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사문 잘하는 분들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289125
위는 제가 얼마전에 물어봤던 건데 답변해주신 분들 모두 저기엔 전체성이 없다고 하셨던 거고, 아래는 서프 사문인데 두번째 질문이 전체성에 해당한다는데 위에 내용과 아래 내용이 같은 거 아닌가요? 뭐가 맞는 건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뭐 성적 보고 바로 수능치라는거임?
-
신이 있는건 맞는데 1 0
지금 수능 칠애들 구경하면서 재밌나? 나같은 똥글러 구경하는것도 재밌나? 전쟁터에서...
-
맞팔구 1 0
여기도 받고 옯스타도 받음
-
영어 어법 지금 시작하는 사람 20 0
나..
-
꿀모 즌3 난이도 어떤가요 2 0
미적 72~76 정도 나오는데 꿀모 다들 좋다길래 궁금한데 제 점수대가 즌3 풀기에...
-
수능 너무 떨린다 3 0
어떡하지
-
이미지모 시즌2 풀어보신분들 2 0
난이도 혹시 어떤가요? 다른 실모들과 비교했을때
-
사랑의방정식 2 0
-
사탐런 3 0
08 연세대 공대 목표인 정시러입니다 국어 수학은 어느정도 베이스가 있고 물리는...
-
오르비는 떠나지 말고
-
악깡버 2 0
ㅖㅏ
-
ㅈㄱㄴ
-
마음 를! 불태워라! 0 0
수능 만세 만세 만만세
-
안녕히주무세요 7 2
위쪽은 전체성이 드러나는게 맞고, 아래쪽은 아닌 것 같아요
위 아래가 사진 위아래를 말하시는 건가요? 아니면 위 사진에 위 내용 아래 내용을 말하시는 건가요?
위 사진의 위-아래 내용이라는 의미였습니다.
근데 그럼 아래는 왜 아닌가요? 그들의 믿음이 풍습에도 영향을 미친 거 아닌가요?
문화의 총체성이라는 것은, '서로 다른 문화 요소(조금 통속적인 표현으로는, 서로 다른 영역/분야)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영향을 준다'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위쪽 사례의 경우에는 여러가지 문화 요소들 중에서 종교 문화가 의식주 문화(음식)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총체성이 드러난 사례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종교와 음식이 서로 구분되는 영역임은 자명하니 말입니다.
아래쪽 사례에서는 '서로 다른' 문화 요소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왜 그런지에 대해서 부연하기는 조금 애매합니다만, 후자의 사례에서 《 'A 문화(영역)'가 'B문화(영역)'에 이러이러한 영향을 미쳤다 》 와 같은 방식으로 표현될만한 내용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들 수 있겠네요.
한편으로, 단순히 '믿음이 풍습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은 총체성이 드러났다는 점에 대한 근거로는 불충분해 보입니다.
총체성이 있다고 하기 위해서는, 특정 믿음과, 그리고 그 믿음이 영향을 준 풍습이 '서로 다른 문화 요소'에 속한다는 추가적인 조건이 필요한데, 후자의 사례에서는 그렇게 판단하기 어려워 보이네요.
('화가 난 사람에게 간지럼을 태우는 것'과, '화난 사람에게 간치럼을 태우고 웃게 만드는 것'이 서로 다른 문화 요소/영역에 속한다고 보기가 어렵다는 의미입니다.)
아 아래쪽은 같은 말인 느낌이긴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