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원서라인 스스로 잡기-질의응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692447
댓글과 쪽지로 구조파악과 군별 과열여부를 보어보시는 분이 많이 계셔서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보충설명 해드리겠습니다.
구조 파악은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실제로 다음 세 가지 데이터를 조합해서 올해 지원 흐름이 어디에 형성되는지를 읽는 작업을 말합니다. 이 과정은 수험생이 직접 통계를 만들어내야 한다는 뜻이 아니라 이미 공개된 자료를 어떤 순서로 해석하느냐를 의미합니다.
첫째 구조 파악의 핵심은 점수 분포와 백분위 누적을 통해 상위 중위 하위 점수대의 올해 밀집도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는 평가원 성적표에서 제공하는 백분위 분포와 메이저 입시 기관이 발표하는 점수대별 누적 비율로 기본적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점수대(예: 상위 7퍼센트 전후)가 올해 유난히 인원이 많다면 그 구간은 상향이 매우 어려운 구간이고 반대로 그 아래 구간이 비어 있으면 해당 구간은 안정이 내려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구조를 파악한다는 것은 결국 올해 인원이 어느 점수대에 몰려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둘째 구조 파악에서 가장 중요한 두 번째 요소는 충원율 패턴입니다. 충원율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해당 학과에서 상위권이 실제로 잔류했는지 혹은 빠져나갔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충원율이 50퍼센트 이하라면 상위권이 잔류했다는 뜻이므로 올해도 컷이 단단할 가능성이 높고 충원율이 150퍼센트 이상이라면 상위권이 이동하는 구간이므로 적정 컷이 내려갈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구조 파악에서 충원율은 분포와 함께 보는 두 번째 축입니다.
셋째 마지막 요소가 군별 난이도입니다. 군별 과열이란 단순한 경쟁률 증가가 아니라 특정 군에서 상위권이 몰리는 흐름을 의미합니다. 이를 확인하는 방법은 세 가지입니다. 하나 모의지원에서 가군 상위 누적 비율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경우 둘 모의지원에서 동일 점수대가 가군에 집중되는 경우 셋 최근 3개년 동안 특정 군이 반복적으로 상향 통로로 사용되는 구조가 보이는 경우입니다. 이 세 가지가 보이면 가군 과열이 형성되는 것이고 이때는 나군이나 다군의 컷이 내려가는 구조가 흔하게 발생합니다.
정리하면 구조 파악은 새로운 자료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이미 공개된 점수 분포, 충원율, 모의지원 상위 누적 비율을 어떤 순서로 해석하느냐의 문제입니다. 구조 파악을 먼저 해야 군별 난이도 변화가 보이고 군별 과열 여부도 자연스럽게 드러납니다.
그럼 특정 해 수능 수능을 사례로 한 번 구조파악과 군별 과열여부를 파악해보겠습니다.
실제 수능 국수탐 분포와 모의지원 흐름을 토대로 재구성한 것입니다. 제가 컨설팅을 하며 구조를 파악할 때 실제로 어떤 단계를 거쳐 결론을 내리는지를 단계 별로 순서대로 설명하겠습니다.
1단계. 올해 국수탐 점수 분포에서 어디가 붐볐는지 확인
올해 가장 밀집된 구간은 국수탐 평균 백분위 82~88 구간입니다. 이 구간의 누적 비율이 예년보다 높기 때문에 실제로 이 점수대 학생들이 매우 많습니다. 반대로 90 이상 구간은 예년 대비 인원이 감소했습니다. 이 두 가지를 기반으로 하면 구조는 다음과 같이 요약됩니다.
상위권은 상대적으로 적다 → 상위권이 과열되는 학과가 줄어든다.
중상위권은 매우 많다 → 중상위 밀집으로 인해 상향은 거의 불가능하다.
중위권 이하에서는 공백 구간이 존재한다 → 적정 컷이 내려갈 가능성이 있다.
2단계. 점수 분포로 실제 합격이 형성될 점수대를 예측
백분위 82~88 구간이 가장 붐볐으므로 이 구간에서 상향은 거의 통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백분위 85 전후 학생이라면 같은 구간 인원이 많기 때문에 한 학과에 동점자와 유사점수가 몰려 커트라인이 단단해지는 구조가 형성됩니다. 반대로 백분위 90 이상에서는 인원이 적기 때문에 상향 지원 성공률이 예년보다 높아집니다. 즉 올해는 분포만 봐도 상위권은 안정적이고 중상위권은 경쟁이 매우 셉니다.
3단계. 모의지원 상위 누적 비율로 군별 과열 여부 확인
대부분의 모의지원에서 올해 가군 상위 누적 비율이 유독 높게 형성되었습니다. 이는 상위권 학생들이 가군에 상향을 몰아넣는 패턴을 반영합니다. 반대로 나군 상위 누적은 예년 대비 낮았습니다. 이 두 패턴은 군별 역학을 거의 결정합니다.
가군: 상위권 몰림 → 컷이 단단해지고 경쟁 심화
나군: 상대적으로 분산 → 컷이 내려갈 가능성이 있음
다군: 상위권 이탈이 많음 → 안정 구간 넓어짐
4단계. 실제로 군별 난이도가 어떻게 바뀌는지 판단
가군이 과열되면 결과적으로 나군 컷은 내려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시로 백분위 90 이상 학생은 올해 가군 상향을 넣으면 예년보다 불리하고 나군 상향 혹은 적정이 더 유리합니다. 반대로 백분위 82~88 구간 학생들은 가군에서 적정을 쓰면 경쟁이 더 세서 붙기 어렵고 나군이나 다군으로 분산해야 합니다. 즉 올해의 군별 난이도는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정리됩니다.
가군: 상향 난이도 상승
나군: 적정 난이도 하락
다군: 안정 폭 증가
5단계. 실제 예시 조합으로 구조 파악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보여주기
예를 들어 백분위 평균 86 학생이라면 올해 구조에서는 다음 조합이 가장 실질 합격률이 높습니다.
가군: 안정
나군: 적정
다군: 적정 혹은 실질 안정
이유는 간단합니다. 86 구간은 붐비는 구간이고 가군은 상위권이 몰리는 군이기 때문에 가군에서 상향이나 적정을 쓰면 실질 합격률이 급격히 낮아집니다.
반대로 백분위 92 학생이라면 올해 구조에서는 가군 상향이 불리하고 나군 상향이 유리합니다. 가군은 상위권 과열, 나군은 상위권 분산이 보이기 때문에 같은 상향이라도 나군이 확률적으로 훨씬 높은 구조입니다.
실제 국수탐 분포 + 모의지원 상위 누적 비율만 보면 구조가 매우 명확합니다.
상위권은 인원이 적어서 상향 가능 지역이 넓고
중상위권은 밀집되어 있어 상향은 거의 막혀 있으며
가군은 과열로 컷이 단단해지고
나군은 상대적으로 컷이 내려가는 흐름이 보입니다.
이 네 가지를 묶어서 보는 것이 바로 구조 파악이고 이걸 근거로 군별 난이도가 결정되는 것입니다. 질문에 충분한 답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06년생#07년생#08년생 smart is sexy 35 15
-
밥 좀 먹어야겟음 2 0
수능 끝낫다고 종일 쳐잣더니 키빼몸 120 직전 댐
-
실시간 경희대 입학처 사이트 7 9
스시 오타>>초밥 자동완성 ㅋㅋ 초밥합격자들 축하드립니다
-
연대 시반공 논술 0 0
예비 4이하면 무조건 붙겠죠? 제발 ㅜ
-
높게 나온 정치와 법 등급컷에 충격을 받아 정신적인 피해를 입었다. 이에 평가원...
-
원래는 이해황 강사님의 이의제기글에 대한 반론을 목적으로 기획된 글입니다만, 쓰다...
-
이번에 한국사 어려웠음? 1 0
수능전날에 좀 불안해서 김중웅 선생님 그 74분 특강인가 그거 배속으로 돌리고 갔는데 점수 괜찮던데
-
별 생각 없이 과외용으로 수능 봤는데 너무 잘나와서요 어차피 페약 뛰고 개국할...
-
올해 수능직전까진 자신있게 세지추천했고( 오래했다보니 몇달 아예 공부안해도 항상...
-
ㅈㄱㄴ
-
이렇게 싹싹빌게요ㅠㅠ
-
26수능20번 손필기 풀이 0 0
-
올해 몇퍼정도 되려나 이과기준
-
웩슬러 ㅇㅈ 4 0
-
ㅈㄴ억웇 내이름도주고다줬는데뭔본인확인불가여
-
6모 44213 9모 33235 수능 12222 근데 이런경험이 3번정도면 우연이...
-
[베르세르크] 진짜 남자의 혼을 울리는 만화임 사랑하는 여자를 지키기위해 팔다리가...
-
연고대 과 어디까지 될까요? 3 1
고려대 자연 658.6 인문 656.9 연세대 자연 707.6 인문 716.1...
-
ㅈㅂㅈㅂ
-
6,9잘 수망 있나요? 8 1
언매확통영어생윤사문 6월 99 98 1 100 98 9월 100 94 1 96 98...
-
건대 최저 떨 0 0
이번에 2합 5는 많이 맞출까요??
-
두마리만 데랴올 수 있을 거 같은데 수선 쟤는 데려와야도ㅑ
-
하 머리 하러 가야 되는데 2 0
존나 귀찮농 3시간째 누워잇는중
-
공통 안가람 VS 김범준 2 0
모의수능 공통 15,20,21,22 (킬러는 접근도 못하고 틀) 틀렸습니다 올해는...
-
롤 겨울맵 진짜 추억이네 0 0
초딩때 마지막으로 했었던것 같은데 진짜 오랜만이다 추억이 새록새록
-
우리는 고대 나가자 싸우자 2 0
이기자 헤이 고대야 헤이 거기 연세~
-
공통확통 유불리 0 0
당연히 확통틀이 더 유리하겠죠
-
세상 끝나는 날 그대 곁에 0 0
내가 있단 약속의 말
-
연대야 4 1
연대빵을먹고 연대빵을 바라본다
-
와 영혼의 꽃 유나라 2 1
하 반응오네 ㅋㅋ
-
국어 노재능인데 2 1
국어 노재능 하루에 4시간씩 국어에 쳐발해도 3-4뜨는 재수생인데요.. 인강...
-
고려대 교과우수 2 0
198점이면 교과우수가 유리할까요?
-
강백호가 한화로 가는군요. 4 1
https://m.sports.naver.com/kbaseball/article/07...
-
어이 거기 귀여운 아저씨들 10 1
안녕
-
지금 8칸이면 4 1
실채 나와도 적정은 뜰까요ㅠ
-
님들도 이미지 트레이닝 하셈ㅋ 0 0
-
국어 사설 & 수능 4 3
그냥 비슷하게 나오는 듯
-
암기 싫어서 물1했는데 3 0
27은 바꿔야되나 등급이 안나오네 현정훈 라이브 들으면 괜찮으려나
-
꺄아악 2 1
추워
-
고대 영어감점 2 0
고대식으로 영어 2랑 3은 다른과목에서 어느정도 차이라고 봐야하나요??
-
정성호 딸 개이쁘네 0 0
근데 고3인 줄 알았는데 중3 ; 화장해서 그런가
-
영화관 뭐가 맛있을까 31 3
메가박스는 치킨도 파는 거 같던데 고민되네
-
올해 국어 실모 성적들 6 1
9월 전대실모때 무슨 일이 있었는지는 묻지마셈...
-
꽃동네대학교 가능한가요? 0 2
제발...
-
사문 등급컷 0 0
3등급컷 변동 가능성 있을까요? 제가 딱 36점이라ㅜㅜ
-
프미나는 송하영이 제일 귀엽네 4 0
화긴완료
-
아이스 커피@도토루 3 0
예전에 마셔봤는데 맛이 기억나지 않아서 다시 마셔 봤음. 다소 진한 맛이고...
-
2406부터 비문학 2개넘게 틀린적이 없었던걸로 기억하고 1등급 총 4번인데 찍먹해볼만은 한가
-
국어공부 6 2
도서관가서 책많이읽는것도 수능공부에 도움돼? 많이읽는것보다는 문제를 많이푸는게 도움되나
-
강사들은 전부 장사치다 9 8
국어강사는 믿지마라 내 수능 신념
-
자신의 문제점을 어떻게 인지하고 해결하셨나요?감사합니다
실채나오고생각할게여..

사실 실채 나오고 올리려고 했는데 다들 궁금해하셔서 먼저 올리게 됐습니다!실채 나오면 훨씬 구체적인 칼럼으로 연재할게요
흑흑 감사합니당
오 ㄱㅅㄱㅅ
성적이 낮아 질수록 예측의 신뢰도가 조금씩 떨어지나요? 결국 백분위 86은 88에 88은 90에 90은 92에 이렇게 영향을 받으니까요.;;
결론부터 말하면 성적이 낮아서 예측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점수대가 하위로 갈수록 구조적 변수가 많아져서 예측 정확도가 감소하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백분위 86이 88에 영향을 받고 88이 90에 영향을 받는다는 표현은 맞지만 그것이 성적이 낮아서 불리한 것이 아니라 하위 구간일수록 충원율 변동, 군별 이동, 중위권 밀집 등 변수의 개입이 많아지는 구조적 이유 때문입니다.
상위 구간부터 설명하겠습니다. 백분위 95 이상 구간은 상위 인원 자체가 적고 지원 흐름이 단순합니다. 상위권의 이동 패턴은 일정하고 충원율이 낮으며 경쟁 구조가 명확하기 때문에 예측 신뢰도가 매우 높습니다. 즉 상위권은 작은 변화에도 구조가 크게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예측이 안정적으로 맞습니다.
반면 백분위 90~92 구간은 상위권과 다르게 인원이 상대적으로 많고 가군 상향 이동이나 나군 안정 지원 등 상위권 이동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지만 구조가 단순한 편이라 예측 신뢰도는 여전히 높은 수준입니다. 상위권 바로 아래 구간은 변동성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문제는 백분위 82~88 구간부터 발생합니다. 올해처럼 중상위권이 과밀한 구간은 동일 점수대 학생이 지나치게 많고 충원율 변화에 매우 민감합니다. 상위권 이동 여부, 군별 과열 여부, 특정 학과의 소신 몰림, 정원 변화, 교차지원 유입 등 중상위권 구간을 흔드는 변수가 많습니다. 이 구간은 점수가 낮아서 예측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구조가 흔들리는 지점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예측 난이도가 올라가는 것입니다.
하위 구간(백분위 78 이하)은 또 다른 양상입니다. 하위권은 상위권 이동의 영향을 직접 받기보다는 충원율과 추가합격 흐름에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즉 상위권이 빠져나가는 정도에 따라 컷이 급격히 내려가기도 하고 반대로 정원 감소나 특정 학과 집중으로 컷이 예상보다 높아지기도 합니다. 하위권 구간은 충원율 변수와 군별 이동 변수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서 예측 신뢰도가 일정하지 않습니다.
정리하면 성적이 낮아질수록 예측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위권에서 멀어질수록 구조적 변수의 개입이 많아져서 예측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입니다. 상위권은 단단하고 안정적이며 변수가 적고 중상위권은 밀집도로 인해 변수가 많고 하위권은 충원율 의존도가 높아 불확실성이 커집니다. 따라서 예측 정확도는 점수가 아니라 점수대가 위치한 구간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결정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일단 실채 나오고 제 구간에 다해서 더 생각해 봐야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