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모든 영어지문에 적용되는 "이항대립" 독해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241654
빡쌤 독해행동강령 첫번째.pdf
안녕하세요? 영어를 가르치는 빡쌤입니다.
단언컨대, ‘이 방법’대로 읽으면 수능 영어의 대부분이 풀립니다.
게다가, 전체 문장의 60~70%만 읽어도 글의 주제를 정확히 잡을 수 있습니다.
수능이 얼마 남지 않은 지금, ‘시간 대비 효율’이 생명이죠.
이 방법은 단순한 요령이 아니라, 실제로 영어 독해의 본질을 바꿔주는 전략입니다.
그 어떤 칼럼보다, 현시점 10점 이상은 확실히 올려줄거니까 끝까지 보세요.
.
.
.
.
.
? 평가원 2800개 지문을 분석해봤습니다.
역대 평가원 지문 약 2800개를 전부 분석했습니다.

놀랍게도 그중 절반 이상이 하나의 동일한 구조,
즉 ‘이항대립 구조’ 로 쓰여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심지어 올해 9월 모의평가에서도 이 대립 구조가 그대로 드러났습니다.
20번, 21번, 23번, 24번, 32번, 33번, 34번, 40번 —
무려 8문제가 전부 이 대립 구조로 구성되어 있었죠.

다시 돌아와서, 이항대립은 두 개의 관점이 서로 부딪히는 대립 구조죠.
이걸 눈치채는 순간,
문장을 100% 해석하지 않아도 지문의 핵심이 잡힙니다.
반대로 이 구조를 모르면,
아무리 해석이 정확해도 글의 흐름이 머릿속에 남지 않습니다.
☑️영어 지문은 ‘두 덩어리’로 쓰인다.
수능 영어의 본질은 단순합니다.
지문은 언제나 두 개의 덩어리로 나뉩니다.
저는 이를 P(positive) 와 notP(negative)로 부릅니다.
즉, 글은 P와 notP의 충돌 속에서 주제를 드러냅니다.
간단하게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N제, 인강, 사설 다 공부했는데 4등급 나왔다.”
“그런데 철수는 기출만 풀었는데 1등급 찍더라.”
앞 문장은 부정적(P), 뒤 문장은 긍정적(notP).
이렇게 머릿속에 P / notP 두 덩어리를 만들어두면,
글 전체의 방향을 놓치지 않습니다.
P와 not P를 합친 것이 곧 주제입니다.
학생들이 틀리는 이유는, P나 not P 중 하나만 보고 판단하기 때문이죠.
두 내용을 모두 아셔야 정답 선지를 정확히 고르실 수 있습니다.
바로 올해 9모에서 예시를 들어 보여드리겠습니다.
<예시1>

올해 9모 21번 정답 선지입니다. same ↔ different 보이시죠?
<예시2>

올해 9모 24번 정답 선지입니다. detached ↔ attached 보이시죠?
<예시1>, <예시2> P와 notP 모두 정답선지에 들어있습니다.
즉, P / notP 2개를 머리에 만들면
아무리 어려운 지문이 나와도 P 아니면 notP로 분류만 하면 되니까 시간이 남습니다.
자 그러면 P / notP 덩어리 2개를 어떻게 만들까요?
바로 아래부터 이에 대한 독해행동강령이 나옵니다.
3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잘 따라와주세요!
1️⃣ 대립의 신호를 포착하라!
‘대립구조’를 눈치채는 순간,
지문은 단순히 ‘읽는 글’이 아니라 ‘분류하는 글’로 바뀝니다.
평가원은 대립의 단서를 의외로 자주 던집니다.
그러니 대립을 암시하는 단서에 반응하세요.
아래는 그 단서들의 예시입니다.
- different / distinction / separate / distinct
- in contrast / while / unlike / whereas / although
- however / but / yet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다름’, ‘대조’, ‘역접’의 의미를 가지는 단어들이죠.
이런 단어가 등장하면,
그 지문은 높은 확률로 P와 notP 구조입니다.
2️⃣ 정반대로 예측
대립인 것을 눈치채셨다면, 이제는 정반대로 예측해야 합니다.
앞서 나온 예시를 다시 한번 보겠습니다.
“N제, 인강, 사설 다 공부했는데 4등급 나왔다.”
지문 초반에 이 문장이 나왔다고 치고,
잠깐 멈추고 정반대로 예측해봅시다.
“N제, 인강, 사설 다 안 돌려도 1등급 나오나?”
이 정반대 예측을 1번만 해도
아래 그림과 같이 머릿속에 P, notP 덩어리 2개가 자동으로 만들어집니다.

3️⃣ 나머지 문장을 P / notP로 분류
이제는 이어지는 문장들을
P 덩어리에 넣을지,
not P 덩어리에 넣을지 결정만 하면 됩니다.
이때부터는 완급조절이 시작되어서 독해속도가 빨라집니다.
→이 단계들을 반복하면
지문을 ‘해석’이 아니라 ‘구조’로 읽게 됩니다.
⭐️ 이 행동강령으로 올해 9모 24번 지문을 뚫겠습니다.

1번째 문장과 2번째 문장을 각각 해석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수도원은 중세 시대의 엔진룸 역할을 했다.
(2) 수도원은 그들의 활동과 영향력이 가장 정점에 이르렀을 때,
교회와 세속 정부 기관에 지적 지도력을 제공했으며, 종교 사상과 실천의 혁신, 의료 서비스, 교육, 시각 문화, 농업 발전에도 기여했다.
1번째, 2번째 문장이 무슨 소리인지 이해 못하셨다고요?
괜찮습니다.
3번째 문장에 ‘대립’의 단서인 ‘while’이 나오거든요.
이때 아까 배운 행동강령을 떠올립시다.
?“대립구조인 것 같으면 정반대로 예측하라.”
그러면 while 뒤를 읽고 정반대로 예측해야겠죠?
apparently observing self-imposed isolation from the wider community.
즉, ‘공동체로부터 고립된다.’ 라는 내용이 나옵니다.
이것이랑 정반대로 앞내용을 예측하면,
’공동체로부터 고립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공동체와 연결되어 있다.” 는 의미겠죠.
이렇게 해서 아래 그림처럼 P / not P — 2개의 덩어리가 만들어집니다.

이렇게 두 덩어리를 머릿속에 만들면,
어려운 문장이라도 방향성을 잃지 않고 핵심만 남습니다.
다시 돌아와서,
while 뒷내용이 P이기 때문에,
그 앞 문장들은 no P입니다.
이제 앞에서 못했던 1번째, 2번째 문장 내용들은 notP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하나만 예를 들어 볼까요?
2번째 문장은 ‘교회정부에 리더십, 종교 등을 제공해준다’ 이니까
공동체로부터 고립되지 않은 상태, 즉 notP네요.
자, 처음에는 어려웠던 이 문장이 읽히기 시작하시죠?
동시에 대립구조를 확실히 파악한 것이니까 주제를 잡은 것이나 마찬가지죠.
이제는 분류만 하시면 됩니다.
이어지는 문장들 - 즉 4번째부터 마지막 문장까지를 - P, notP로 분류하기만 하면 됩니다.
하나만 예를 들어 볼까요?
4번째 문장은 아래와 같습니다.
For monasteries were intended to function as places set apart from the world, in which monks devoted their lives to a permanent rhythm of religious observance, prayer and study.
이 문장은 ‘수도원은 세상과 단절된 장소로 기능한다.’ 라는 뜻이니까
공동체로부터의 고립, 즉 P네요.
이 판단이 실전에서는 매우 빨리 이루어집니다.
왜냐고요?
오르지 “분류만“ 하니까요.
자, 이쯤에서 확신 얻었고, 바로 정답선지 보러 가겠습니다.

사회랑 고립된다? P 겠죠.
사회랑 연결된다? notP 겠죠.
즉, P와 notP가 둘 다 들어간 3번이 정답이겠죠?
대립구조가 주제일 뿐만 아니라, 정답선지에 고스란히 녹아들었습니다.
자, 다시 정리해보겠습니다.
① ‘while’을 보면 대립 관계를 의심
② 이어지는 내용을 정반대로 예측하여, P와 not P 두 덩어리로 구분
③ 이후의 나머지 정보들은 각각 P 또는 not P 중 어느 쪽에 속하는지만 판단
어렵지 않죠?
➡️ 중상위권이 같은 시간에 3~4배 빠르게 읽는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
P인지 notP인지 ‘3초만’ 판단하면 되니까요.
⚠️그런데, 출제진이 이렇게 대놓고 대립구조를 티내지 않고
대립구조가 잘 안 보이게 숨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는 아래와 같이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 초반에 좋다 / 나쁘다 의견을 낼 때
쉽게 예를 들어
“좋은 줄 알았는데 나쁘더라.” 이런 식입니다.
지문 초반에 필자가 “이거 좋아!” / “이거 나빠!”
이렇게 한쪽으로 치우쳐진 의견을 내면 대립구조라고 의심하시면 됩니다.
<1> 초반에 ‘important, solution, better, should, must…’ 등의 긍정 표현이 반복되면
높은 확률로 뒤에서 부정적인 의견으로 전환됩니다.
긍정(P)에서 부정(notP)으로 대립된 것이죠.
<2> 초반에 ‘problem, challenge, past, wrong…’ 등의 부정 표현이 반복되면
높은 확률로 뒤에서 긍정적인 의견으로 전환됩니다.
부정(P)에서 긍정(notP)으로 대립된 것이죠.
? 이 행동강령으로 올해 9모 20번 지문을 뚫겠습니다.

첫번째 문장에서 ‘늦게 출근하고 비속어를 쓰는 것이 제거하고 싶은 문제이다.’ 라고 했습니다.
부정 표현, 즉 problem이 나왔으므로 뒷내용이 긍정적인 내용으로 바뀔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겠죠?
실제로 뒷내용을 한번 읽어보겠습니다.
If businesses로 시작하는 문장에서
“사업체가 더 좋은 직원을 원한다면 명확한 기준을 만들고 직원을 교육해야 한다.”
라는 내용이 나옵니다.
앞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이니까 긍정적인 내용으로 전환된 것이라고 볼 수 있겠죠?
즉, 앞 내용을 P / 뒤의 내용을 notP 라고 잡으실 수 있을 겁니다.
다시 정리하면, 초반에 필자의 의견이 한쪽으로 쏠리면 대립구조를 의심하시면 됩니다.
사실 이것도 대놓고 티낸 편이라 평가원은 한층 더 어렵게 대립구조를 숨깁니다.
그것은 바로
.
.
.
?? 서로 반대인 어휘 2개 제시
요즘 트렌드입니다. 이 패턴은 실전에서 실수로 넘어가기 쉬워서, 반드시 눈여겨 보셔야 돼요
예를 들어 볼까요?

이런 반대 의미의 단어가 보이면,
이미 글은 P와 notP로 나뉘었다는 신호입니다.
⭐️ 올해 9모 21번 지문 잠깐 볼까요?

이 지문에서 핵심 문장은 뒤에서 2번째 문장입니다.
왜 그럴까요?

바로 opposite과 similar 이 2개의 의미가 서로 반대되기 때문입니다.
opposite을 P, similar을 notP라고 잡을 수 있겠죠.
이 문제의 실제 정답 선지도 한번 볼까요?

same은 notP, different는 P인 것 보이시죠?
2022년부터 평가원은 부사·형용사 같은 수식어에 대립 구조를 자주 숨기기 시작했습니다.
? 그래서 “수식어는 안 중요하다”는 말, 이제는 틀린 말입니다.
?결론 : 영어 지문은 절대 두 덩어리를 넘지 않는다.
아무리 어려운 지문이라도
영어는 항상 ‘하나의 주제’ 속에서 두 관점을 충돌시킵니다.
만약 지문에서 P와 not P를 이야기하다가
갑자기 또 다른 범주 C를 언급한다면,
그것은 곧 출제자가 지문의 통일성을 스스로 깨겠다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이 경우, 이의제기가 빗발칩니다.
?“영어 지문은 절대 두 덩어리를 넘지 않는다.”
이 원리를 이해하면, 문장을 60-70%만 해석해도
글의 논리와 주제가 자연스럽게 드러납니다.
? 숙제
이제 직접 적용해보세요.
2026학년도 9월 모의평가 20, 21, 23, 24, 32, 33, 34, 40번 입니다.
위 문제들에 이 행동강령을 적용해보면,
정답이 ‘보인다’는 경험을 하실 겁니다.
수능 영어의 본질은 문법, 단어에만 있지 않습니다.
대립을 읽어내는 눈, 그것이 진짜 독해력의 시발점입니다.
?혼자 적용해보시기 전에 조금 더 자세한 설명이 듣고 싶으시다면,
더 많은 예시와 행동강령을 실전으로 적용하는 flow를 보고 싶으시다면,
<빡쌤 유튜브 채널>로 오세요.
https://youtu.be/tGtRuKOJbe8?si=PFpIE_mlIvBnkogL
.
.
.
이 글에서는 ‘수능 영어의 절반’을 관통하는 대립구조를 함께 살펴봤습니다.
이제 글이 단순한 문장이 아니라, ‘구조로 읽히는 경험’을 하시게 될 겁니다.
다음 행동강령의 주제는 빈칸·순서·삽입 입니다.
이어질 칼럼도 기대해주세요.
지금까지 수능 영어의 본질, 빡쌤이었습니다.
⚠️ⓒ 빡쌤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빡쌤에게 있으며,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04년생#05년생#07년생 인증O) 탈탈털린 짱르비 33 20
-
#공지#국어#독학생 9모 '두 출발' 떠 먹여드림 98 30
-
애니추천 3 1
쓰레기의 본망 좀 어질어질 한데 재밌음
-
안돼... (대학에 진짜냄새남)
-
몸상태ㅣ진짜개쓰레기네 7 2
아씨발
-
본인이 저능부엉이라고 주장하는 유저가 있다면 당장 오르비를 끄고 앱을 지우셔야합니다
-
아 옵만추 해서 뻘소리를 그냥 왈랄랄라라 잔뜩 수다 떨고 오고 싶구나 4 1
파워 I의 삶이랄까
-
인당 세병쨐 3 0
취하노
-
현대소설 0 0
지금이라도 할까 고민되네….
-
. 2 1
ㅗ
-
삡빠삐라삡빱빱빠 2 0
-
정시 학교 무단조퇴 8 0
가능하면 하는게 좋을까요? 고2입니다
-
요즘ㅈㄴ회피형됨 4 1
모든걸회피하고싶음 닌자인가?
-
전 100 100 100 50 50 할듯요
-
11511 2 2
서울대학교너거기가만히있어라...
-
저랑 옵만추할 사람 10 1
전라도로 와라
-
화1 물2 하하시발
-
문학 좃고수들 들어오셈 0 0
어그로 ㅈㅅ ㅎㅎ 요즘 작품 이해는 왠만큼 되는데 문실정 풀때 문제만 풀면 시간도...
-
수능전날 특) 1 0
자기 전에 누웠을때 심장소리 존나 큼
-
젊은사람 기준, 여자의 성욕이 평균적인 남자의 성욕보다 쎈 경우는 정말정말 드물다....
-
wkdiwl... 15 1
wkfwk...
-
인생 최대 업적이 오르비 금테인 사람은 뭐라부름? 11 0
아. 심지어 지금은 금테도 아니네
-
탐구 투투 만점맞고 제 2의 무빙건되자
-
매일 자기전에 하는 생각 0 0
심장아 자는 중에 멈춰줘
-
다들 잘자요 5 0
기요미들만 잘자요
-
네...
-
오느르 야식은 막걸리에 사이다 6 0
주량상 한 잔만 하고 잘려고
-
배아프다 11 2
으윽
-
내가 웃는게 웃는게 아니야
-
수학을잘봐야함 4 1
그냥대학은수탐을잘봐야함 국어는이제천외천들의영역이고 나같은경우국어잘보는건의미가업슴 수탐을잘봐야함 제발
-
그쪽도 ㅅㅂ 알겠지 표본이 좆됬다는걸
-
내가 1점대가 안되는건 7 0
경제때문이다시발 진짜 인생에서 절대 소신을 갖고 남들이 안하눈방향으로 가지마요...
-
모솔호소인 개패기 3 0
이 쉐기둘
-
그만큼 오르비에 씀 차라리 잠이라도잘걸
-
근데 올해 식센모가 ㅈㄴ 어려운거임 걍 풀면 우수수 나감 결론은 그냥 사탐 해라
-
수탐으로 대학가기
-
조언좀 부탁드려요
-
노베 기균 의대or 공대 0 0
노베인데(676) 공부 마지막으로 한게 고1이고 내년에 수능 봐요 수 상하 어느정도...
-
전체 세트로 하는게 맞다는걸 모의고사 내면서 다시금 느끼는중
-
수특 수완 풀까말까 4 0
아님 걍 서킷을 매일 하나씩 추가로 풀까.. 고민이네
-
수학 제일 ㅈ같은거 5 1
신유형 작수20번의 악몽이..
-
여자가 미적과탐하면 12 3
왤케 멋있어보이지 남자가 해도 멋있간한데 여자가 하면 ㄹㅇ 개멋있음
-
언백적백이면 6 1
탐구 어디까지 커버칠수 있으려나
-
실모 학교에 어케 들고감?? 7 2
어디서 주워다 푸는 느낌나서 반접은 개 싫은데
-
대신 주식은 하지 말고
-
아 힘드러 6 2
기침네버스탑 잠을잘수가없다고옥 ㅠㅠ 이번주는 학교 안가서괜춘하긴하다만...
-
응! 표준점수!
-
일단 넌 못간다는 나쁜말은 ㄴㄴ
-
솔직히 선택과목제가 좋지않나 1 0
적성에도 맞지않는 과학하느라고 작년에 너무힘들엇음 나진짜 열심히했는데 모고2등급,...
-
제가 메디컬에 갈 수 있을까요 1 1
설의는 개뿔 저 메디컬 붙여준다는 학교가 있다면 총장 발이라도 햝겠습니다
-
한의대는 보통 7 1
의치까진 성적 안되는데 그냥 메디컬이라 가는 거임 아님 진짜 그 과가 마음에 들고...
-
다시봐도 미친 괴수 진짜 ㅋㅋㅋ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