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국양학 [1012626] · MS 2020 · 쪽지

2025-11-27 17:03:01
조회수 220

국어의 패러다임 독서 2 - 목적 독해로 문항 설계하기 (1) 공백 찾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870843

(454.3K) [14]

독서 패러다임 2 - 목적 독해 (1) 공백 찾기.pdf

(9.0M) [10]

공백 찾기 기출 모음.pdf

(10.8M) [7]

공백 찾기 기출 모음 정답.pdf

일상에서의 독서와 문제가 묻는 것에 옳은 답변을 하는 시험지에서의 독서는 그 본질이 매우 다릅니다.

일상에서의 독서의 경우 독자의 목적이 자유로우며, 필자는 독자를 최대한 잘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험지에서의 독서의 경우 독자는 질문에 답하는 것이 유일한 목적이며, 필자는 적절한 물음을 통해 독자의 능력을 평가하고 변별하는 것이 유일한 목적입니다.

그래서 국어나 영어 시험지들에는 지문 위에 이런 문장이 적혀 있죠.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우리의 목적은 무엇입니까? 궁극적으로는 물음에 답하는 것입니다. 글을 잘 읽는 것은 그것을 위한 중간 과정이죠. 그래서 저는 둘을 50:50의 중요도로 봅니다. 과정이 부실하면 결과가 잘 안 나오며, 결과로 가는 길을 잘 설계하지 못하면 과정도 순탄치 못하죠.

그래서 우리는 주어진 지문을 잘 읽고 고득점을 받으려면 문항의 물음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목적을 세워야 합니다. 목적이 생긴 순간, 여러분이 글을 읽을 때 특정 내용들에 대한 민감도가 엄청나게 올라가고, 최대한 빠르게 물음에 답할 수 있게 됩니다. 이를 저는 '목적 독해'라고 부릅니다. 


오늘 보여드릴 목적 독해는 독서에서 흔히 출제되는 2점이지만, 3점과 비슷한 체급으로 학생들을 압박하는 경우가 많은 '공백 찾기' 문항의 설계입니다. 공백 찾기 문항은 밑줄을 친 내용의 의미나 이유를 묻는 문항입니다. 그리고 밑줄의 내용만으로는 그 의미를 알 수 없는 의미 공백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그 공백이 무엇인지를 규정하여 목적으로 세운 다음 이를 설명하는 내용을 발견하여 채우면 됩니다. 두 문항의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24학년도 수능 8-11세트 2, 3문단 및 9번 문항


 결측치는 데이터 값이 빠져 있는 것이다. 결측치를 처리하는 방법 중 하나인 대체는 다른 값으로 결측치를 채우는 것인데, 대체하는 값으로는 평균, 중앙값, 최빈값을 많이 사용한다. 중앙값은 데이터를 크기순으로 정렬했을 때 중앙에 위치한 값이다. 크기가 같은 값이 복수일 경우에도 순위를 매겨 중앙값을 찾고, 데이터의 개수가 짝수이면 중앙에 있는 두 값의 평균이 중앙값이다. 또 최빈값은 데이터에 가장 많이 나타나는 값을 이른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값이 연속적인 수치이면 평균으로, 석차처럼 순위가 있는 값에는 중앙값으로, 직업과 같이 문자인 경우에는 최빈값으로 결측치를 대체한다. - 2문단


 이상치는 데이터의 다른 값에 비해 유달리 크거나 작은 값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때 측정 오류 등에 의해 주로 생긴다. 그러나 정상적인 데이터라도 데이터의 특징을 왜곡하는 데이터 값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가 어떤 프로 선수들의 연봉이고 그중 한 명의 연봉이 유달리 많다면, 이상치가 포함된 데이터에 해당한다. 이런 데이터의 특징을 하나의 수치로 나타내려는 경우대푯값으로 평균보다 중앙값을 주로 사용한다. - 3문단


9. 윗글을 참고할 때, ㉠의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중앙값은 극단에 있는 이상치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이다.

② 중앙값을 찾기 위해 데이터를 나열할 때 이상치는 제외되기 때문이다.

③ 데이터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이상치도 많아지고 평균을 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④ 이상치가 포함되면 평균을 구하는 것이 중앙값을 찾는 것보다 복잡하기 때문이다.

⑤ 이상치가 포함되면 평균은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 값일 가능성이 큰 반면 중앙값은 항상 데이터에 포함된 값이기 때문이다.


 독자는 ㉠만 보고서는 도저히 그 이유를 알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에는 의미상의 공백이 존재하며, 공백이 무엇인지를 규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밑줄 친 ㉠이 문장의 전체가 아니기에 완전한 문장인 

'이런 데이터의 특징을 하나의 수치로 나타내려는 경우대푯값으로 평균보다 중앙값을 주로 사용한다.'

에서 공백을 찾는다면, 


1. 중앙값은 무엇인가?

2. 이런 데이터의 특징은 무엇이길래 평균보다 중앙값으로 대표값을 설정하는가?


이를 목적으로 세워두고 지문을 읽다 보면 2문단에서 이를 설명해줍니다.


1. 중앙값은 데이터를 크기순으로 정렬했을 때 중앙에 위치한 값이다. 크기가 같은 값이 복수일 경우에도 순위를 매겨 중앙값을 찾고, 데이터의 개수가 짝수이면 중앙에 있는 두 값의 평균이 중앙값이다. 


그리고 2번 공백에 답하려면 앞에 제시된 '데이터가 어떤 프로 선수들의 연봉이고 그중 한 명의 연봉이 유달리 많다면, 이상치가 포함된 데이터'의 특징을 규정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이후에 다룰 매개법을 사용하여 표현해보겠습니다.


손흥민 선수와 옯붕이 1, 2, 3, 4의 5명의 프로 선수가 있고, 각각의 연봉이

손흥민 옯붕1 옯붕2 옯붕3 옯붕4

100억  1억     1억     2억    2억

이라고 표현한다면 한 명의 연봉이 유달리 많은 이상치가 포함된 데이터가 되며 평균은 21.2억, 중앙값은 2억입니다. 

여기서 중앙값을 구하는 데에는 이상치를 고려하지 않아서 중앙값으로 이상치의 영향을 받지 않은 값이 나왔고 

평균을 구하는 데에는 이상치가 들어갔기 때문에 평균으로 이상치의 영향을 받은 값이 나왔습니다.


그러므로 이 차이를 통해 공백을 채워주는 

① 중앙값은 극단에 있는 이상치의 영향을 덜 받기 때문이다. 

이 답이 됩니다.





23학년도 9월 평가원 10-13세트 2, 5문단 및 12번 문항


 유류분은 피상속인의 무상 처분 행위가 없었다고 가정할 때 상속인들이 상속받을 수 있었을 이익 중 법으로 보장된 부분이다. 만약 상속인이 피상속인의 자녀 한 명뿐이면, 상속받을 수 있었을 이익의  1/2만 보장된다. 상속인들이 상속받을 수 있었을 이익은 상속 개시 당시에 피상속인이 가졌던 재산의 가치에 이미 무상 취득자에게 넘어간 재산의 가치를 더하여 산정한다. 유류분은 상속인들이 기대했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 2문단

 무상 처분된 물건의 시가가 변동하면 유류분 부족액을 계산할 때는 언제의 시가를 기준으로 삼아야 할까? ㉠ 유류분의 취지에 비추어 상속 개시 당시의 시가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다만 그 물건의 시가 상승이 무상 취득자의 노력에서 비롯되었으면 이때는 무상 취득 당시의 시가를 기준으로 계산해야 한다. 이렇게 정해진 유류분 부족액을 근거로 반환 대상인 지분을 계산할 때는, 시가 상승의 원인이 무엇이든 상속 개시 당시의 시가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12. 윗글을 통해 알 수 있는 ㉠의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유류분은 피상속인이 자유롭게 처분한 재산의 일부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② 유류분은 피상속인이 재산을 무상 처분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여 산정되기 때문이다.

③ 유류분은 재산의 가치를 증가시킨 무상 취득자의 노력에 대한 보상으로 인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④ 유류분은 피상속인의 재산에 대해 소유권을 나눠 가진 사람들 각자의 몫을 반영해야 하기 때문이다.

⑤ 유류분에 해당하는 이익의 가치가 상속 개시 전후에 걸쳐 변동되는 것을 반영해야 하기 때문이다.



유류분의 취지에 비추어 상속 개시 당시의 시가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라는 밑줄만으로 이해할 수 없는 공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유류분이 뭐고 그 취지는 무엇이길래 선정 기준이 되는가?


이를 목적으로 세우고 지문을 읽다 보면 2문단에서 유류분의 개념과 그 취지(목적)를 설명해 줍니다. 


유류분은 피상속인의 무상 처분 행위가 없었다고 가정할 때 상속인들이 상속받을 수 있었을 이익 중 법으로 보장된 부분이다.

유류분은 상속인들이 기대했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공백을 채운다면,

‘유류분은 기부를 안했다고 가정한 상속분의 절반(=개념)이며, 이는 상속인이 기대했던 이익인 기부가 없었을 시의 온전한 

상속분을 보호하기 위한 것(=취지)이다.’ 가 됩니다.


이를 담고 있는 정답은

② 유류분은 피상속인이 재산을 무상 처분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하여 산정되기 때문이다.

입니다.



이와 같이 밑줄과 주변 맥락을 포함하여 공백이 있는 내용을 규정하고 목적으로 세워, 이를 설명해주는 내용이 나올 때 공백을 채운다면 생각보다 해당 유형을 쉽게 풀어낼 수 있습니다. 


다음의 이미지들은 첨부된 파일의 내용입니다. 10개의 예시를 들어 '공백 찾기'를 설명하고 있으며, 첨부된 두 번째 파일을 통해 '공백 찾기'를 연습할 수 있는 평가원 세트들을 수록했습니다. 파일 제공해주신 고구마님 감사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