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정시 내신반영, 변수에 대한 개인적 생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080067
28 입시부터는 우려하던대로 정시에서도 내신 등을 반영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어서 '재수생이 어디어디 가려면 내신 어느정도 받아둬야 가능할까요' 같은 질문들이 많아졌는데요
물론 등급 점수 그 자체도 중요할 수 있겠습니다만... 저는 그 이상으로 대학이 학생부 기록을 '어떤 식으로 보려 하느냐'가 중요한 관건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학점제의 주요 취지가 학생들이 자율적 주체적으로 과목을 선택하고 진로를 설계한다는 점이고 이 부분이 점점 입시에서도 중요해질수밖에 없을 것 같은데요(안 그럴거면 학점제를 도입하는 의미가 퇴색되므로).
이걸 감안했을 때, 예를 들어 모 대학 의약학이나 공학계열 학과에서 지원자격으로 [수학과 공통~선택 모모 필수과목 포함 n개 과목 이수, 과학과 공통~선택 모모 필수과목 포함 n개 과목 이수]를 조건으로 내걸 경우, 최악의 상황에는 전 교육과정 이수생들은 내신이 1.00이든 9.00이든 상관없이 자격조건이 없어 지원 자체가 불가하거나 치명적인 불이익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응? 나 수학2 물리1 등등 이름 성격 비슷한 과목 들었는데?' 라고 항변할 수 있지만, 이름이 비슷하더라도 교육과정이 바뀐 이상 그 내용 구성은 꽤 달라지므로 동일한 과목은 아닙니다. 더불어, 새 학점제에 맞추어 새로 개설되는 전문적인 선택과목들이 많은데 이전 교육과정 하 학생들은 해당 과목들에 아예 접근할 수 없었던 처지이므로, 이러한 선택요소를 자격조건이라든가 사실상 합불을 결정짓는 요인에 포함시킨다면 n수생들은 지원이 차단될수도 있죠
이걸 어떻게 감안해줄지에 대해(이를테면 이전 교육과정 미적분 수강생은 새 교육과정 미적분 관련과목 수강생과 동일하게 인정해줄것인지) 교육부에 문의해도, 할 수 있는 대답은 '그건 대학이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부분이라 교육부가 일괄적으로 이래라저래라 할 수 없다. 대학별 모집계획을 참고해라' 밖에는 없을 것 같습니다.
저는 학점제를 다시 물리기라도 하지 않는 한 이러한 부분의 반영은 갈수록 크고 중요해질 것이라고 확신하는데요. 다만, 28 첫해부터 이 부분을 강경하게 반영해버리면(즉, 사실상 학점제 전 교육과정 학생들의 진입을 차단해버리면) 일단 감당하기 쉽지 않을 거센 반대여론은 둘째치고라도,
안그래도 학생수 줄어드는 마당에 바닥에 뚝 떨어질 재수, n수생 지원자 수의 여파로 대학이 하루아침에 적지않은 손해를 볼 위험이 있고, 특히 미달이 일상이라 지원자 한명한명이 소중한 지방 사립대의 경우 타격이 클 수 있기에... 다소 완급을 조절한 계획을 내는 학교들도 많을 것이라고 봅니다. 얼마전 나왔다던 경희대 계획이 대표적인 사례인 것 같은데요. 새 교육과정이 아닌 학생들의 입장을 일부러 고려해준 항목을 굳이굳이 포함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죠. 물론 그 내용만으로도 가능할 페널티들은 충분히 예상되기에 n수생이 딱히 좋을 일은 전혀 없을 계획이긴 한 것 같습니다만....
선술한 이런 요인들을 모두 고려했을 때 28~30 즈음까지 예상해볼 수 있는 대학들의 정시 전형 운영 선택은 이러하지 않을까요
1. 이수교과 지원자격 설정 포함 학생부 정량 정성평가를 수시 정시 할 거 없이 중요하게 도입하여 학점제와 발맞추는 새 입시 체제를 강경하게 도입한다. 재수생 ㅂㅂ 재학생 come (=사실상 이전 교육과정 학생들 지원 차단)
2. 학생부를 반영하되 재수, n수, 검정고시생도 교과목 인정 및 내신점수 변환, 비교내신 등으로 지원은 가능하게 해준다. 대신 교육이수 반영 등 전반적인 학교생활 평가시 새 교육과정 하의 현역들이 유리할수밖에 없도록 가산점이나 정성평가 고려 등으로 조정 (=지원은 가능, but 유의미한 불이익)
3. 학생부를 반영하되 n수생도 학생부를 동등하게 인정하거나 비교내신 등으로 지원 가능케 하고, 학생부 점수의 실질 반영률을 미미하게 설정하여 현역이든 재수생이든 별 이익/불이익이 없도록 한다. (= 지원 가능, 불이익 없거나 미미)
4. 기존과 다르지 않은 수능 100% 전형을 유지한다.
만약 1~2 입장인 학교가 나온다면 만학도들의 인생계획에는 큰일이 나는거죠. 근데 언제일지가 관건이지 언젠가는 선술한 요인들을 정성, 정량적으로 중요하게 보게 되는 것 자체는 불가피할거라고 생각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학 탐구는 어찌어찌 만들고 유명세 얻는데. 국어는 이감 상상 한수 바탕의 진입...
-
행님.. 5 2
-
스탠포드 감옥실험 34 3
맛있으면 0kcal가 사실인지 확인하기 위해, 직접 배스킨라빈스 해프갤런를 통해...
-
흐름끊기!!! 1 0
슈슉 예상댓)에휴
-
저는 잘모르겠어요.. 너무 어렵다 문학
-
질문받 ㄱㄱㄱ 11 0
그리고자러갈거
-
괜찮나요?? 시즌1.2만 풀고 적생모랑 적중예감 풀고있는데 위의 두개랑 비교하면 난이도어떤가요?
-
[젖지] 무빙맨 0 0
두두두두두
-
쌤 몇달째 식사하시는중인거예요
-
반말 좋아해요! 10 5
친근한 느낌이 들어서 좋아요! 물론 알바할때 진상손님이 반말하는거는 싫어요!
-
9모 수능 성적 유지하는게 흔하지 않나요?
-
모두 민지를 보도록 12 1
230721 뮤뱅 퇴근
-
나히아 막시즌이 나왔군 9 1
-
애오개이야 0 0
이야
-
컨관은 복수계정 다알고있음 7 5
그냥 봐주고있다가 껀수 생기면 댕강해버릴뿐임...
-
날아올라 6 0
저하늘 날자꾸나날자꾸나 토베!!!
-
같이초밥닉달사람 26 0
초밥되자
-
수1 인강 고트 누구임? 9 0
현 제외요
ㅠㅠㅠㅠㅠㅠㅠㅠ

4로 하거나 3+4 처럼 갔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