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경제가 망할때는 이런식으로 일어나는건데 오해하는사람들이 많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5079485
4년 전, 2001년 12월 금융 위기가 발생한 지 거의 1년 후의 일입니다. 사회 수업 시간에 어떤 선생님이셨는지 기억이 안 나는데, 여러 종류의 사회 피라미드에 대해 설명하고 계셨습니다. 세상에! 이제 더 기억이 나네요! 그 빌어먹을 잔혹한 피라미드가 있는 교과서도 있었죠! 첫 번째 피라미드는 기본 사회를 설명했습니다. 두 개의 수평선이 있는 피라미드는 꼭대기(상류 사회 계층), 중간 계층(중산층), 그리고 피라미드 바닥(빈곤층, 프롤레타리아)을 나눕니다. 선생님은 피라미드의 중간층인 중산층이 빈부 격차를 메워 사회적 스트레스를 해소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두 번째 피라미드는 중간 부분이 컸는데, 이는 제1세계 국가들을 나타내는 피라미드였습니다. 바닥이 매우 얇고 화살표는 사회 피라미드의 하층에서 중산층으로, 중산층에서 최상층으로 올라갈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선생님은 이것이 고전적인 민주 자본주의 사회이며, 유럽과 같은 사회주의 국가들의 피라미드는 매우 비슷하지만 조금 더 평평하다고 설명하셨습니다. 즉, 여기에는 중산층이 크고 상류층과 하류층이 적다는 뜻입니다. 이 세 가지 피라미드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세 번째 피라미드는 공산주의 사회를 보여줍니다. 하층과 중산층의 화살이 꼭대기에 닿으려 했지만 빗나갔습니다. 작은 상류 사회와 하나의 큰 하층 사회가 피라미드의 최소한의 중산층으로 완충 역할을 했습니다. 그리고 페이지를 넘기자 망할 네 번째 피라미드가 나타났습니다. 이 피라미드에는 중산층의 화살이 하층, 빈민 계층으로 떨어지는 모습이 담겨 있었습니다.
"이게 뭐예요?" 우리 중 몇몇이 물었습니다.
선생님은 우리를 바라보며 “이게 우리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붕괴된 국가입니다. 피라미드 5처럼 제3세계 국가로 변한 국가입니다. 말할 만한 중산층이 거의 없고, 엄청나게 많은 최하위, 가난한 계층이 있고, 극히 소수의 매우 부유한 상위 계층만 있습니다."
"피라미드 중앙에서 바닥까지 이어지는 화살표는 뭔가요?" 누군가가 물었습니다.
바늘 떨어지는 소리도 들릴 정도였다. "중산층이 빈곤층으로 전락하고 있다."
거짓말은 하지 않겠지만, 아무도 울지 않았어요. 사람들은 얼굴을 비비고, 머리를 잡고, 숨을 참았지만요.
아무도 울지 않았지만, 우리 모두는 그 순간 우리가 생각했던 모든 것, 당연하게 여겼던 모든 것이 단순히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보시다시피, 중산층의 소득만으로는 더 이상 중산층으로 기능할 수 없습니다. 상위 계층 중 일부는 중산층으로 떨어지지만, 중산층의 대다수는 빈곤층으로 전락합니다." 선생님이 말씀하셨습니다.
그 방에 있던 사람들 중 몇 명이 갑자기 그들이 가난하다는 것을 깨달았는지 모르겠습니다.
선생님은 이렇게 말을 이었습니다. "보시다시피, 중산층이 갑자기 빈곤층으로 전락하면서 사실상 가난한 사람들로 구성된 사회가 형성되었습니다. 더 이상 긴장을 완화해 줄 중산층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중산층은 자신들이 구할 수 있는 일자리에 비해 자격이 너무 높다는 것을 갑자기 깨닫고, 구할 수 있는 모든 것에 만족해야 합니다. 그 결과 실업률이 치솟습니다. 제공할 수 있는 사람은 너무 많은데 수요는 너무 적습니다. 그들은 구하지 못할 일자리를 위해 준비하고 공부합니다. 여러분, 건축학을 공부하는 것은 그저 하고 싶어서입니다. 여러분 중 3~4%만이 실제로 건축 관련 일자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그 자리에 앉아 모든 것을 받아들이고 있었습니다. 몇 달 후, 모든 것이 사실로 드러났습니다. 심지어 대학을 중퇴하는 학생의 수도 최소 50%로 증가했습니다. 그들은 미래 급여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할 공부를 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하거나, 대학에 다닐 돈이 없거나, 아니면 일을 하고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대학을 그만둬야 했습니다.
누군가 이 이런 일이 미국에서 일어났다면 사회 불안이 훨씬 더 심했을 거라고 말했던 적이 있습니다. 남미 사람들이 더 강하기 때문이죠. 처음에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고, 모든 인간은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을 때 적응한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이제 와서 곰곰이 생각해 보니 그의 말이 맞았는지도 모릅니다. 남미 사람들이 더 강하다는 것이 아니라, 역경에 더 익숙하다는 것입니다.
우리 대부분은 스페인이나 이탈리아의 독재자 시절 내전을 피해 온 조부모의 자식들입니다. 우리 부모님은 더러운 전쟁에서 살아남으셨고, 더 나아가 독재자들도 살아남으셨습니다. 따라서 그들의 자녀들 역시 강인한 인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국 시민들이 우리가 겪은 일을 견뎌낼 수 있을까요? 물론 그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당신과는 다른 사람들이 너무 많다고 생각합니다. 준비도 안 하고 모든 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사람들이 많죠. 바로 이런 사람들이 대공황이후 사회 불안을 증폭시킬 책임이 있습니다. 대공황 이전에 스스로를 돌볼 겨를이 없었던 사람들, 또는 "세금을 내면 정부가 알아서 해줄 거야"라고 믿으며 수년간 나약했던 사람들 말입니다. 하지만 결국 그들은 이겨낼 것입니다. 사람들은 적응할 것입니다. 항상 그렇듯이요. 놀라실 겁니다. 그리고 새로운 현실에 적응하고 싶어 하지 않는 사람들은 젊은 나이에 죽어 유전자 풀을 정화하고 종의 연속성을 보장할 것입니다. 수천 년 동안 이런 식으로 살아왔습니다.
2001년 아르헨티나 경제위기 겪은 사람 블로그던데
이런식으로 일어나는거지 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학 100점까지 29일남았네 1 1
휴
-
케인아 영양제 먹어라? 0 1
너이게 증말
-
수능날 22번에 수열 나올까봐 달달 떨림 지금부터라도 수열에 다시 시간투자 해야하나유
-
ㄱㄱ
-
한달남은시점 강기분 2 0
10모 56점 5등급입니다. 강기분 문학이 있는데 지금부터 남은기간동안 해도...
-
혜윰 모의고사 좋음? 2 0
누구는 평가원급이다 논리구조 좋다 이러면서 ㅈㄴ 올려치고 누군 혜윰모고=똥 닦는...
-
수능표본이면 인하대 공대 가능한가요? 10 1
9모 영어 66었어요 만약 영어가 4라면
-
중국의 쵸비 4 0
샹크스
-
어쩔수가없다 1 2
N수생이 너무 강해
-
10모 미적분 28번 소재 0 0
굉장히 빡세게 물어볼 소재를 유하게 물어본 느낌이 굉장히 드네요
-
선택과목은 기하입니다 23학~26학 6월 9월 11월 쭉 풀었을때 92±...
-
연습하게
-
수영탐은 푸는데 문제가 없는데 국어는 기출 아니면 원하는 세트대로 뽑기 힘들던데...
-
수학 1일 2실모 0 0
1일 2실모하면 그날 추가로 수학공부안해도 되나?
-
확통 아이디어vs무불개 0 0
확통처음인데 뭐가 괜찮음ㅁ?
-
오늘푼거 정리 1 0
설레임 1회 80 설레임 2회 85 서바 전국 14회 84 서바 19회 88 개피곤하내.
-
ㄹㅇ 근데 22수능 국어 현장에서 마주한 사람들은 7 2
진짜 살자 마려웠을 것 같음 끔찍하다 저 세트를 시험장에서.. 참 쉽지 않음
-
10모 1 1
화확영한지사문 71 80 2 47 50인데 국어 어카져.. 지금 뭐하는게좋을까요
-
설문좀 부탁드릴게요 ㅠ 0 0
안녕하세요 소프트웨어학과 재학 중인 4학년 막학기 대학생입니다. 교양으로 창업...
-
목구멍 장벽 다 타버린듯
우리나라에선 굶어 죽거나
길거리에 노숙하는 사람 거거거의 없는데 아직 경제 파탄 오기엔 한참남음
프랑스가 문제
우리도 조만간임
조만간이면 좀 통계 가져오던가 말만 조만간
하여튼 ㅋㅋㅋ
?
우리나라만큼 치안좋고 시설 깨끗하며 식량 걱정 없는곳 얼마나 있다고 ㅋㅋ
그건 지금까지였고 조만간 바뀐다고
치안도 지금 안 좋아지고 있고
추경 계속해서 imf에서 경고한 거 모름?
새마을 금고도 터지기 직전임
나의 무지였음.. 죄송… 근데 새마을금고는 비회원 대출때문에 그런건데 새마을금고 운영을 ㅈ같이 한거 아님?
그럴수록 낙관론과 철저한 준비를하는게맞는데 이새끼는 왜그리 비관하고 망무새를함
좋은 글이다
https://ferfal.blogspot.com/?m=1
이사람 블로그 원본
ㄴㄴ 무지성 비관하는 게 아니라 경제 파탄이 한참 남았다길래 그렇지 않을 수 있다는 거지. 철저한 준비하는 것도 맞는 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