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서울대생이 각잡고 수학 개념서를 만들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150099
안녕하세요 ! 저는 서울대 재학 중인,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이에요 !
수능 기출 데이터는 점점 쌓이고, 내신도 그에 맞춰서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데
시중에 있는 수학 개념서 대부분은 10년 전 그대로인 것 같아요. 그래서 생각했죠.
'그냥 내가 하나 각잡고 만들어야겠다.'
만약에 여러분들이 수학 개념을 처음 돌릴 때 썼던 개념서가 이랬더라면 어떨거 같나요?
또 시중에 이런 개념서가 나온다면, 고민없이 구매해서 쓸 것 같나요 ?
1. 증명 과정이 중요한 개념과 암기/활용이 중요한 개념을 구분하여 제시했어요.
예를 들어볼까요 ?
증명 과정이 중요한 개념으로는 '두 점 사이 거리 공식'을,
암기/활용이 중요한 개념으로는 '산술기하'를 생각해보죠.
'두 점 사이 거리 공식'의 경우,
두 점을 빗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을 만드는
증명 과정이 중요하므로, 다음과 같이 개념 설명을 구성하였고
'산술기하'의 경우,
산술기하를 적용해야 하는 상황을 알아차리는 것과, 그 활용이 더욱 중요하므로
다음과 같이 개념 설명을 구성했어요.
------------------------------------------------------------------
이처럼, 증명 과정이 중요한 개념과 암기/활용이 중요한 개념을 구분해주어 학생들이 각기 다른 개념을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어요. 물론, 증명 과정은 <부록>에 모두 수록해 두었답니다.
2. 특정 개념을 공부하거나 문제를 풀 때 해야하는 생각을 중심으로 서술했어요.
수학은
수학적 표현을 국어적 표현으로 해석하여 생각을 이어가는 과정
이 매우 중요해요. 그런데, 시중 개념서는 쉬운 개념이라도 지나치게 복잡한 수학적 언어로 서술해두어
저도 읽으면서 멈칫하게 되더라고요. 그래서 저는 '생각 Point'라는 부분을 통해 학생들이 머릿속으로
해야 하는 생각을 국어적 표현으로 모두 정리했어요.
------------------------------------------------------------------
3. 수능까지 들고가야 할 실전개념과 필수 발상을 모두 정리했어요.
이런 것까지 정리한 개념서.. 없을걸요..?
------------------------------------------------------------------
------------------------------------------------------------------
------------------------------------------------------------------
4. 예제, 유제 해설 퀄리티 미쳤습니다..
이건 말을 아끼고 직접 보여드릴게요. 여러분들이 직접 판단해주세요 !
------------------------------------------------------------------
------------------------------------------------------------------
이런 스타일의 개념서에 대한 여러분들의 의견을 들려주세요 !
만약 반응이 좋다면 실제로 서점에서, 오르비 북스에서 만나볼 수도 있으니까요 ... 흐흐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04년생#05년생#07년생 인증O) 탈탈털린 짱르비 33 20
-
#공지#국어#독학생 9모 '두 출발' 떠 먹여드림 98 30
-
나만 이상한 거임? 0 0
강k 11회 고전소설 얘기인데 양소유랑 진소저 유모가 얘기 나누면서 약속한 거라서...
-
기차지나간당 0 1
칙칙폭폭 디그디그닥닥 닥 두그두그탁 닥 기다리던가
-
"집 못산 사람들 소득 모으며 기다려라…월셋집은 많다" 국토차관 발언 빈축 3 0
(서울=뉴스1) 황보준엽 기자 = 국토교통부 이상경 제1차관이 10·15 부동산...
-
아 일정 난리났네 0 0
월화수 수업 끝나고 5시부터 알바있는데 어떤 교수님이 5시부터 전공시험치냐 아…...
-
⠀ 5 8
김슈냥 : 저랑 갈 데가 있어요. 김옵붕 : 원래 독서실에서 만난 사람은...
-
차 웰케막히지 0 0
나 공부 못해서 시험 망하면 내탓아니다
-
학교 안에 맘터들어오면 좋겠다 2 1
잉잉
-
아이고
-
현강생들도 모르나 자료 보니까 컷른 없어서..
-
실시간고터 2 0
과잠입은사람만타..
-
강e분 n제 시즌2 3 0
시즌1에 비해서 좀 짜치는 문제가 있는거 같지.. 퀄리티 자체는 낫베드인데..
-
새르비 단절 1일차 7 0
-
수능표본이랑 9모표본 4 0
차이 현격하게 나나요? 9모 표본으로도 안정1이 아니면 진짜 수능때 개썰릴거같은데
-
인생은 시험의 연속이구나 2 0
시험이 끝나질않아
-
오늘 강케이도 말아 먹었구나 3 0
국어 씨좆새끼 하
-
추워서 잠이 계속 온다 0 0
...
-
천수석 질문 2 1
설아가 자기엄마인 양부인이 수작 부리는거 듣고 꼰지르는데 저 빨간줄친 말은 뭔말 하는거에요?.
-
개인적으로 이번에 배송 온 6,7이 젤 이쁜 것 같음 너무 맘에 들어요
-
버즈잃어버림 띠발 0 0
버즈3프로 한짝 스벅에서 잃어버렸는데 도저히 못찾겠어서 그냥 나옴...ㅠ 개가튼거ㅓㅓㅓ
-
아 늦었는데 1 1
들어가기싫네 이제라도드랍할까 교양인데까짓거
-
근데이런거 좀 욱기긴함 15 2
남자 꼬시려고 공부하는 것도 아니고 의뽕도 안 빠진 것 같고 흠…
-
목젖 넘답답해
-
이투스 2 0
이투스247 독재 다니는데 왜 이투스는 안보고 더프만보지 그정도로 퀄이 쓰레긴가
-
ㄴㄹ ㅅㄱ ㅅㅎㄱㅇ 235ㅇㅊ 0 0
ㅈㅂ
-
ㅇㅂㄱ 4 1
사실 8시에일났음
-
국어 성적 개좆도 안올라서 이제 기적을 바라지는 않을게
-
시험이라는거좀..야한듯 8 3
마구마구 집어넣어뒀던걸 배출하고 오는거잖아...
-
윤성훈 자극전파는 접변 일어날수 없다면서 24수능 14번 해설을 자극전파랑 B랑...
-
같이 공부하자요 4 1
열품타 -...
-
롤스 시민불복종 질문이요.. 6 0
폭력적 수단 안되지 앙ㅎ나요?
-
11덮 내기 할 사람 2 0
덕코는 없어서 못 걸고 편의점 간식빵으로(max 5000원)
-
개애애ㅐ슬픈이별노래 ㅊㅊ좀 3 0
이별한지n일차
-
콘서트 가기 전 할 일 4 0
조용한 카페에서 탐구 공부 ㄱㄱ 그 다음 밥 먹기 스카.. 가기.. 고양시로 ㄱㄱ
-
관리할게 너무 많은 이 세상 0 1
머리 피부 옷 체형 성적 돈 향수 인테리어 그외 등등 으어어어어어어
-
샤인미 등급컷 나온 거 없음? 0 0
ㅈㄱㄴ 샤인미 모고 등급컷 대략 얼마임
-
히든카이스 난이도 어떻게 됨? 7 0
다른거 풀다가 히든카이스 푸니까 난이도 확 낮아진 느낌인데 올해 시즌 5가 좀 쉽게 나온편임?
-
스포O) 질문) 10투스 언매 답 10 0
맞음?
-
현기조로 공통 + 선택 확통기준 6.9모랑 비슷하게 내년 마지막해에도...
-
10투스 국어; 3 0
독서론 언매부터 일단 많이 나간듯. 언매에 20분을 박았는데.ㅎ 걍 별로임 괜히 봣음
-
10투스 보신분 계신가요 6 0
선택제외 하고 전체적으로 어떠셨나요? 시간 ㅈㄴ 부족한게 정상인가요... 문학 지문 하나 날렸는데
-
수능에 똥양철학 나오면 비질게 0 0
정보량 폭탄 똥양철학 나오면 수험장 탈주할게..
-
슬프구나 0 1
누구들은 김승모 풀고 서바 풀고 있는데 난 왜 이투스를 풀어야 하지
-
10투스 국어답좀 0 2
불러주라 국어황들아ㅏㅏ
-
김승모 5회 3 0
92점 예상 1컷 얼마정도일까요? 올해 김승모중에는 제일 난도 쉬운 느낌이던데...
-
김승모 5회결과 5 0
75분 소요 15번,44번 틀 난이도는 좀 쉬웠던거 같긴 했는데 그래도 원점수로...
-
퀄 최악 문학도 별로고 비문학 2번째지문도 왜 낸건지잘 모루겟음 저 10월...
-
올해 국어 문학에 이거 나오면 0 0
국어 난이도 올라갈 듯 인데 처음 보면 멘붕옴
-
독서 2지문에 언매만 풀어서 다른 부분은 잘 모르겠는데 내가 살다살다 매체에서...
-
국어 서바이벌 10회 후기 1 0
100점 65m 내일 10덮이라 사설감 좀 끌어올릴겸 오랜만에 사설 봤습니다....
-
동의대 은근 입지 좋네요 2 0
광안리랑도 가깝고 바로앞이 부산 시청이네요
호오
여러분들의 의견을 들려주세요 ! 궁금하신 점은 댓글 남겨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ㅎㅎ
수학이 재밌으신가요?
네 저 수학 좋아합니다 ㅎㅎ
a+b>=2sqrt(ab) for a,b>0이라고 해서 a+b 최소가 항상 a=b일 때 나오는 거는 아니죠
예를 들어서 x²+(1/x)은 x=(1/2)^(1/3)에서 최소를 가짐
고2 140330도 보세요
말씀주신 함수는 정의역이 x>0이라는 조건이 없어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의 관계를 적용할 수 없습니다 ㅎㅎ
f: R+ -> R f(x)=x²+(1/x) 이렇게두면되죠
a+b=1 a,b>0일 때 3a+2b 값은 3a=2b일 때 최소다 하면 이상하게나옴
음... 일반적으로 산술기하의 등호가 성립하는 상황을 이용하여 주어진 두 변수의 합이 언제 최소가 되는지 많이 출제되어 저렇게 서술해둔 것이긴 합니다만, 최소라는 표현이 적절하지는 않은 것 같네요. 수정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디자인이ㅡ더 예쁘면 좋을 것 같아요
넵 ^^ 의견 감사합니다 !
폰트 아쉬워요
의견 감사합니다 !
좋네요
감사합니다 !!
본격적으로 하실거면 출판사같은데랑 협업하면 디자인같은건 수정 도와주지않을까요?
네 저건 제가 초기 디자인만 한 것이라, 디자인은 추후 변경 가능할 듯 싶습니당
와 좋아보이네요 실전적인 부분이 특히 매력있어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ㅎㅎ
산술기하 부분은 전형적인 오개념이 들어가있네 A=B인 부분은 최솟값이 아님 sqrt(AB)가 실수일때만 최솟값임
예시는 A=3+1/x B=x등이 있음
실제 최소는 x=1일때지만 A!=B임
그 부분은 잘못 서술된 게 맞습니다 ! 수정하겠습니다 ㅎㅎ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
정확히는 “산술평균은 항상 기하평균 이상이다”
가 맞는 표현이죠 ㅎㅎ 저 부분은 문제에 많이 출제되는 부분 위주로 서술하려고 하다보니 생긴 오류 같습니다 ㅠㅠ
폰트 교체가 필요해보여요
내용은 알찬 반면 가독성이 좋아보이진 않네요
네 좋은 의견 감사해요 ! 제가 디자인 하는 눈이 좀 없나보네요 … 허허 ;;
아닙니다
응원해요 ㅎㅎ
한완수처럼 다른 느낌의 실전개념서로 잘 만들면 수요는 있을거같긴함
좋네요 ㅎㅎ
문제+해설 제작은 몰라도 개념서 제작은 생각만 해도 너무 막막하던데...
님도 오르비 북스에 출판 문의 넣어보세요!! 요즘 문의 중인데 금방 답장해주시더라구여
맞아요 .. 구상부터 제작까지 그리 쉽지 않더라고요. 알아주셔서 감사하네요
왜 이제야...내년에 봐야할듯요 ㅜㅜ
좀 더 보완, 수정해서 내년에 세상에 나올 수 있으면 좋겠네요 혹시 내용은 어떤 거 같으세요 ?
OA+OB의 최소 문제는 직관적으로 눈에 보이게 풀이로 학생들이 납득하기 좋게 설명하신건 훌륭한데 다만 삼각부등식으로 좀 수식적으로 이게 되는 이유까지 설명한다면(실제는 바로 일직선 긋겠지만) 베스트일듯합니다
엄밀함과 직관성, 그 중간 어딘가의 타협점을 찾는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말씀 주신 내용을 교재 제작할 당시에 생각하지 않은 것은 아니나, 우선은 직관에 초점을 두어 해당 증명은 빼 두었는데 다시 한 번 고려해보겠습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
맞죠.. 사실수학 개념들이 직관에서 시작해서 그걸 검증하는 식으로 딱딱 생기는 거니 타협점이 중요하긴할듯요
분량은 어느정도 생각중이신가요?? 내년이라 아쉽지만 ㅠㅠ 있으면 사볼 것 같긴 해요
올해 12월까지 공통수학1, 2 원고는 모두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대략적인 분량은 본교재의 경우에는 개념원리의 개념교재, 해설집의 경우에는 마더텅 해설지와 비슷할 것 같습니다. 궁금한 점 있으시면 답글 달아주시면 빠르게 답변드리겠습니다 !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답변 감사합니다! ㅎㅎ 개편전 현수능 (예비 27학번) 책 출판 계획은 없으신걸까용??
공통수학1, 2가 완성되고 나서 바로 대수, 미적분1 개념교재 원고 작업에 들어갈 계획이긴 합니다만 책이 시장에 나오는 것까지는 시간이 좀 걸릴 것 같네요 ㅠㅠ 다만, 내년 수특이 발간되면 수특 핵심 문항을 선별하고 관련 발상을 정리한 분석집을 발간할 계획입니다 !
헉 수특 발상집도 너무 좋네요! 책 출판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공통이랑 확통만 있는 건가요?
우선은 공통수학1, 2만 제작이 거의 끝난 상황입니다
저도 수학 좋아하지만 입시수학은 싫어요
별개로 님 개념서 내용은 너무 좋은듯요
감사합니다 !!
ㅋㄹㄹㅋㅋㄹㅋㄹㅋㄹㄹㅋ 저는 고등수학은 스도쿠 푸는 것 같아서 재밌고 대학수학은 진짜 학문적인 느낌이라 재밌더라고요.

하루종일 스도쿠만 푸는 입장에선 힘들긴 하네요...저렇게 제대로만 나오면 추후에 사용할 의향 넘칩니다!! 잘 만들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