는데 마땅히 쓸데도 없으니 그냥 연대 쓰시고 연 고 성 중 외에 어차피 최저 다 못 맞출 확률도 있으니 한양까지 쓰셔셔 연 고 성 한 중 외 쓰시고 과는 무조건 다 밑에과 하위과 최하위과로 깔아뭉개셔야 되겠는데요 ㅎㅎ

  • buluttion · 487437 · 16/01/19 17:44 · MS 2014

    비교내신 고려해도 하위과 쓰는건가요?

  • 페로즈(이유섭) · 194126 · 16/01/19 17:46 · MS 2007

    지금 수능이 믿을 수가 없잖아요. 솔직히 저는 님이 내년에 69평에서 111을 맞는다고 할지라도 믿지 않을 거거든요 작년수능성적이 322니까 수능에서 또 322로 굴러떨어질 확률을 50%로 볼거거든요. 그러려면 논술에서 최대한 합격확률을 높여야되고 님이 비교내신이라는 것은 님이 4수이상이시라는 뜻인데 이제는 대학 못가면 큰일나는데 당연히 하위과죠 논술에서 상하위과 갭이 얼마나 큰데요

  • buluttion · 487437 · 16/01/19 18:03 · MS 2014

    방금 학과목록 보고왔는데

    그럼 예를 들어

    연대 불어불문, 독어독문 등등 말씀하시는건가요?

  • 페로즈(이유섭) · 194126 · 16/01/19 18:06 · MS 2007

    어문계는 싫다면서요. 그러면 문헌정보나 뭐 그런 거 써야겠죠
    수시 6광탈각이 느껴지는 원서가 6경영 6미디어 6심리 이런 똥고집 원서예요 제 제자들은 절대 이따위 원서 못 넣게 해요

  • buluttion · 487437 · 16/01/19 18:11 · MS 2014

    후..

    어짜피 문헌정보도 책 관련이라 비슷한데

    그럼 어문계열 vs 문헌정보 일때는

    어디인가요?

  • 페로즈(이유섭) · 194126 · 16/01/19 18:16 · MS 2007

    아니 어문계열이나 문헌정보나 실질경쟁률 거기서 거긴데 어문계열이 싫으시면 굳이 어문계열 쓸필요가 없지요 연고대는 어문계열 아니더라도 하위과가 많아요 문화인류라던가 문헌정보라던가 한국사라던가 한문학과라던가 이런 마이너 학과들이 많으니까 이런데에다가 쓰시고 성균관대야 어차피 대규모 모집단위니까 그냥 인문 쓰시고 중앙 외대에서 과고를때 낮은 과로 고르시고 하시면 되신다는 뜻

  • buluttion · 487437 · 16/01/19 18:18 · MS 2014

    아 상담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