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870545
영어에서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 혹은 전명구가 바로 앞에 있는 명사가 아니라 저 멀리 있는 명사를 꾸며주는 것도 가능한가요?
예를들어, 주어 동사 목적어 바로 뒤에 관계대명사가 있는데 관계대명사가 바로 앞에 위치한 명사인 목적어를 수식해주는 게 아니라 동사 앞의 명사인 주어만을 수식해주는 경우도 가능한지의 여부를 여쭤보고 싶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이많은데 귀척하는 사람 귀여움 15 0
ㅇㅈ
-
ㅇㅇㅇ....
-
21번 귀류 없이 계산 줄이기 1 1
매우 사후적입니다 저도 모의수능에서 이렇게 안 풀엇어여여기서 -5a+b =-(...
-
낙지 보니까 언매 만표 145에 미적만표 142잡음 ㅋㅋㅋㅋㅋ
-
파스타 존맛탱 2 0
역시 난 요리를 잘해
-
26수능국어 백분위 100이 어려움 국가대표은메달이상받는게가 어려움? 8 0
26 수능 국어 백분위 100이 어려울까요 아님 우리나라에서 운동해서 유도 역도...
-
ㅅㅂㅋㅋㅋㅋ
-
ㅇㅇ
-
2411 이전과 2411 부터의 언매는다른 과목같음 1 0
2411 전까진 그냥 장지문 읽고 풀어서 대충 언매 15분 풀고 1-2틀이엇는데...
-
언매 85 1 0
85 전원생존은 가능성 없나요 이번에 언매 어려워서 선틀공틀 비슷할 거 같은데..
-
한약학과 8 1
제 친구 연고 낮공 버리고 우석한약간다는데 ㄷㄷ
-
등 근육 다 빠졌네 ㅅㅂ 3 1
데드랑 풀업을 해야하는데..ㅠ
-
냥기계 다섯칸 이거 되나 5 0
텔그 30퍼 언더 스나 한자릿순데 진학사 혼자 다섯칸임 오르비언 저격하러 간다
-
ㄱㄱ
-
4년전에 옷 좀 관심가지고 사다가 이번에 다시 사려는데 걍 무탠 유니로 올 장착하는...
-
omr보고 가채점표 썼는데 제가 처음부터 소거한 정답으로 가채점표에...
-
수특이 1월에 나오고 수완이 6월에 나오잖아요 수특기준 5~6월중으로 독서 전지문을...
-
현장에서 케이스 몇개 대충 찍엇더니 답이 나왓다는거임
-
맞다면 ㄹㅇ 가형 재림이네 ㅋㅋ
-
생1 ㅅㅂ 이게 맞냐!! 이거밖에없얶음
-
진학사 업뎃 연기됐네요 3 1
7시라네요
-
사문 vs 정법 타임어택 1 0
동사정법러인데 동사 => 사문으로 retry할까 생각중인데요 요즘 기조상 둘이...
-
그대여 사랑하길 멈추지 마요 0 0
가시덤불 위 힘들어도 지금까지 받은 사랑 적어보여도 그대는 될거에요
-
의대 / 치대 나이.. 1 0
의/치대 군기가 꽤 있는 편인가요? 20대 후반쯤에 들어가도 잘 어울릴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
낙지 얘네 왜 업뎃 안 함? 1 0
정신나갔구만
-
그냥 중세국어 책 사면 되는 거 아님?이라는 말을 들어버렸어 2 0
슬프다 엉엉
-
올해부터 바뀌었다고 들었는데 아닌가요?? 온라인으로 5일에 못 받나요?
-
4합8 3합7 등 최저도 맞춰줬고 다 해줬잖아 그러니까 제발
-
글 읽는 것부터 안 돼요 1 0
안녕하세요. 26수능 국어 거의 다 찍은 학생입니다. 저는 어렸을 때부터 책 읽는...
-
숭뱃 생성기원 2일차 0 0
ㄹㅇ.
-
잠만 족발 잘못시킴 3 0
소짜 시켰는데 왜 대짜냐 ㅅㅂ
-
2024년 고2 9모 1컷 80 2컷 68 3컷 54 4컷 37 ㅋㅋㅋㅋㅋ 만표...
-
확통 개념서 + 쎈 샀다 7 0
확통 공부 ㄱㄱ혓
-
근데 수시 원서를 안썼는데 ㄱㅊ나
-
화작 89 1 ? 0 0
89점 모두 공통틀일때 1등급 가능할까요? 대성 진학사 ebs 이투스 말은 믿지않는게 좋죠?ㅜㅜ
-
제2외국어 요새는 안좋음 1 2
제2외국어가 공부 잘하는 애들이 모인다는건 사실임 n수 군수 반수 혼종들이 ㄹㅇ 다...
-
미적 컷 개열받는데 8 0
아니 처음엔 미적 80이면 발뻗고 2라더니 왜 점점 상황이 안좋아지나요
-
아 12월 12일에 학교에서 고대 수시합불 확인하면서 2 1
최초합 딱 띄우고 민족의아리아 ㅈㄴ크게 부르고싶다
-
들어보면 생윤 ㅈㄴ어려웠는데 답은 다 골랐다긴 했음
-
동사 1컷 48이 시사하는점 3 0
동사는 애초에 양이 너무 작아서 그럼 세계사는 양이 많아서 변벌 쉬운데 물론...
-
독감인가 0 0
유행 탑승 야무지게 했네
-
저 김대중약대다녀요 하면 주변에서 흠칫하실듯... 예상반응:너 공부잘하는애...
-
신검 받는데 얼마나 걸림 0 0
.
-
음음
-
한번 완벽하게 배운거 다시 공부한다는게 참 거북하던데 22 1
저만 그런건진 모르겠지만 공부하기 극도로 싫었던
-
검정고시 만점 3 0
몇등급으로 환산해줘요?
-
시대 컷 올라온 것처럼 된다면 미적 3컷은 몇 점 정도인가요?
-
혹시 다전공(복전) 학과로도 넣을 수 있나요? 지원서에 전공 넣는 칸이 하나밖에...
-
물리 3~4 지구 5 물리는 역학이 힘듦 지구는 베이스는 있는데 어케 시작해야할지...
-
내가 엄마랑 아빠를 14 3
설득할 수 있을까 사실 재수하겠다고 얘기하면 알아서 하라고 하고 신경도 안쓰실 것...
안녕하세요.
관계대명사/관계부사가 바로 앞이 아니라 더 앞에 있는 명사를 꾸며주는 게 가능하냐?
→ 가능합니다.
전명구가 바로 앞에 있는 명사가 아니라 더 앞에 있는 명사를 꾸며주는 게 가능하냐?
→ 가능합니다. 다만 특수한 상황에서요. 예를 들어 두 개의 전명구가 동일한 명사를 꾸며줄 때는
'명사 + 전명구 + 전명구' 구조가 되어, 필연적으로 뒤쪽의 전명구는 명사와 거리가 떨어지게 됩니다.
주어 동사 목적어 바로 뒤에 관계대명사가 있는데 관계대명사가 바로 앞에 위치한 명사인 목적어를 수식해주는 게 아니라 동사 앞의 명사인 주어만을 수식해주는 경우도 가능한지
→ 이건 안 됩니다. 문법적으로는 가능할 수 있겠지만 아무도 그렇게 쓰지 않으니 안 되는 겁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이 상황에서 관계사를 뒤로 빼는 건 주어가 길어지는 걸 피하기 위함일 텐데
주어가 길어져서 생기는 손실 vs. 주어를 꾸미는 관계사를 목적어의 뒤쪽으로 빼서 문장의 의미가 모호해지게 만드는 손실을 비교했을 때 후자가 훨씬 더 크기 때문입니다.
문법적으로는 된다는 의미가 꼭 '옳다'거나 '쓴다'는 의미가 되지 않습니다.
문법은 결국 실용을 따라가기 때문에, 사람들이 안 쓰면(=용례가 없으면) 의미가 없는 겁니다.
사람들이 써야 의미가 있는 거죠.
이상입니다.
안녕하세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몇가지만 더 여쭤보고 싶은 부분이 있어, 댓글로 추가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시간되실 때 대댓글 한번 부탁드리겠습니다.
1. 주어 동사 목적어 바로 뒤에 쓰인 관계대명사가 문법적으로는 주어만을 수식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겠으나, 실생활에서든 학술 지문이나 시험에서든 절대 그렇게 쓰지 않는다고 이해하여도 될까요?
2. He pushed the desk to the wall which is usually used to do one's homework.와 같은 문장이 가능한가요?
3. 관계대명사나 관계부사가 바로 앞이 아니라 더 앞에 있는 명사를 꾸미는 경우가 가능하다고 말씀하셨는데 몇가지 예시를 혹시 조금 부탁드릴 수 있을까요?
1. 절대는 없으나 목적어 뒤의 관계사절은 목적어를 수식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99% 이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실제 일반적인 구어/문어체 영어 모두에서 주어를 수식하는 그런 용법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사용한다 하더라도 매우 어색하거나 잘못된 문장으로 거의 간주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문맥에 따라 그 낮은 확률을 '가능'하게 할 수는 있습니다. 어디까지나 모든 것을 결정하는 것은 문맥입니다. 그래서 '절대'는 아니나 거의 절대에 가깝다고 보시면 됩니다. 언어는 수학이 아니기 때문에 '절대' 라는 말을 잘 쓰지 않습니다. 절대에 한없이 가까울 뿐인거죠.
2. 가능합니다. 근접성의 원칙(수식어는 수식받는 명사에 가능한 한 가깝게 위치해야 한다)은 문장 전체의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해 양보되거나 무시될 때가 있기 때문입니다.
3. '2번'에서 드신 예문이 바로 '3번'에서 질문하신 그런 예문입니다. 보시면 관계사절(which ~ homework)과 선행사(desk)의 거리가 이미 떨어져 있습니다.
4. 일전에도 영어 관련 질문을 하셨던 것을 보면 뭔가 영어 공부를 하시는 분 같습니다만, 질문하시는 내용들은 대개 수학으로 치면, 그냥 미적분의 '기본' 예제들 같은 것이라 해야 할까요? 개념 자체의 수준이 (비교적) 높은 것이지 궁금해하시는 내용의 수준 자체가 높은 것은 아닙니다.
하여, 사실 질문하시는 내용들이나 제가 답변드리는 내용이 그리 깊거나 많은 공부를 필요로 하는 부분은 아니라는 겁니다. 그리고 이 내용들은 모두 제가 집필한 교재에 '기본적인 개념'으로 모두 꼼꼼히 실려 있으니 혹 지속적인 영어 공부가 필요하시며 & 이런 문법/구문적 개념들을 쉽고 체계적으로 꼼꼼히 공부해보고 싶으시면 한번 고려해보시는 것도 권장드립니다. 질문하신 '그런 예문'들도 제 교재에서는 '기본적인 개념'으로 다루고 있기에 그런 예문들은 흔히 보실 수 있고요. 또한 말씀하신 '전치사구가 명사와 거리가 떨어져 있는 채로 명사를 꾸미는 경우'에 대해서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일단 참고용으로 이미지 첨부해둡니다.
아무튼,지금 기조에서는 영어 자체의 피지컬보다 문제해결력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니, 영어 자체를 체계적으로 다루거나 가르치는 강의나 교재가 많지 않아 발생하는 현상들입니다. 그래서 사실 그리 어렵거나 대단한 지식이 필요 없는 내용들임에도 혼자 해결하는 게 의외로 쉽지가 않을 때도 있는 것이지요.
이상입니다. 열공하세요!
네 알겠습니다.
너무 좋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궁금증을 해결할 곳이 마땅치 않아 여기에 오랜만에 들어와 글을 올려보았는데 너무나 만족스러운 답변을 주셔서 감사할 따름입니다.
교재도 한번 고려해보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