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모평 36번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423086
이 지문 내용
좋아, 이 지문의 전체 내용 요약과 핵심 의미를 단계별로 정리해줄게 ?
? 지문 요약 (내용 흐름별)
① 전통적인 글쓰기 수업 (기본문 + (C))
교사는 주제를 정해주고, 학생들은 혼자 글을 씀.
글을 다 쓴 다음에야 교사가 결과물을 평가함.
이런 방식은 product-oriented(결과 중심) 교육이라고 불림.
교사는 과정에는 관여하지 않음.
? 핵심: 결과(완성된 글)만 중요하게 여기는 ‘결과 중심 글쓰기 지도’
② 과정 중심 글쓰기 (A)
반면(on the other hand), 과정 중심 글쓰기에서는
학생들이 처음에 아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하고 초안을 씀.그 후에 교사나 다른 학생들과 여러 번 피드백 회의(conference) 를 함.
피드백을 바탕으로 계속 수정(revision) 하고 다시 글을 씀.
? 핵심: 글쓰기 과정을 통해 사고력과 표현력을 기르는 ‘과정 중심 지도’
③ 과정 중심 글쓰기의 효과 (B)
이렇게(in this way) 학생들은
자신의 글을 ‘남이 읽는 글’ 로 인식하게 되고,
내용(의미 표현) 과 형식(문장 표현) 모두를 개선하게 됨.결과적으로 평가(evaluation) 중심이 아니라
수정(revision) 중심으로 글쓰기 교육의 초점이 이동함.
? 핵심: 학생이 피드백과 수정 과정을 통해 글쓰기 능력을 발전시킴
? 전체 주제
“글쓰기 교육의 초점이 결과(product)에서 과정(process)으로 옮겨지고 있다.”
? 정리된 구조
| 순서 | 내용 | 키워드 |
|---|---|---|
| 기본문 + (C) | 전통적 글쓰기 | product-oriented, 평가 중심 |
| (A) | 과정 중심 글쓰기 소개 | feedback, revision |
| (B) | 과정 중심의 효과 | meaning & form 개선, emphasis shift |
? 결론:
이 지문은 전통적 글쓰기(product writing) 와 과정 중심 글쓰기(process writing) 의 차이를 설명하고,
과정 중심 글쓰기가 학생의 표현력과 사고력을 더 잘 발전시킨다는 점을 강조하는 글이야.
? 전체 지문 (정답 순서: 기본문 → (C) → (A) → (B))
Traditionally, when teachers teach writing, they assign topics for students to write on; perhaps they do a bit of brainstorming about the topic during a pre-writing phase, and then have students write about the topic without interruption.
(→ 전통적인 글쓰기 수업 방식의 서술 시작)
(C)
Subsequently (→ ‘그 다음에’라는 연결어: 바로 앞의 전통적 방식의 후속 단계임)
teachers collect and evaluate what students have written.
Such instruction is very ‘product-oriented’ (→ ‘결과 중심적’이라는 표현: 전통적 글쓰기의 핵심 특징을 명시함);
there is no involvement of the teacher in the act or ‘process’ of writing.
(→ 교사가 글쓰기 ‘과정’에는 개입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함. 전통적 글쓰기의 한계 설명)
(A)
In process writing, on the other hand, (→ ‘반면에’라는 대조 전환어: 앞의 전통적 방식과 대비됨)
students may initially brainstorm ideas about a topic and begin writing,
but then they have repeated conferences with the teacher and the other students,
during which they receive feedback on their writing up to that point,
make revisions, based on the feedback they receive, and carry on writing.
(→ 과정 중심 글쓰기의 단계적 특징—브레인스토밍, 피드백, 수정 등—을 구체적으로 묘사함)
(B)
In this way, (→ ‘이러한 방식으로’라는 연결어: 바로 앞의 process writing 내용을 이어받음)
students learn to view their writing as someone else’s reading
and to improve both the __EXPRESSION__ of meaning and the form of their writing as they draft and redraft.
Process writing shifts the emphasis in teaching writing from evaluation to revision.
(→ ‘평가에서 수정으로 초점이 이동한다’는 문장은 process writing의 교육적 효과를 요약함)
✅ 정답 순서
기본문 → (C) → (A) → (B)
(정답 번호 ③)
? 전체 요약
(기본문 + C): 전통적인 글쓰기는 결과 중심(product-oriented)이며 교사는 과정에 관여하지 않음.
(A): 반면 과정 중심 글쓰기(process writing)는 피드백과 수정을 중시함.
(B): 이런 방식으로 학생들은 글을 더 잘 표현하게 되고, 글쓰기 교육의 초점은 평가에서 수정으로 바뀜.
이렇게 보면 단서(“Subsequently”, “on the other hand”, “In this way”) 가
각 문장의 논리적 연결 순서를 명확히 보여주는 핵심 근거야.
이 지문 내용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고2이고 고3 평가원 9모 풀었는데 앞으로 공부 어떻게 해나가야 할까요..? 일단...
-
일본인 여자친구 잔뜩 사귈거야
-
0940 해설 0 0
1️⃣ 문학 작품 vs 장르 소설·만화의 등장인물 특징대부분의 **문학...
-
사실 나는 이과임 0 0
이과지만 확통런을 하고 사탐런을 조금 일찍 한 것일 뿐임 대학도 (사회)과학을 전공할거임
-
[4등급 이하인 사람들이 3등급 받는 법임] 1. 듣기를 다 맞는다, 단 듣기 때...
-
오늘한거 0 0
이정도면ㄱㅊ나
-
잠이안온다 9 2
아까 졸면서 자서..
-
집중집중 0 0
수학을 8시간 정도 집중해서 하니 집중이 안돼서 국어 영어 모의고사를 푸는데...
-
8수생미필남자<<ㅈ됨 0 0
8수생미필누나<<지켜주고싶음, 같이 공부하고싶음 8수생군필누나<<뭔가잘못됨
-
8시반에일어남 How
-
미적과탐장수생안경누나가좋음 0 0
안경벗으면예뻐지는거임
-
9평 영어 33-40 풀었음 0 0
현장에서는 39 시간 부족해서 틀렸고 21번은 풀었는데 틀려서 94점받았음 ㅇㅇ...
-
언제나 불안감으로 머리속을 채우고 독서실에서 공부하다가 밤하늘 보면서 멍도 때리고...
-
수의대 현차 연구원 2 0
머가좋음
-
0939 영어 0 0
39. The problem of survival lies at the root...
-
인증 0 1
하와와 저는 군필 고3 여르비에오 ><
-
첫과목 수학 어케생각함 2 0
맨날 수학으로 시작하고 수학으로 끝내는데 비효율적임?
-
풀어보신분 댓글좀
-
나 귀여워 0 1
-
자 이제부터 반전 0 1
이제 끝난 전반전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