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8/10편 - 대학 원서라인 스스로 잡는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692042
이편에서는 실제 합격자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판단 기준을
추상적 전략이 아니라
원서 넣는 순간 바로 적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정리하겠습니다.
1. 합격하는 학생은 ‘선호도 → 점수’가 아니라 ‘구조 → 선택’ 순서로 움직입니다
떨어지는 학생들은 대부분 가고 싶은 대학을 먼저 정하고 거기에 점수를 껴맞춥니다.
이 구조에서는 판단이 이미 틀어집니다.
합격하는 학생은 반대로 합니다.
올해 구조가 어떻게 변하는지 먼저 파악한 뒤 그 틀 안에서 선택을 합니다.
예시로 보면 더 명확합니다.
- 올해 가군 과열
- 나군 중상위권 이동
- 다군 안정 폭발
이 흐름이 보이면
가군 소신 → 나군 적정 → 다군 안정
이게 정답 형태가 됩니다. 점수는 그다음 이야기입니다.
2. 합격하는 학생은 ‘분포’가 아니라 ‘구간의 성질’을 봅니다
분포를 수험생이 직접 계산할 수는 없습니다.
그건 기관이 하는 일입니다.
하지만 수험생이 볼 수 있는 핵심 구간의 성질은 있습니다.
예시로 보겠습니다.
- 93~95점 구간: 상위권 몰림
- 90~92점 구간: 상대적 공백
- 87~89점 구간: 중위권 대량 분포
이럼 원서 판단은 이렇게 바뀝니다.
- 93~95 구간 학생
상향은 불리함 → 컷이 단단함
적정·안정에 더 신중해야 함 - 90~92 구간 학생
이 구간이 비어 있으면 오히려 적정에서 컷이 내려갈 가능성 있음 - 상향 1장도 의외로 먹히는 해
- 87~89 구간 학생
여기서 상향 노리면 100% 폭사
적정 2개 + 안정 1개가 정답
실제 오르비에서 가장 많은 질문을 정리하면 나오는 패턴입니다.
수험생이 “분포를 직접 계산해야 하나요?”라고 묻지만,
사실 구간의 성질만 보면 된다가 핵심입니다.
3. 합격하는 학생은 충원율을 대학별이 아니라 본인 지위별로 본다
떨어지는 학생들은 충원율을 그냥 높다 낮다로 봅니다.
합격하는 학생들은 이렇게 봅니다.
- 내 점수대가 자주 빠지는 구간인가?
- 상위권이 이 학과에서 머무르는 구조인가?
- 이 학과는 충원율이 아니라 “상위권 이동 패턴”이 결정하는가?
예시:
충원율 120% 학과라도 상위권이 그냥 지나가는 통로인 학과면 컷이 실제보다 낮게 형성됩니다.
반면 충원율 180% 학과라도 상위권 진입 비율이 높으면 컷은 단단해집니다.
즉 충원율은 숫자가 아니라 상위권 이동 패턴의 지표입니다. 절대 기본적인 숫자로만 이해하시면고안되고 흐름을 읽어야 합니다.
4. 합격하는 학생들은 ‘군별 확률’을 계산합니다
원서를 보면 대부분 이렇게 씁니다.
가군: 상향
나군: 감으로 적정
다군: 그냥 안정
하지만 합격자는 이렇게 봅니다.
가군 과열 → 나군 컷 하락 → 다군 컷 하락
이 흐름이면
가군 소신
나군 적정
다군 안정
이 조합이 실질 합격률 최상
반대로 나군 과열이면
가군 적정
나군 소신
다군 안정
이게 예측된 최적값입니다.
이건 단순히 경험이 아니라 실제 합격자들의 원서 흐름을 보면 반복 패턴입니다.
결론적으로 보면 떨어지는 사람들의 패턴은 ‘정보는 많은데 판단 기준이 없다는 것“입니다.
8편의 핵심 결론은 하나입니다.
합격은 정보가 아니라 대학을 선정하는 방식에서 갈린다.
떨어지는 친구들의 공통점은 다음입니다.
- 작년 입결만 본다
- 대학 이름부터 고른다
- 전형구조를 안 읽는다
- 군별 난이도 변화를 모른다
- 점수대별 구간 차이를 모른다
합격하는 학생의 방식은 정반대입니다.
- 구조 → 구간 → 본인 위치 → 군별 흐름 → 선택
이 순서만 지키면
점수대가 같아도 합격률이 2~3배까지 벌어집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ㄱㄱ...
-
엔비디아 덕분에 산다 1 0
그저 대황젠슨황갓
-
초딩땐 컴퓨터 부품 관심ㅈㄴ 많았는데 13 0
지금은 그래픽카드 뭐가 제일 좋은지도 모름 난 아직도 rtx2080ti I9...
-
9평 72 vs 수능 72 3 0
미적 기준 뭐가 더 찍기어려움??
-
여러분저레제커스프레했어요 12 0
그런건없다햄찌짤이나보고가라
-
자야지 8 1
내일 열기구타러감뇨 둥둥
-
좋은 커피 1 0
위대한 커피나 해야겠더
-
아니 나 프랑스어수행해야한디고 12 1
얘들아 내 장점 한 줄씩 적고가 이거 적어야한대시발
-
어디 카페 글을 봤는데 3 0
다소 불쾌하네 치환에서의 인지부담보다 노동에서의 스트레스가 더 크다곤 생각 안하나
-
나 문만 잘할거같음!! 9 0
난 수학적 재능이 이쓰니까!
-
여르비 남르비 와봐 23 0
이거 입고다니는거 어때 흰티에 궁금
그걸 어떻게 하는건지 모르겠어요
구조 파악
이걸 어떻게 한다는거죠?
그리고 군별 과열여부는 어떻게 알 수 있는건지..
내용이 좀 길어질 것 같아서 다음 글에 바로 쓰겠습니다.
다음 글 참고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