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를 공부하면서 궁금한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656982
1. 붕당이라는 개념이 왜 탄생하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붕당정치에 관한 수업을 들을때 선생님들이 하시는 말씀들중에
첫째, 공론중시 이로인하여 3사 언관과 이조정랑의 정치적 비중확대와 서원을 통한 중앙 정치 반영.
둘째, 서로 학문적 입장을 이해하는 가운데 상호 공존을 전제로 함.
이로 인해 조선사 개설에 나오는 조선정치에 대한 비판을 반박 할수있으며 과연 어느나라가 저 시절 이런 정치형태를 가지고 있었냐라고 하시던데
우리나라에서도 고려말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조선초 개혁파와 온건파 조선 초중기 관학파와 사림파가 있었는데 ( 서원을 통한 중앙 정치반영은 아니지만 서원은 사림의 기반이었기 때문에 의미가 있을까)
그리고 이조전랑이라는 자리가 어차피 지배층의 의견을 수렴하는것 이었고 옆나라였던 명 청, 일본의 에도막부도 지배층들의 의견을 수렴해서 나라를 운영해 나갔었고 그렇게 좋은제도였고 운영이 되었다면 후에 조일전쟁이나 병란같은건 왜 겪었는지 ... 솔직히 붕당정치라는 파트를 만들어서 따로 배우는 이유를 잘모르겠습니다.
두번째에 있던 상호 공존에 대해서도 의문이 있는게 인조반정 이후 북인내 영창대군을 지지한 소북파를 제외한 광해군을 지지한 대북파들은 모조리 숙청되고 극히 일부만 유지되어 인조때 정치에 참여헀는데 이게 과연 상호공존을 지킨것인지도 의문입니다. 제가 위에 예시를 들었던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 , 개혁파와 온건파, 관학파와 사림파와 차이가 무엇일까요?
2. 광해군
첫째, 광해군의 중립외교도 궁금한데 중립외교 예를 들때 강홍립 사건을 예로 드는데 명조 연합군과 후금과의 전쟁에서
항복하라 지시를 했는데 병럭의 2/3를 잃었을까요??
둘째,대동법에 관해서도 실록을 인용하자면
광해 36권, 2년(1610 경술 / 명 만력(萬曆) 38년) 12월 25일 5번째기사
선혜청이 강원도의 공물을 경기도와 같이 쌀로 하기를 청하였으나 들어주지 않다
선혜청이, 강원도의 정공(正供)을 경기의 예에 따라 쌀로 하여 민폐를 제거하기를 청하였는데, 왕이 따르지 않았다. 이에 앞서 선혜청이 강원도 공물을 쌀로 하자는 뜻으로 아뢰었는데, 상이 특별히 거행하지 말라고 명하였다. 이때에 이르러 본청(本廳)이 재차 아뢰기를,
“삼가 강원도 정공을 쌀로 하자는 선혜청의 계목에 대한 재가를 보건대, 조종(祖宗)의 전장(典章)을 준수하여 단지 큰 폐단만을 제거하려는 훌륭한 뜻이 극진하다 하겠습니다. 그러나 신들 또한 힘써 변경하여 작은 은혜나 베풀고 큰 근본은 망각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조종조에 토질의 형편에 맞추어 공물을 거두었던 법이 지극히 훌륭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지만, 법이 만들어진 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폐단이 생겨났습니다. 사주인(私主人)이 중간에서 이를 빌미로 교활한 짓을 하여 본색의 수납 때에 으레 불합격 판정을 내려 미포(米布)로 충급(充給)하니, 그 유래가 이미 오래된 것입니다. 이것은 조종이 법을 세운 본래의 뜻이 한번 변하여 사주인의 병폐가 된 것입니다. 《대전》의 방납(防納)을 금하는 조항에 ‘공물을 방납하는 자의 경우, 조정의 관리는 영구히 서용하지 않고, 서인은 전 가족을 변방으로 이주시킨다.’ 하였으니, 그 법이 엄하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그런데도 방납보다 더 큰 이익을 볼 수 있는 곳은 없으므로 이익을 추구하는 무리가 각 고을의 미포를 직접 가서 받아가지고 본색을 대납하며, 또 스스로 납공하기를 꺼려하여 본사(本司)의 하리(下吏)에게 공물가(貢物價)를 나누어 주고서 관에 납공하게 합니다. 이것은 조종이 법을 세운 본래의 뜻이 재차 변하여 방납인의 폐단이 된 것입니다. 그러므로 백성에게서 공물가로 나온 미포 가운데 10분의 5, 6은 방납인의 손에 들어가고, 10분의 3, 4는 사주인의 손으로 들어가고 그 나머지 10분의 1, 2가 국용(國用)에 충당됩니다. 백성에게서 한도 없이 나온 것을 모두 이익의 소굴에다 탕진해 버려, 백성들은 나날이 곤궁해지고 나라는 나날이 가난해지니, 고금 천하 어디에 이런 이치가 있겠습니까. 특히 두드러진 폐단을 들어 말해 보면, 장원서의 과실은 공물로 바치도록 되어 있는 것인데, 본서(本署)의 하리들이 산지(産地)와 밀통하여 사들여 놓았다가 납공에 응하는 바람에 배 1개의 값이 면포 1필이며 은행 1말의 값이 정미(正米) 80말이 되었습니다. 이 한 가지 일만 보아도 백성들이 공물에 해를 입어 안심하고 살아가지 못하는 실상을 알 수 있습니다.
경기도외 타지역으로 대동법이 확대되는것을 반대했던 광해군에게 대동법의 모든공을 돌리고 있더군요;;
그리고 어디서 주워 들어서 진위파악이 안되는데 임진왜란 전 후금은 명과 조선이 교역을 해주지 않고 가뭄까지 겹치면서 천도를 2~3번이나 하면서
망하기 일보직전에 임란이 터지고 명이 쇠퇴기를 겪고 있을때 성장했고 후에 어차피 중원을 먹기 전에 뒷문단속을 철저히 해야하기 때문에 조선을 침략하는건 당연했고 또 식량도 필요했기때문에 침략할 이유가 있었다라고 누군가 하더군요 사실파악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론 말갈 여진 외 북방민족의 역사도 저희역사로 편입시킬 필요가있지 않을까요? 고구려 발해때는 한 국가에서 같이 살기도했고 후에 중국이 분열될때 만주땅일 되찾을 명분이 있으려면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늘은 0
물리 하나만 ㅈㄴ 판다 수특 하루컷 고고
-
2021수능 지문인데요 2번에 1번, 3번에 2번선지가 좀 헷갈려서요.. 1....
-
돌핀팬츠 4
남자가 입으면 그 부분 튀어나오는데 거기서 허벅지까지 이어지는 라인이 ㄹㅇ 예술임...
-
현우진 목소리만 들으면 잠오는데
-
ㅌㅈㅇㄹ 5
나 잡아봐라~~
-
하사십 0
이쁘네요 ㅎㅎ
-
허벅지에 거의 딱 붙는 반바지(운동복)을 찾고있는데 이런 따로 반바지도 이름이...
-
가천,과기차이랑 0
과기, 시립차이 중 어디가 더 큰가요
-
수학 비중이 너무 높구나 다들
-
에.....안녕하세요 수특 독서에 보면 에크모 지문이 있습니다 제가 과외를 하던 옛...
-
중간중간에 쉬어가는 페이지가 있길래 봤는데 전사인자 변형한 변신로봇 문제가 있네요ㅋㅋㅋㅋ
-
설탭 하시는 분 2
닉넴 쓰는거 이름으로 안해도 되죠?
-
지금까지 속여서 ㅈㅅ..
-
베스트드라이버출동하신다길을비켜라
-
왜 갑자기 인쇄가 안되노 미친년아.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내 정체성임
-
사회생활 0
알바할 때 있었던 일 때문에 일상생활 할 때도 우울해 하면 안 되는데 그게 너무...
-
오이 우엑
-
오늘 할당량 못 채움
-
보러가볼가
-
날씨가 엄임.. 안개 시발련아 ㅋㅋ
-
공부가 백배는 건전한듯
-
문학은 까는 사람 단 1명도 못봤는데 독서는 호불호가 좀 갈리더라 피드백 나중에 찍먹해볼까
-
한석원 갤러리 파딱 아이숑님께서 수학 실력을 올리려면 N제는 어려운거, 실모는 쉬운걸로 푸래요.
-
솔직히 노잼인데 여캐들이 귀여워서 억지로 봤읍니다
-
프린트당은 이제 안받아주고.. ㅠㅠ 실모 말하는거임..
-
저격합니다 5
겨드랑이의 파마늘님 글씨체 너무 뾰족해서 다침..
-
뭐해 먹고 살아야하냐
-
유라유라리 하라하라리~ 11
히토리도리 미다레사키~ 하나노마치 오모이다스 코노 소라카라
-
뭐하노 하
-
아보카도라는 사람이 있었더랬죠 앙되라는 사람도 있었더랬죠
-
볼펜 빌려주면 쪽지로 감사하다고 적어서 주고 쫄래쫄래 간식 줄 때도 있고 애기들 왤케 귀여움
-
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e4l4A...
-
집공부 잘되네 10
잇올 끊어야되나 음..
-
머리에 아직도 좋은 향이 남아있음 이거 뭐지 중독되네
-
리트 풀세트는 처음 풀어봐서 기대됨 흐흐
-
생2하시는 분들 7
지금 생2 완전 노베인데 공부 어케하면 좋을까요 메가패스 없고 대성패스만 있습니다...
-
윤성훈에 대한 고찰 25
강의를 잘 하는가 : 잡담이 수업의 반을 넘어가는 시점에서 절대 아님 강의가...
-
프사 안 껴야지 1
근본 잇게
-
교재 ㅇㅈ 11
으냥이모 화작 특강 교재왔네요..너무 기대된다 ㅎㅎ
-
(진)520
-
술 마시고 싶어 1
취하고싶다
-
울어라. 너 혼자만 울게 될 것이다.
-
금요일밤~ 1
독서실에간다고~엄마한테뻥치고~
-
인문 예술도 어렵게 하자면 하겠지만 그냥 있는거 그대로 출제해도 골치아파지는게...
-
이미 끝나버린 지난 날의 한 편의 영화였었단 걸 난 알아
-
잘자던지 8
말던지..
-
사1과1으로 장학금 받으신 분 있나요? 따로 적혀있는게 없어서 햇갈리네요 만약...
-
썸붕난것 같은데 2
이유를 도저히 모르겠음 왜지
혹시 수능용 한국사 공부이신가요?
네 강민성, 최태성쌤 수업들었는데 항상 궁금했던것들이라 올려봅니다~
깊이있는 공부 하시는건 좋은데 수능은 서울대도 30점만 넘으면 만점입니다 나머지는 25점만 넘으면 되고..
궁금한점이 너무 산발적으로 있어요ㅜㅜ
일단 제가 아는 범위에서 붕당 질문만 받아보면, 관학파는 말 그대로 관청에서 공부한 학파고 사림은 사학파라고 하는데 관학파에 비춰보면 뜻은 아시겠죠? 따라서 관학과 사림은 붕당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
제가 궁금한점은 붕당이라고 따로 파트를 만들어서 배우는 의미가 무엇일까 입니다 ...
개정전은 심화로 들어가면 배울 '가치'가 있긴 했는데... 솔직히 저도 개정후에 왜 이러는지는 이해가 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