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digious [734503] · MS 2017 · 쪽지

2025-11-27 16:45:17
조회수 69

영어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870545

영어에서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 혹은 전명구가 바로 앞에 있는 명사가 아니라 저 멀리 있는 명사를 꾸며주는 것도 가능한가요?

예를들어, 주어 동사 목적어 바로 뒤에 관계대명사가 있는데 관계대명사가 바로 앞에 위치한 명사인 목적어를 수식해주는 게 아니라 동사 앞의 명사인 주어만을 수식해주는 경우도 가능한지의 여부를 여쭤보고 싶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Good day Commander · 887105 · 11/27 20:55 · MS 2019

    안녕하세요.

    관계대명사/관계부사가 바로 앞이 아니라 더 앞에 있는 명사를 꾸며주는 게 가능하냐?
    → 가능합니다.

    전명구가 바로 앞에 있는 명사가 아니라 더 앞에 있는 명사를 꾸며주는 게 가능하냐?
    → 가능합니다. 다만 특수한 상황에서요. 예를 들어 두 개의 전명구가 동일한 명사를 꾸며줄 때는
    '명사 + 전명구 + 전명구' 구조가 되어, 필연적으로 뒤쪽의 전명구는 명사와 거리가 떨어지게 됩니다.



    주어 동사 목적어 바로 뒤에 관계대명사가 있는데 관계대명사가 바로 앞에 위치한 명사인 목적어를 수식해주는 게 아니라 동사 앞의 명사인 주어만을 수식해주는 경우도 가능한지
    → 이건 안 됩니다. 문법적으로는 가능할 수 있겠지만 아무도 그렇게 쓰지 않으니 안 되는 겁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이 상황에서 관계사를 뒤로 빼는 건 주어가 길어지는 걸 피하기 위함일 텐데
    주어가 길어져서 생기는 손실 vs. 주어를 꾸미는 관계사를 목적어의 뒤쪽으로 빼서 문장의 의미가 모호해지게 만드는 손실을 비교했을 때 후자가 훨씬 더 크기 때문입니다.

    문법적으로는 된다는 의미가 꼭 '옳다'거나 '쓴다'는 의미가 되지 않습니다.
    문법은 결국 실용을 따라가기 때문에, 사람들이 안 쓰면(=용례가 없으면) 의미가 없는 겁니다.
    사람들이 써야 의미가 있는 거죠.

    이상입니다.

  • Prodigious · 734503 · 11/27 22:06 · MS 2017

    안녕하세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몇가지만 더 여쭤보고 싶은 부분이 있어, 댓글로 추가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시간되실 때 대댓글 한번 부탁드리겠습니다.

    1. 주어 동사 목적어 바로 뒤에 쓰인 관계대명사가 문법적으로는 주어만을 수식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겠으나, 실생활에서든 학술 지문이나 시험에서든 절대 그렇게 쓰지 않는다고 이해하여도 될까요?

    2. He pushed the desk to the wall which is usually used to do one's homework.와 같은 문장이 가능한가요?

    3.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가 바로 앞이 아니라 더 앞에 있는 명사를 꾸미는 경우가 가능하다고 말씀하셨는데 몇가지 예시를 혹시 조금 부탁드릴 수 있을까요?

  • Good day Commander · 887105 · 11/27 23:59 · MS 2019 (수정됨)

    1. 절대는 없으나 목적어 뒤의 관계사절은 목적어를 수식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99% 이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실제 일반적인 구어/문어체 영어 모두에서 주어를 수식하는 그런 용법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사용한다 하더라도 매우 어색하거나 잘못된 문장으로 거의 간주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문맥에 따라 그 낮은 확률을 '가능'하게 할 수는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모든 것을 결정하는 것은 문맥입니다. 그래서 '절대'는 아니나 거의 절대에 가깝다고 보시면 됩니다. 언어는 수학이 아니기 때문에 '절대' 라는 말을 잘 쓰지 않습니다. 절대에 한없이 가까울 뿐인거죠.

    2. 가능합니다. 근접성의 원칙(수식어는 수식받는 명사에 가능한 한 가깝게 위치해야 한다)은 문장 전체의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해 양보되거나 무시될 때가 있기 때문입니다.

    3. '2번'에서 드신 예문이 바로 '3번'에서 질문하신 그런 예문입니다. 보시면 관계사절(which ~ homework)과 선행사(desk)의 거리가 이미 떨어져 있습니다.

    4. 일전에도 영어 관련 질문을 하셨던 것을 보면 뭔가 영어 공부를 하시는 분 같습니다만, 질문하시는 내용들은 대개 수학으로 치면, 그냥 미적분의 '기본' 예제들 같은 것이라 해야 할까요? 개념 자체의 수준이 (비교적) 높은 것이지 궁금해하시는 내용의 수준 자체가 높은 것은 아닙니다.

    하여, 사실 질문하시는 내용들이나 제가 답변드리는 내용이 그리 깊거나 많은 공부를 필요로 하는 부분은 아니라는 겁니다. 그리고 이 내용들은 모두 제가 집필한 교재에 '기본적인 개념'으로 모두 꼼꼼히 실려 있으니 혹 지속적인 영어 공부가 필요하시며 & 이런 문법/구문적 개념들을 쉽고 체계적으로 꼼꼼히 공부해보고 싶으시면 한번 고려해보시는 것도 권장드립니다. 질문하신 '그런 예문'들도 제 교재에서는 '기본적인 개념'으로 다루고 있기에 그런 예문들은 흔히 보실 수 있고요. 또한 말씀하신 '전치사구가 명사와 거리가 떨어져 있는 채로 명사를 꾸미는 경우'에 대해서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일단 참고용으로 이미지 첨부해둡니다.

    아무튼,지금 기조에서는 영어 자체의 피지컬보다 문제해결력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니, 영어 자체를 체계적으로 다루거나 가르치는 강의나 교재가 많지 않아 발생하는 현상들입니다. 그래서 사실 그리 어렵거나 대단한 지식이 필요 없는 내용들임에도 혼자 해결하는 게 의외로 쉽지가 않을 때도 있는 것이지요.

    이상입니다. 열공하세요!

  • Prodigious · 734503 · 16시간 전 · MS 2017

    네 알겠습니다.
    너무 좋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궁금증을 해결할 곳이 마땅치 않아 여기에 오랜만에 들어와 글을 올려보았는데 너무나 만족스러운 답변을 주셔서 감사할 따름입니다.
    교재도 한번 고려해보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