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어ㅇ어아ㅇ [1371493] · MS 2025 (수정됨) · 쪽지

2025-11-10 21:13:24
조회수 173

사만다 파이널 1회 19번 질문 있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450439

사회 전반의 소득 분포를 대표하는 소득 수준을 감소시키면 중위소득의 50퍼도 내려갈거고 그러면 상대적빈곤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더 많아 지는거 아닌가여? 그리고 그러면서 절대적빈곤에 해당하는 사람도 많아지구요. 전 이렇게 생각하는데 왜 반대인지 모르겠습니다. 내가 이상한건가....      저 소득 수준도 "감소"시킨다는 말이 거슬리긴 하는데 저거 때문에 절대적빈곤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많아진다는건 너무 주관적 아닌가요... 답지엔 설명이 안나와있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Fazo · 1290304 · 21시간 전 · MS 2024

    상류층붕괴라서 중위소득이 변한다고 단정지을수없는거같은데

  • 고대에게 · 1394810 · 21시간 전 · MS 2025

    가능성이 있는거지 무조건 그렇게 될 건 아니라서?

  • 삼수는없는거야..ㅇㅇ · 1277814 · 21시간 전 · MS 202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서릿발 · 1398627 · 21시간 전 · MS 2025

    최상위 가구의 소득이 1000원이라고 했을 때 중위소득은 500원이죠. 중위소득의 50%는 그럼 250원 입니다. 상대적 빈곤을 판단하는 기준은 중위소득의 50% 이하의 가구인데 그럼 소득이 250원인 사람이 상대적 빈곤이죠? 근데 문제에서 소득 감소를 유도했어요. 그럼 최상위 가구의 소득도 1000원보다 줄어들면 중위소득의 50%도 자연스럽게 250원보다 떨어지겠죠. 그럼 아까 상대적빈곤이었던 소득이 250원인가구는? 상대적 빈곤에서 벗어나게 되는 겁니다. 따라서 상대적 빈곤 가구는 줄어들죠. 하지만 절대적빈곤을 판단하는 기준은 소득 분포를 고려하는 게 아닌 최저생계비를 기준으로 판단하죠? 나라 전체의 소득이 쭉 감소하면 그만큼 최저생계비 이하의 가구도 많아지니 절대적빈곤 가구는증가하는 겁니다

  • 그대들은어떻게살것인가 · 1130460 · 21시간 전 · MS 2022

    중상류층의 소득상승 억제랑 그들의 소득감소를 유도하는 평등주의 정책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인게 핵심임 중상류층 싹다 무너지니까 중위소득 50%선이 상당히 낮아지니까 B가 무조건 상대빈곤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