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ndo [1410290] · MS 2025 · 쪽지

2025-11-09 19:32:25
조회수 84

사회 집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433867

향우회, 동창회, 종친회, 동아리 같은 경우

제시문에서 1차집단의 성격에 대한 언급이 없으면

1차 집단의 성격을 띨 수도 있는 ‘2차 집단’으로 간주하면 되는 건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アーニャ · 1154119 · 10시간 전 · MS 2022

    동아리 계모임 동호회는 1차집단입니다

  • アーニャ · 1154119 · 10시간 전 · MS 2022

    1차집단 : 공동사회, 높은 친밀도의 친목집단(동아리 계모임 동호회)

  • nando · 1410290 · 9시간 전 · MS 2025

    감사합니다! 그러면 향우회 동창회 종친회는 1차 집단의 성격이 강한 2차 집단이 맞는 거죠?

  • アーニャ · 1154119 · 9시간 전 · MS 2022

    넵 그렇습니다 근데 조금 애매해서… 둘의 성격을 다 가지고 있으니까 지문에서 대놓고 어디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하기도 어려울 것 같고..! 제가 말한 저 3개 정도만 외워도 될 것 같아요 저건 이미 출제된거라

  • nando · 1410290 · 9시간 전 · MS 2025

    조기축구회같은 동호회도 친목 위주의 집단이라고 봐야하는건가요?ㅠㅠ 관심사 공유라는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2차집단 아닌가요

  • アーニャ · 1154119 · 9시간 전 · MS 2022

    수단적 접촉은 회사나 학원 같은 걸 보통 예로 들고요, 동호회는 그냥 1차집단으로 보는게 맞습니다 친밀감을 위주로 하는 집단이라서요 그렇게 다 따지면 사회학 특성상 다 우길 수 있어요,,ㅎㅎ

  • nando · 1410290 · 9시간 전 · MS 2025

    그렇군요 감사합니다ㅠㅠ
    다른 개념도 질문드리고 싶은데 안 내키시면 무시하셔도 돼요
    사회문화현상 바라보는 관점 파트에서
    ‘사회 구성원 다수가 동의하는 사회 규범이 존재할 수 없다’ 라는 선지에 갈등론만 해당하는 게 맞을까요??

  • アーニャ · 1154119 · 9시간 전 · MS 2022

    넵 기능론은 다수가 합의했다고 보잖아요!

  • nando · 1410290 · 9시간 전 · MS 2025

    문헌연구법이 양적, 질적연구 모두에 활용될 수 있다는 건 알겠는데
    문헌연구법이 질적 자료를 활용한 사례가 될 수 있나요? 문헌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까요? 일기 같은 거요

  • アーニャ · 1154119 · 9시간 전 · MS 2022

    그게 무슨 말인가요..? 그냥 문헌연구는 선행 연구나 일기 같은 거 보면 선행 연구 검토했구나 문헌연구 썼구나 하면 되지 질적 연구에서 문헌 연구를 사용했다 질적 자료를 사용했다 이렇게는 안 물어봅니다

  • アーニャ · 1154119 · 9시간 전 · MS 2022

    저도 작년에 수능 직전에 정말 짜잘한 것들까지 많이 궁금해했고 개념이 비어있는 것 같아서 무서웠는데 그렇게 짜잘하게 안 냅니다…ㅎㅎ 그냥 기출이랑 사설들이 가장 마지노선이에요 너무 걱정하지 마셔요

  • nando · 1410290 · 9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실모 푸는데 해당 연구에서 질적자료를 활용하지 않았다 라는 선지를 보고 혹시 해당되는 상황이 있을까 궁금해서 여쭤봤어요ㅠㅠㅋㅋㅋㅋㅋ 감사해요!!

  • 그대들은어떻게살것인가 · 1130460 · 9시간 전 · MS 2022

    걍 24 25 26 기출 싹 다시 돌리셈 하루에 하나씩해도시험장 들어 갔을 때 개념 싹 잡힐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