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매) 하루 1문제로 최종 점검 (8) (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454982
어느새 마지막 문제입니다!
밤이니까 주무시러 가신 분들은 아마 아침에 보시겠죠?
1문제로 개념 빵꾸 최종 점검하기, 마지막은 어미입니다!
어미도 은근 자주 나오고 있죠??
가물가물한 개념은 마지막으로 다시 정리합시다!!
댓글에 해설이 있으니 댓글은 다 풀고 난 뒤에 확인해주세요~

시험 잘 보세요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홀수짝수 아예 랜덤인가요? 1 0
작년재작년은 다 홀수엿는데…
-
3시간자고 학교 7교시어택당하고 집오니깐 머리에 돌들어간거같은데.. 마지막실모 해야하는데..
-
접지충 : 다단넘어가면 반씩 접어서 품 타학생한테 방해되는 전법은 아니지만...
-
강X 등급컷 믿어도 됨? 2 0
낮은거임 높은거임?
-
휴가D-1 2 1
짬찌 도키도키데스네
-
클래스학생 얘 뭐냐 2 0
AI봇 테스트하는건가
-
이감 예측 특징) 2 0
맞는게 심히 드뭄
-
우리집애들이너무귀여움 1 1
나 어제까지만 해도 레전드 예민 찍어서 집에서 암말도 안하고 잠만처잤는데 오늘은 좀...
-
아가 귀엽다고해줘! 2 1
-
애매한 얼굴이 1 0
인기 진짜 많거나 진짜 없거나 둘중 하나인둣 본인보다 안되는 사람이 좋아한다고...
-
수능 쫄리냐? 2 3
잘할거다 기죽지마라 시험은 기세다 난 기세가 중간에 꺾여서 ㅈ됐지만 니들은...
-
GOAT.
-
수험표받고친구들끼리엽떡먹다가다같이고사장바깥에서구경하고시간애매해서잠시피시방갔다가저녁먹고...
-
제발 국어만 잘치자 2 0
솔직히 국어가 수능의 절반을 결정하는듯 ㄹㅇ
-
너무 떨리는데 어떡하지 1 0
어제도 10시에 누웠는데 1시까지 잠 안와서 인데놀 두알 삼키고 겨우 잠들었음 수능...
-
실모 푸는데 언매 난리도아니네 2 0
아니 독서 문학 하나틀리거나 다맞으면 머함 언매에서 3개 틀리네 하쒸 ㅋㅋㅜㅜㅠㅠㅠ
-
국어 예열은 과탐이랑 수학쉬운문제가 체고임 진짜 1 0
수능 3번 백분위99 100 100이 장담하고말함
-
잇올 짐 뺄거임 2 0
저 거지같은 곳도 이제 끝
-
더프 7월꺼 남아서 영어만 치려고 하는데 11월 10월밖에 없네;; 다 내려간건가
-
지금 사문 실모 vs 개념 1 0
실모풀까여 개념 회독한번 할까요? 개념에서 계속 한두개씩 틀려서 개념 확실히 잡고 가는게 낫겠쥬?
정답: ⑤
점검: ㉣과 ㉤ 비교, 관형사절, 의존 명사
-> ④번 해설 참고.
-> 기능적으로 '-는 것'은 명사형 어미 '-기'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 하지만 제시된 문장의 문맥상, '내가 지금 먹는 것'이 '내가 지금 먹기'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없다. (*내가 지금 먹기는 엄마의 특별 요리이다.)
-> 따라서 ㉤은 어느 관점에서든 관형사절과 의존 명사의 결합으로 본다. 견해 차가 없다.
①
점검: 명사형 전성 어미, 연결 어미
-> ㉠의 '-기'는 견해 차가 없다. 어느 관점에서든 명사형 전성 어미다.
②
점검: 견해 구별
-> ㉡의 '-기에'는 <보기>의 문장과 마찬가지로,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종속적 연결 어미이다.
-> 따라서 형식적 관점에서는 명사형 어미와 조사의 결합으로, 기능적 관점에서는 연결 어미로 본다.
-> 즉 ⓐ가 아니라 ⓑ다.
-> 참고로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연결 어미로 본다.
③
점검: ㉡과 ㉢ 비교, 명사≠용언의 명사형
-> 문장의 뜻을 생각해 보라. 여기서 '-기에'가 '-어서'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고 볼 수가 없다. ㉢의 '크기'는 관형어의 수식을 받는 명사이다.
-> 따라서 견해 차가 없다. 어느 관점에서든 여기서 '크기+에'는 명사+부사격 조사다.
④
점검: 연결 어미
-> 기능적 관점에서는 '혼자 밥을 먹는 것' 전체가 명사절의 역할을 한다.
-> '혼자 밥을 먹는 것이 싫다.'는 '혼자 밥을 먹기가 싫다.'와 바꿔 쓸 수 있다는 뜻이다.
-> 즉 기능적으로 '-는 것'은 명사형 어미 '-기'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 그렇다면 형식적 관점에서는 '[혼자 밥을 먹는] 것'은 관형사절과 의존 명사의 결합이지만,
-> 기능적 관점에서는 '[혼자 밥을 먹는 것]' 전체가 명사절의 역할을 하고, 이때 '-는 것'은 명사형 전성 어미 '-기'와 같은 역할을 한다.
-> 즉 어느 관점에서든 연결 어미가 이끄는 안긴절로는 볼 수 없다.
-> 한편 개념을 떠올려 보면, 연결 어미는 대등절/종속절을 이끌거나 본용언과 보조 용언을 연결한다.
아

언매황직접 만드신거에요? 짱 어려윤거 같은데
변형이에요!
짱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