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크랙 [1418652] · MS 2025 (수정됨) · 쪽지

2025-11-16 21:05:27
조회수 319

[칼럼] 5/10편 대학 원서 라인 스스로 잡는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617626


모의지원은 있는 그대로 보면 100% 실패합니다



수험생 대부분은 모의지원을 경쟁률과 내 위치를 확인하는 용도로만 해석합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입시에서 가장 위험한 오해입니다. 모의지원은 정보가 아니라 데이터 해석 문제이며 이 원리를 모르면 정확도는 0에 가깝습니다.


모의지원 참여자 중 약 60%는 허수입니다. 허수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첫째, 테스트용으로 여러 번 넣는 학생 둘째, 실제로 해당 대학을 쓰지 않을 학생 셋째,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은 상향 혹은 극단적 하향을 넣어보는 학생입니다. 이런 허수 때문에 표면 경쟁률이나 등수는 절대 기준이 될 수 없습니다. 모의지원은 숫자를 해석하는 도구가 아니라 흐름을 분석하는 도구입니다.


모의지원에서 진짜 봐야 하는 것은 두 가지입니다. 컷 근처 점수대의 실제 분포 그리고 대학과 학과 간 이동 흐름입니다. 상위권이 특정 학과로 몰리면 그 학과의 모의지원 컷은 즉시 상승하고 반대로 빠지면 그 학과의 컷은 내려갑니다. 단순 경쟁률은 의미가 없으며 상위 중위 하위 점수의 누적 비율이 핵심입니다.


여기서 많은 학생들이 착각합니다. 모의지원에서 등수가 높게 나왔다고 그 학과가 안정이라는 뜻은 아닙니다. 상위권의 다수는 모의지원에서 상향을 넣습니다. 실제 원서에서는 빠져나갈 상위권 인원이 모의지원에서는 잔뜩 들어오므로 표면 등수는 실제 경쟁을 반영하지 않습니다. 현실 합격자 풀과 모의지원 풀은 전혀 다릅니다.


모의지원에서 반드시 신호로 봐야 하는 패턴은 세 가지입니다. 첫째, 상위권 누적 비율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학과는 교차지원 유입 가능성이 높아 컷 상승 위험이 있습니다. 둘째, 중상위권이 비어 있는 구간은 특정 점수대가 올해 해당 학과를 회피하는 흐름이며 예측 난도가 매우 높습니다. 셋째, 갑자기 경쟁이 과열된 학과는 실제 원서에서는 역으로 이동 패턴이 생겨 컷이 꺾일 수도 있습니다. 결국 모의지원은 숫자가 아니라 전후 관계를 읽는 것이 핵심입니다.


정리하면 모의지원은 등수를 확인하는 도구가 아니라 형태를 읽는 도구입니다. 상위 누적 비율과 중상위 포화 여부만 봐도 안정 적정 소신이 어느 정도 정확하게 계산됩니다. 6편의 핵심은 하나입니다. 모의지원 숫자는 믿지 않아야 정확도가 올라간다는 점입니다. 허수를 제거해야 진짜 내 위치가 드러납니다.


6편에서는 모의지원 허수를 실제로 제거해 라인을 다시 계산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숏충이 대가리 박살 · 1067927 · 11/16 21:06 · MS 2021

  • 스터디크랙 · 1418652 · 11/16 21:10 · MS 2025

  • 민식이 · 967390 · 11/17 00:48 · MS 2020

    중상위권이 비어 있는 구간은 특정 점수대가 올해 해당 학과를 회피하는 흐름이며 예측 난도가 매우 높습니다- 이 단락에서 회피하는 흐름이면 오히려 그아래 하위권 학생들이 스나 할만 한 것 아닌가용?? 사실 내가 어떤 학교를 가고싶은데 이 학교가 급간이 높다고 느껴졌을때 , 이런 현상이 나타나면 상향 즉 스나 할 만 하다고 보시나요??

  • 스터디크랙 · 1418652 · 11/17 03:36 · MS 2025

    특정 점수대가 비어 있다는 것은 일견 하위권 학생이 스나를 노릴 수 있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입시 구조에서는 그렇게 단순하게 해석할 수 없습니다. 그 이유를 구조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첫째, 중상위권이 비어 있는 구간은 단순한 공백이 아니라 불균형한 지원 분포의 결과입니다. 즉 특정 점수대 학생들이 그 학과를 회피했다는 의미인데 이는 보통 해당 학과가 상향이라고 판단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상위권은 여전히 일정 비율로 지원을 하고 하위권은 현실적으로 접근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구간이 비어 보여도 실제로는 중상위 일부가 빠진 채 상위와 중하위가 비정상적으로 붙는 형태가 됩니다. 이 구조에서는 하위권에게 스나 기회가 열리기보다는 상위권이 컷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점수대가 낮아질 가능성은 제한적입니다.

    둘째, 중상위 구간이 비었다고 해서 하위권이 진입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상위권 지원자가 일정 비율 유지되면 컷은 결국 그 상위권 집단에 의해 형성됩니다. 중상위가 비어 있다는 것은 중상위권 학생이 그 학과를 고려하지 않았다는 의미일 뿐 컷이 낮아진다는 것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하위권이 스나를 시도해도 상위권 집단이 컷을 결정하므로 의미 있는 하락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셋째, 실제로 스나가 가능한 상황은 중상위가 비어 있고 상위권도 추가합격 흐름에서 빠져나가는 경우에만 발생합니다. 즉 중상위 공백 + 상위권 일부 이동 + 충원율이 동시에 작용해야 컷이 낮아집니다. 단일 요인으로 판단하면 위험합니다. 실제로 상위권은 다군 혹은 타 대학으로 빠질 수 있으므로 이 흐름이 보이는 해에는 컷이 내려갈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중상위 공백은 단순한 변동 구간일 뿐입니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특정 점수대가 비어 있는 구간이 스나 가능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예측 난도가 높아지는 신호에 가깝습니다. 스나가 가능한지 여부는 중상위 공백 외에 상위권 유지 비율과 충원율까지 함께 고려했을 때 판단할 수 있으며 단일 요소로 상향 지원을 결정하는 것은 리스크가 큽니다.

  • 민식이 · 967390 · 11/17 09:20 · MS 2020

    정말 돈주고도 못들을 말씀이네요 친절하게 저번부터 답장도 자세히 말씀해주시고, 칼럼도 잘 읽고 있습니다!! 감사해요

  • 스터디크랙 · 1418652 · 11/18 21:59 · MS 2025

  • nulyf · 1426180 · 11/17 19:41 · MS 2025

    감사합니다 ㅠㅠ 계속 연재해주세요

  • 스터디크랙 · 1418652 · 11/18 21:59 · MS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