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매) 하루 1문제로 최종 점검 (8) (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454982
어느새 마지막 문제입니다!
밤이니까 주무시러 가신 분들은 아마 아침에 보시겠죠?
1문제로 개념 빵꾸 최종 점검하기, 마지막은 어미입니다!
어미도 은근 자주 나오고 있죠??
가물가물한 개념은 마지막으로 다시 정리합시다!!
댓글에 해설이 있으니 댓글은 다 풀고 난 뒤에 확인해주세요~

시험 잘 보세요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하..집오는데 고2들 3 1
ㅁㅊ 개좆댓다!! 365일남음ㅜㅜ 내인생은 망했어 지들끼리 하소연하는거 들었는데 음…예…그래..
-
어차피 남들이 메인 가줄테니까 2 1
난 모밴에 올림 올1 받으셈뇨 ㅎㅎ
-
두개만...!!!! 아침에 예열로 풀고 국어 예열할거에요 영어 찍특 사수 히든카이스...
-
누가 이기나 해보던가 28 풀 때까지 안 넘어가기
-
진짜 모름 현역이라 열카에서 이상한거 봐서 헷갈림
-
과학탐구 47점과 세계지리 47점을 같은 선상에 놓는 것부터가 문제의 본질을 흐리는...
-
이마 위 상처는 청춘의 징표 2 1
꾸준글
-
미적 28번에 2를 안내면 4 2
미적과 기확차이가 벌어짐 그러면 기하가 9모급 ~ 22수능급 나옴 -> 지금...
-
생윤 난이도 3 0
재수생인데 작수때 현장에서 생윤 풀때 멘탈 ㅈㄴ와장창 이었는데 이번에 아무리...
-
나 사실 중딩인가 4 0
나 좀 중학생인거같음
-
영어 순서 몇번으로 찍어야됨 3 0
올해 뭔가 2번 나올 때 된거 같은데
-
작수 수학 88 3 0
21 29 30 틀 현장응시때는 80이었음 21은 진짜 못풀겠음 22번은 손승연이...
-
근데 좀 개좆된거같은게 2 0
11덮 경제때 1도 안떨었는데도 14번에서 5분남았단소리 들었는데 수능땐 ㅅㅂ 진짜...
-
국어 1은 이미 내 손에 있다 2 0
자신감만가져라 넌 독서론 하나만 더 맞았어도 작수 언매 백분위 100이었다
-
team 08에 합류하면 패버릴거임
-
고3재수생형누나들 2 0
빨리자요!! 컨디션관리!!
-
사문 최악의 조합 3 1
나르샤 정도의 제시문 길이 강K 정도의 퍼즐 사만다 정도의 도표 적예 정도의...
-
진짜 난생처음보는등급이 찍혀있어서 (negative) 오늘이 내가 죽을 날인가보다...
-
엥 삼한습유 이거 아녜요?? 2 0
걍 향랑인가 걔 죽고 효렴?동쪽이랑 다시 만나는 그거 아녜요? 이거 풀스토리가...
-
작수 이후 이슈된거면 무조건 다른거 찍을거임 출제진 나이도 있고 하니 그냥 단순히...
정답: ⑤
점검: ㉣과 ㉤ 비교, 관형사절, 의존 명사
-> ④번 해설 참고.
-> 기능적으로 '-는 것'은 명사형 어미 '-기'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 하지만 제시된 문장의 문맥상, '내가 지금 먹는 것'이 '내가 지금 먹기'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없다. (*내가 지금 먹기는 엄마의 특별 요리이다.)
-> 따라서 ㉤은 어느 관점에서든 관형사절과 의존 명사의 결합으로 본다. 견해 차가 없다.
①
점검: 명사형 전성 어미, 연결 어미
-> ㉠의 '-기'는 견해 차가 없다. 어느 관점에서든 명사형 전성 어미다.
②
점검: 견해 구별
-> ㉡의 '-기에'는 <보기>의 문장과 마찬가지로, 원인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종속적 연결 어미이다.
-> 따라서 형식적 관점에서는 명사형 어미와 조사의 결합으로, 기능적 관점에서는 연결 어미로 본다.
-> 즉 ⓐ가 아니라 ⓑ다.
-> 참고로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연결 어미로 본다.
③
점검: ㉡과 ㉢ 비교, 명사≠용언의 명사형
-> 문장의 뜻을 생각해 보라. 여기서 '-기에'가 '-어서'와 같은 의미로 쓰인다고 볼 수가 없다. ㉢의 '크기'는 관형어의 수식을 받는 명사이다.
-> 따라서 견해 차가 없다. 어느 관점에서든 여기서 '크기+에'는 명사+부사격 조사다.
④
점검: 연결 어미
-> 기능적 관점에서는 '혼자 밥을 먹는 것' 전체가 명사절의 역할을 한다.
-> '혼자 밥을 먹는 것이 싫다.'는 '혼자 밥을 먹기가 싫다.'와 바꿔 쓸 수 있다는 뜻이다.
-> 즉 기능적으로 '-는 것'은 명사형 어미 '-기'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 그렇다면 형식적 관점에서는 '[혼자 밥을 먹는] 것'은 관형사절과 의존 명사의 결합이지만,
-> 기능적 관점에서는 '[혼자 밥을 먹는 것]' 전체가 명사절의 역할을 하고, 이때 '-는 것'은 명사형 전성 어미 '-기'와 같은 역할을 한다.
-> 즉 어느 관점에서든 연결 어미가 이끄는 안긴절로는 볼 수 없다.
-> 한편 개념을 떠올려 보면, 연결 어미는 대등절/종속절을 이끌거나 본용언과 보조 용언을 연결한다.
아

언매황직접 만드신거에요? 짱 어려윤거 같은데
변형이에요!
짱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