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국어 독서론 지문을 200% 활용하는 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237269
국어에선 실전적 행동강령을 갈구하거나
정보를 어떻게 연결시켜 사고해야 할지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다고 생각해왔습니다.
하지만,
그읽그풀이 맞다고 하는 사람도 있고
구조독해를 하라고 하는 사람도 있고
누구는 이 태도를 갖추라고 크게 강조하는데,
누구는 이 태도만큼은 피해야한다고 강조해서
각자마다 다른 방법론을 가르치는 현상이 유독
국어에서 심하게 나타난다고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수험생들은 대체 뭘 참고해야 일관성있는 조언을
들을 수 있는지에 대한 스트레스에 시달리기도 하죠.
그런데, 저는 교육청과 평가원에서
현재까지 모평이나 수능에 출제되어 온
역대 국어 독서론 기출들에서
은근 배워갈 점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독서론은 말 그대로
독서를 잘 하기 위한 이론과 방법들을
소재로 글을 전개하는 글이잖아요?
⇒ 독서론 지문에서 실제 행동강령에 참고할 만한
지침들을 밑줄쳐놓고 이를 간단한 코멘트로 요약정리했으니
평가원 교수님들과 교육청이 직접 전해주는 독서 지혜를
체화시켜 비문학 독해에 참고해보도록 합시다.
[comment 01]
정보는 추론,비판,종합하며 읽는 것이다.
표면에 드러난 내용에 대한 행동지침
⇒ 실제 내용일치에 자주 나오기도 한다
(정확하고 대충 읽지 않는게 중요하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면에 감춰진 내용에 대한 행동지침
⇒ 실질적으로 수능에서 학생들을 변별하는 요소다.
(이면의 내용을 해석하기 위해선 추론,비판 역량을 길러야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여러 관점이 종합된 내용에 대한 행동지침
⇒ 이는 (가),(나)처럼 주제통합형 지문을 해석할 때 필요한 지침이라고 볼 수 있다.

[comment 02]
배경지식은 공식적으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은 필연적인 읽기 역량이다.
(다음 지문에서 나온 두 단어인 고정과 도약을 이렇게 해석해볼까요?)
①고정: 글 읽다가 생소하거나 중요한 키워드를 찾았을 때 잠시 멈칫하는 것
⇒ EX) "이중차분법? 아 모르겠네 다시봐도 ㄹㅇ 모르겠네" OR "이거 중요한데? 선지에 나올 거 같은데?"
이 두 상황처럼 독자가 잠시 멈칫하는 상황을 고정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②도약: ebs 연계된 것마냥 이미 익숙한 내용이 있어서 빠르게 읽혀지는 것
⇒ EX) "엌ㅋㅋ 이거 수특에서 본건데 빨리 읽어야지~" OR "엌ㅋㅋ 난 생II해서 이거 다 아니까 속독해야지~"
이 두 상황처럼 독자가 이미 아는 말은 굳이 주목하지 않고 빨리 읽는 상황을 도약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여기서는 고정이 시간을 쓰게 만든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니
실전에서 고정을 덜 일어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결론내릴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 지문에서는 고정을 덜 일어나게 하고 도약을 잘 일어나게 하기 위해서
어떠한 방법을 알러줬을까요?
⇒ 바로
"글의 구조적 지식"(이 구조는 전에 다른 지문에서 본 것같은데?)
"아는 단어" = 어휘력
"배경지식" = 지문을 자주 접함으로써 얻는 다양한 사전지식들
이들을 참고해서 읽기 목적도 동시에 확보하라고 실전지침을
해주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오늘 칼럼은 여기까지 입니다.
오늘 글이 유익했으면
좋아요 한번씩만 부탁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04년생#05년생#07년생 인증O) 탈탈털린 짱르비 33 20
-
#공지#국어#독학생 9모 '두 출발' 떠 먹여드림 98 30
-
진짜 경제학과는 가지말아야지 2 0
ㅇ
-
육군 갔으면 53퍼네 0 1
해군 와서 아직도 50퍼가 안 깨짐
-
진짜 이치카 귀엽네 1 1
네
-
확통 2등급 정도입니다 히카6 vs 히카7 vs 꿀모3 4개 중 하나만 할 수...
-
나얼 노래 ㄹㅇ 잘부르네 4 1
바람기억 한번들었는데 석굴암발성 귀에서 계속 맴도네
-
슬슬 해야한,ㄴ데 ㅅㅂ ㅋㅋㅋ 존나 매국노 하고싶다
-
그게 나야 바 둠바 두비두밥~ ^^
-
열심히 해라
-
이번 더프 국어 9 0
88이면 수능날 가망없음? 여론이 ㅈㄴ 물국어라는데 틀린문제는 2점짜리만 6개...
-
일단 기출 정식 풀었고 한번 더 기출 돌릴려는데 문제집 추천 좀 부탁드립니드
-
김승모 0 0
이번에 어려운 회차가 크게 없네 8회 봐야겠지만 5,6,7 순서대로 언매 1컷이 98 95 94 음
-
다들 조심해요; 9 1
사문 선택자분들 조심하라구요 18일의 전사 깐숙 등장했습니다. 9모 3등급 후 유기...
-
(30분의기적) 생지, 수학 파이널 핵심집 pdf 0 0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사문 강K ㅈㄴ 먼가 먼가네 2 0
어렵고 머리 쓰는느낌들어서 좋긴 한데 평가원이 이렇게는 안낼듯
-
아시발도대체뭘공부해야하는거야 1 1
근4년동안중간을안봐서뭐어떻게할수가없네범위가이렇게좁은데여기서만낸다고?하...
-
10덮성적하고 수능 성적하고 1 0
얼마나 유사하려나 작년에 35111인가 받고 수능때 13241 받았는데 보통은...
-
내일모레까지 4단원 끝내야지 0 0
캬캬
-
오늘 과외생 커리 추천해줌 4 0
그냥 대성이나 메가 들으라고 함
-
궁금한데 대성메가 강사들 끼리 친분 있는 경우 있음? 5 0
예를 들어 김승리 강민철이라던지.. 서로 언급했거나 사적으로 면식 있다고 나온 경우 있을까요?
-
가만히 있으면 반이라도 간다 2 0
내 지식은 존나 얇군
-
이거 좋아요 3 1
넵
-
탐구 순서 2 1
탐구 순서가 표지 필적확인란 답지에 옮겨적고 1선택 2선택 빼서 두개 모두에...
-
한지 2 0
4뜨는데 3개년치 기출 n회독 vs 자이스토리 1주만에 끝내기 개념 까먹은 부분도...
-
드디어 마주치고야 말았음 4 0
하 ㅅㅂ 제목만봐도 ㅈㄴ하기싫은데 어캄
-
더프 점수가 의미가 있나
-
오늘의 교훈) 0 2
자작문제 만들어서 남을 풀릴때에는 검토를 뒤지게 해야한다
-
피부 때문에 늙어 보이는데 4 0
남자라도 기초 화장은 하는 게 좋을까요? 잡티 가려주는 정도로만
-
목동,분당애들이 이쁘긴함 4 1
왜그러징
-
수학 그동안 열심히했는데 0 0
수능 망항 전적때문에 시험잘봐도 계속 걱정된다
-
국영수 만점 받을려면 그 1년전에는 최소 몇점이어야 할까 12 0
탐구는 너무 다양하니 제외 님들 의견 궁금함뇨 사람마다 많이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
내가 많이 예민한건가? 3 0
독서실 두꺼비집 바로 옆좌석 사용중인데 어제부터 두꺼비집에서 계속 미세한 진동소리가...
-
세계지리 질문 8 0
4번 ㄹㅇ 어캐 아나요? 24년도 수능기출입니다
-
L D P 0 0
late dinner pizza 딱대 ㅋㅋㅋㅋ
-
한지 4정도뜨고 개념하긴했는데 완벽하게 안돼있어요 수능때 2까지 만들고싶은디 한지...
-
동사 모고 n제 추천좀 1 0
이다지 파이널,신선한 모의고사 다 했는데 그다음 커리좀 추천 해주세요. 방금 백건아...
-
아 중간고사 공부 안하긴 했는데 성적 좆망했네 시바 0 0
꼭 탈출한다 동기부여 만땅
-
올해 이미 풀 거 쌓여서 비록 풀지는 못하지만 퀄리티 후기 궁금함 댓글 남겨줘도...
-
어떻게 대처해야하나요?..?
-
나도 옯비언이랑 친해지고시퍼 5 1
ㅠㅠㅠ
-
생명 이 문제 출처 아는사람 2 0
기출 같은데 찾아봐도 안나옴,,
-
10덮 공대 라인좀 0 0
언기영물지 78 84 2 41 48 등급컷이랑 대학 라인좀 잡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수능공부는 1 0
뼈에 새겨진 등급dna를 찾아나가는 과정이다 이거 진짜 맞말인듯
-
오랜만에 머리가 맑다 8 2
수면부채를 다 갚았으니 다시 대출을...
-
사문 질문좀요 통계 2 0
유소년인구가 t년에 10%이고 t+1년이 20%임 유소년 인구는 t년대비 t+1년에...
-
확통 수완vs기출 0 0
본인 2-3등급인데 확통만 한다고 할때 중요 기출을 한번 더 볼까요? 아니면 수완을...
-
1. 현재 김기현 선생님 기출생각집 듣는 중이고 그 후에 양승짐 선생님 기출코드와...
-
씻으면 시험 못본다 2 0
시험 잘 보는 사람들은 씻지 않는대
-
올해 대학에 갈 수 있을까요 2 0
-
생1 실모 추천좀요ㅠㅠ 4 0
갖고있는 실모 다 풀어가는데... 서바이벌이랑 한종철 철철실모만 풀었어요 더그파는...











이외에도
어휘력 격차가 일어나는 양상에 대한 독서론 지문
배경지식이 독서에서 작용하는 기능에 관한 독서론 지문
밑줄긋기를 어떻게 해야 효율을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독서론 지문도
개인적으로 추천드리는 지문입니다.
ㄹㅇ 독서론 지문 얻어갈 거 많은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