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겁나 셔서 한 입 먹고 못 먹음 거의 중화 반응에 써야할 거 같던데
-
베라는 3
슈팅스타가 젤 맛있는디
-
근데 현실에서 이야기할 상대 많으면 굳이 커뮤 안하지 4
우리 모두의 이야기
-
전 있어요 그것도 한 5번 넘는듯
-
9모 47점이었는데 그사이에 세지 거의 안해서 그런가 33점으로 폭망했네 아
-
카우보이 비밥 카우보이 비밥 카우보이 비밥 카우보이 비밥 카우보이 비밥 카우보이 비밥 카우보이 비밥
-
기억이 안나네 너무 오랜만이라
-
바른미래당 4
엇나간과거당
-
노브랜드 자색고구마칩
-
페드리vs벨링엄 2
진짜 나는 닥 닫 닥 패드리
-
어케나올까요?? 국어 풀이 순서 정해야되는데 독서 난도가 예측이안되니 고민되네요ㅠㅠ
-
헤에..하면서 멍청하게 사는게 편해
-
일단 저는 허수판독기 대장먹은거
-
진짜 9평보고 개충격받아서 (반타작도못침) 윤사 공부를 한 달을 놨는데 아까...
-
너무 어렵다 우진아 정품까지 샀는데 이럴꺼니
-
김기현으로 수상하 시발점 개정 수1.2 (김기현 킥오프랑 병행) 기출생각집+수분감...
-
여기 좋은 컨텐츠도 생산하시는 분들 보면 부럽기도 하고, 치열하게 살아온 것 같긴...
-
한국사 이딴 과목 말고 정보를 넣어야 하지 않음?
-
ㅈ댓다 1
오늘 순공시간 0달성
금리를 높임으로써 통화량을 낮춰서 물가를 잡으려하지 않을까요
물가가 상승하면 중앙은행은 금리를 높입니다.
? 이유
물가가 오르면(=인플레이션)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므로, 중앙은행은 경제 과열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합니다.
금리를 올리면 대출이 줄고, 소비와 투자가 감소하여 총수요가 줄어들고, 그 결과 물가 상승 압력이 완화됩니다.
? 작동 원리
1. 기준금리 인상 → 시중금리 상승
2. 대출이 줄고 소비·투자 감소
3. 통화량 감소 및 총수요 축소
4. 물가 상승세 완화(인플레이션 억제)
? 반대로
• 물가가 하락하거나 경기침체가 오면,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하하여 돈의 흐름을 늘리고 소비와 투자를 촉진합니다.
⸻
? 요약:
물가 상승 → 금리 인상
물가 하락 → 금리 인하
라고 피티가 그러네요
감사합니다